솟대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솟대제
솟대를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여겨 마을 주민들이 지내는 공동제의. 솟대는 한국인이 민속신앙의 대상으로 세운 긴 장대[長竿]을 말한다. 솟대는 솔대, 홋대, 소줏대, 표줏대, 수살대, 수구막잇대, 거릿대, 서낭대, 별신대, 짐대, 짐대백이 등으로도 불린다.
definition
솟대를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여겨 마을 주민들이 지내는 공동제의. 솟대는 한국인이 민속신앙의 대상으로 세운 긴 장대[長竿]을 말한다. 솟대는 솔대, 홋대, 소줏대, 표줏대, 수살대, 수구막잇대, 거릿대, 서낭대, 별신대, 짐대, 짐대백이 등으로도 불린다.
mp3Cnt
0
wkorname
김선풍
정의솟대를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여겨 마을 주민들이 지내는 공동제의. 솟대는 한국인이 민속신앙의 대상으로 세운 긴 장대[長竿]을 말한다. 솟대는 솔대, 홋대, 소줏대, 표줏대, 수살대, 수구막잇대, 거릿대, 서낭대, 별신대, 짐대, 짐대백이 등으로도 불린다.
정의솟대를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여겨 마을 주민들이 지내는 공동제의. 솟대는 한국인이 민속신앙의 대상으로 세운 긴 장대[長竿]을 말한다. 솟대는 솔대, 홋대, 소줏대, 표줏대, 수살대, 수구막잇대, 거릿대, 서낭대, 별신대, 짐대, 짐대백이 등으로도 불린다.
Sotdaeje, or sacred pole ritual, is a communal rite for worshipping sacred poles (sotdae) as village guardians.

The rituals are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rites related to a wooden column erected in a district named [[Sodo](/topic/SacredDistrictSodo)](/topic/Sodo) in Mahan, one of the Three Han States of ancient Korea, circa 1st–3rd centuries. The “Account of the Three Hans” chapter in the volume History of the Wei Dynasty of the Chinese history book Sanguozhi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ncludes a passage about a wooden pole erected in Sodo, hung with a rattle and a drum in order to worship the spirits. If this was to be viewed as a sacred pole and evidence that a ritual for the spirits was held, this would no doubt mark the beginning of sotdaeje.

[Sacred pole](/topic/Sacredpole) rituals are held when the poles are erected, or on a selected date. The poles are sometimes erected together with the guardian posts jangseung, in which case the sacred pole ritual takes place simultaneously.

A case of Jungkok village in Jinan of North Jeolla Province, sotdae is erec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ire. The village had been suffered a number of fire and it was believed that the cause of fire was the mountain to the East of the village which was geomantically considered a fire mountain (hwasan) containing an overwhelming amount of fire energy. Villagers could stop fire by erecting sotdae facing the mountain. On the fourteenth day, the villagers hold a ritual before setting out for a nearby mountain to cut down lumber for the poles, and the following day the ritual host heads for the market in town to purchase ingredients for sacrificial foods. The sacred poles are also made on this day, with pine wood secured the day before. When they are completed, they are erected, the bottom ends buried in the ground, which is followed by a simple ritual held next to the poles. The reason the poles are topped with a duck is because ducks are waterfowl, believed to be capable of guarding against fire.
以[索苏竿](/topic/索苏竿)(音)为村庄守护神,村民集体举行的祭仪。

据称,“索苏竿祭”源自三韩时代一个叫做苏涂的别邑举行的有关木柱的祭仪。据《三国志·马韩传》载,在苏涂,人们将木柱竖起,挂上铃铛和鼓,奉祀鬼神。若把这里的树杆看成是现在的索苏竿,奉祀鬼神看做是祭仪的话,那么这无疑就是索苏竿祭的起源。

索苏竿祭在索苏竿竖立时或在一年中[择日](/topic/择日)举行。索苏竿常常和[长栍](/topic/长栍)一起竖立,这时[长栍祭](/topic/长栍祭)和索苏竿祭一同举办;若只竖索苏竿,则只进行索苏竿祭。

在索苏竿祭例子中发现,阴历一月十四日村民竖起索苏竿举行[堂山](/topic/堂山)祭。据说,从村子里向西看,看到的山为火山(从风水角度来讲该山的火[煞](/topic/煞)气较重);为了避免火灾,村民们在村口竖立索苏竿,这就是[堂山祭](/topic/堂山祭)的起源。

阴历一月十四日这天,村民们举行[巫祭](/topic/巫祭),上附近的山砍回做索苏竿用的松树,次日化主去村庄集市买回祭品,并用前日砍回的松树做索苏竿。索苏竿做成后,将其竖起,底部埋进地面。之后在索苏竿前举行简单的祭仪。之所以索苏竿上放鸭子,是因为鸭子属于水鸟,人们相信其可以保护易遭火灾的村庄远离火光之灾。
참조솟대
참고문헌한국민속과 문학연구 (김열규, 일조각, 1971)
육당최남선전집 2 (최남선, 현암사, 1973)
민간신앙 (김선풍·이기원,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강원도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7)
한국민속문예론 (김택규, 일조각, 1980)
史記, 三國志, 晉書, 강원도민속문화론 (김의숙, 집문당, 1995)
솟대 (김선풍, 비전 21, 만도기계, 1996)
우리민족의 고유사상 (안창범, 국학자료원, 1997)
태백산천제 (김선풍 외, 태백시, 2009)
Sotdaeje significa “poste ritual”, que es un rito comunitario para la adoración a los postes sagrados como guardianes de la aldea.

Se cree que el sotdaeje tiene su origen en el ritual relacionada con una columna de madera levantada en un distrito nombrado [Sodo](/sp/topic/detail/2398) de Mahan, uno de los tres grandes estados Han en la región central y sur de la península coreana durante el siglo Ⅰ y el siglo Ⅲ. Hay un pasaje del “Cuento de los tres Han”, uno de los volúmenes del Libro de Wu del texto histórico chino 《Registros de los Tres Reinos》 que se refiere a un poste erecto de madera con los sonajeros y tambores colgados en él que se encontraba en Sodo cuyo objeto era adorar a los espíritus. Si el poste de Sodo se consideraba como un poste sagrado que podría ser una evidencia de la realización del ritual para adorar a los espíritus en aquel tiempo, esto marcaría sin duda el comienzo del sotdaeje.

El sotdaeje tiene lugar cuando el sotdae se erige o en un día seleccionado. Estos postes totémicos a veces se hallan en solitario, pero más frecuentemente están acompañados de pilares de madera con peculiares rostros humanos que sirven como deidades guardianas llamadas [[Jangseung](/topic/PostedeGuardadeAldea)](/topic/Jangseung), en cuyo caso el sotdaeje tendrá lugar de manera simultánea.

Uno de los ejemplos del sotdae je es un ritual llamado dangsanje que se practica con un sotdae erigido el 14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Se cree que el dangsanje se originó de un rito con el propósito de prevenir incendios en un pueblo donde se hallaba una montaña en el este. La montaña del este se consideraba en el pasado como hwasan que significaba “montaña del fuego”, ya que este tipo de montañas tenían una enorme cantidad de la “energía del fuego”. Entonces, los habitantes podrían poner fin al incendio por medio de los sotdae erigidos en frente de la montaña. En el décimo cuarto día, los aldeanos se dirigen a la montaña cercana y cortan un pino para utilizarlo como un sotdae. Al día siguiente, el oficiante líder del sotdaeje va al mercado de la ciudad y compra ingredientes para la comida sacrificial. Estos postes sagrados también se hacen hoy en día con maderas de pino cortado el día anterior. Una vez que se completen los sotdae, ellos estarán enclavados en el suelo, y luego tendrá lugar un ritual sencillo al lado de los postes. La razón por la que se encuentra un pato en la parte superior del sotdae es porque los patos son aves acuáticas, por lo que se les reconoce una habilidad para proteger al pueblo de incendios.
Sotdaeje, or sacred pole ritual, is a communal rite for worshipping sacred poles (sotdae) as village guardians.

The rituals are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rites related to a wooden column erected in a district named [[Sodo](/topic/SacredDistrictSodo)](/topic/Sodo) in Mahan, one of the Three Han States of ancient Korea, circa 1st–3rd centuries. The “Account of the Three Hans” chapter in the volume History of the Wei Dynasty of the Chinese history book Sanguozhi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ncludes a passage about a wooden pole erected in Sodo, hung with a rattle and a drum in order to worship the spirits. If this was to be viewed as a sacred pole and evidence that a ritual for the spirits was held, this would no doubt mark the beginning of sotdaeje.

[Sacred pole](/topic/Sacredpole) rituals are held when the poles are erected, or on a selected date. The poles are sometimes erected together with the guardian posts jangseung, in which case the sacred pole ritual takes place simultaneously.

A case of Jungkok village in Jinan of North Jeolla Province, sotdae is erec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ire. The village had been suffered a number of fire and it was believed that the cause of fire was the mountain to the East of the village which was geomantically considered a fire mountain (hwasan) containing an overwhelming amount of fire energy. Villagers could stop fire by erecting sotdae facing the mountain. On the fourteenth day, the villagers hold a ritual before setting out for a nearby mountain to cut down lumber for the poles, and the following day the ritual host heads for the market in town to purchase ingredients for sacrificial foods. The sacred poles are also made on this day, with pine wood secured the day before. When they are completed, they are erected, the bottom ends buried in the ground, which is followed by a simple ritual held next to the poles. The reason the poles are topped with a duck is because ducks are waterfowl, believed to be capable of guarding against fire.
以[索苏竿](/topic/索苏竿)(音)为村庄守护神,村民集体举行的祭仪。

据称,“索苏竿祭”源自三韩时代一个叫做苏涂的别邑举行的有关木柱的祭仪。据《三国志·马韩传》载,在苏涂,人们将木柱竖起,挂上铃铛和鼓,奉祀鬼神。若把这里的树杆看成是现在的索苏竿,奉祀鬼神看做是祭仪的话,那么这无疑就是索苏竿祭的起源。

索苏竿祭在索苏竿竖立时或在一年中[择日](/topic/择日)举行。索苏竿常常和[长栍](/topic/长栍)一起竖立,这时[长栍祭](/topic/长栍祭)和索苏竿祭一同举办;若只竖索苏竿,则只进行索苏竿祭。

在索苏竿祭例子中发现,阴历一月十四日村民竖起索苏竿举行[堂山](/topic/堂山)祭。据说,从村子里向西看,看到的山为火山(从风水角度来讲该山的火[煞](/topic/煞)气较重);为了避免火灾,村民们在村口竖立索苏竿,这就是[堂山祭](/topic/堂山祭)的起源。

阴历一月十四日这天,村民们举行[巫祭](/topic/巫祭),上附近的山砍回做索苏竿用的松树,次日化主去村庄集市买回祭品,并用前日砍回的松树做索苏竿。索苏竿做成后,将其竖起,底部埋进地面。之后在索苏竿前举行简单的祭仪。之所以索苏竿上放鸭子,是因为鸭子属于水鸟,人们相信其可以保护易遭火灾的村庄远离火光之灾。
참조솟대
참고문헌한국민속과 문학연구 (김열규, 일조각, 1971)
육당최남선전집 2 (최남선, 현암사, 1973)
민간신앙 (김선풍·이기원,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강원도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7)
한국민속문예론 (김택규, 일조각, 1980)
史記, 三國志, 晉書, 강원도민속문화론 (김의숙, 집문당, 1995)
솟대 (김선풍, 비전 21, 만도기계, 1996)
우리민족의 고유사상 (안창범, 국학자료원, 1997)
태백산천제 (김선풍 외, 태백시, 2009)
Sotdaeje significa “poste ritual”, que es un rito comunitario para la adoración a los postes sagrados como guardianes de la aldea.

Se cree que el sotdaeje tiene su origen en el ritual relacionada con una columna de madera levantada en un distrito nombrado [Sodo](/sp/topic/detail/2398) de Mahan, uno de los tres grandes estados Han en la región central y sur de la península coreana durante el siglo Ⅰ y el siglo Ⅲ. Hay un pasaje del “Cuento de los tres Han”, uno de los volúmenes del Libro de Wu del texto histórico chino 《Registros de los Tres Reinos》 que se refiere a un poste erecto de madera con los sonajeros y tambores colgados en él que se encontraba en Sodo cuyo objeto era adorar a los espíritus. Si el poste de Sodo se consideraba como un poste sagrado que podría ser una evidencia de la realización del ritual para adorar a los espíritus en aquel tiempo, esto marcaría sin duda el comienzo del sotdaeje.

El sotdaeje tiene lugar cuando el sotdae se erige o en un día seleccionado. Estos postes totémicos a veces se hallan en solitario, pero más frecuentemente están acompañados de pilares de madera con peculiares rostros humanos que sirven como deidades guardianas llamadas [[Jangseung](/topic/PostedeGuardadeAldea)](/topic/Jangseung), en cuyo caso el sotdaeje tendrá lugar de manera simultánea.

Uno de los ejemplos del sotdae je es un ritual llamado dangsanje que se practica con un sotdae erigido el 14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Se cree que el dangsanje se originó de un rito con el propósito de prevenir incendios en un pueblo donde se hallaba una montaña en el este. La montaña del este se consideraba en el pasado como hwasan que significaba “montaña del fuego”, ya que este tipo de montañas tenían una enorme cantidad de la “energía del fuego”. Entonces, los habitantes podrían poner fin al incendio por medio de los sotdae erigidos en frente de la montaña. En el décimo cuarto día, los aldeanos se dirigen a la montaña cercana y cortan un pino para utilizarlo como un sotdae. Al día siguiente, el oficiante líder del sotdaeje va al mercado de la ciudad y compra ingredientes para la comida sacrificial. Estos postes sagrados también se hacen hoy en día con maderas de pino cortado el día anterior. Una vez que se completen los sotdae, ellos estarán enclavados en el suelo, y luego tendrá lugar un ritual sencillo al lado de los postes. La razón por la que se encuentra un pato en la parte superior del sotdae es porque los patos son aves acuáticas, por lo que se les reconoce una habilidad para proteger al pueblo de incendios.
내용솟대를 분류하면 대강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이 가정에서 일시적으로 기도할 때 세우는 경우이다. [볏가리](/topic/볏가리), [화적](/topic/화적)(禾積), 풍간(豊竿)이라고 하는 것이다. 둘째, [마을](/topic/마을)에서 세우는 목조(木鳥)솟대이다. 지역에 따라 솔대, 짐대, 소줏대, 표줏대, 갯대, 수살이, 수살잇대, 액맥잇대라고도 한다. 셋째, 개인이 세우는 용두솟대(龍頭蘇塗)라고 하는 것이 있다.

화적·풍간은 풍농의 의식을 점치는 솟대로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신간(神竿)을 세운다는 점이 특징이다. 용두솟대라는 것은 [화주](/topic/화주)(華柱) 또는 화표주(華表柱)라고 하는 것으로, 과거에 붙었거나 영화(榮華)스러운 경우에 만드는 표주(表柱)라는 뜻이다. 뭐니 뭐니 해도 한국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솟대는 목조솟대다. 솟대는 ‘액맥잇대’라고 한 점으로 보아 재액 소멸의 기능, 수살대라 한 점으로 보아 마을의 살기(殺氣)를 없애기 위한 것이었음을 각각 알 수 있다. 목조솟대는 조간(鳥竿)이라고도 불리며, 마을수호신이나 성역 또는 경계나 이정표 구실도 해 왔다.

목조솟대를 보면 그 위에 새가 한 마리 앉아 있다. 흔히 바닷가 어부들은 이 새를 물오리가 아니면 갈매기라고도 하고 봉(鳳)이라고도 하지만 신의 사자(使者)로 보아 까마귀로 보는 학설도 있다. 여기서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江門洞)에 있는 짐대를 살펴보기로 하자.

현지에서는 이것을 ‘진또배기서낭’ 또는 ‘진떼배기서낭’이라고 하며, 소나무로 만든 장대를 신체(神體)로 삼고 있다. ‘진또배기’는 ‘짐대박이’의 방언이다. 신간인 솟대를 지칭하는 ‘짐대’에 무엇이 박혀 있는 뜻을 일컫는 접미어 ‘박이’가 첨가되고, 이것이 ‘ㅣ’모음역행동화를 일으켜 ‘짐대백이’가 된 것이다. 짐대의 높이는 약 5m이다. 맨 꼭대기에는 세 가닥으로 갈래진 나뭇[가지](/topic/가지)를 가로로 얹고, 갈래마다 정교하게 만든 나무오리를 올려놓았다. 이 짐대의 유래는 어느 날 대관령(일설에는 함경도 해안)에서 떠내려온 짐대가 강문에 닿자 마을 사람들이 이를 건져 세우고 제사를 올렸더니 동네가 번성하여 계속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강문 근처의 안목(安木)에도 이와 같은진또배기가 있다. 오리의 앉아 있는 방향은 두 마을 똑같이 서북쪽 대관령(또는 서울)을 향하고 있다. 이 짐대는 마을의 삼재(三災), 곧 수재·풍재·화재를 막아주는 구실을한다. 이것을 잘 모시지 않으면 벼농사가 안 된다고 하여 신성시 한다.

솟대는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는 마음의 푯대 구실을 해 왔다. 곧 한국인은 정서적인 솟대를 저마다 지니고 산다. 고려속요 가사에 다음과 같은 난해한구절이 나온다. “사미 대에 올아셔 [해금](/topic/해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가 그것이다. “사슴이 꼿꼿한 장대에 올라가서 깽깽이라고 하는 악기를 켜는 것을 들었노라”라는 말이다. 흔히 이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것, 또는 기적이 일어난 것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그러나 재래 극단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솟대쟁이패](/topic/솟대쟁이패)’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도 있다. 장대(짐대·솟대) 위에 올라가서 온갖 재주를 피우는 재인을 솟대쟁이라고 부른다. 일본 아이누족의 악기에도 해금이 있다. 그런데 해금이 사슴의 뿔과 대가리에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필시 청산별곡의 짐대와 해금은 사슴뿔 해금을장대 위에서 켜는 솟대쟁이의 모습을 비유하지 않았는지 짐작된다. 아무튼 솟대는 하늘로 치솟고자 하는 한국인의 천신사상의 표징물이다. 이것은 어찌 보면 한국인이 하늘과땅을 연결하려 한 삶의 이상이었고 정신적 푯대, 곧 영표(靈標)였던 것이다.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전치곡리와 본궁리에서는 솟대와 장승을 신봉(信奉)하는 [거리제](/topic/거리제)를 지내고 있다. 전치곡리에서는 매년 3월 [중삼일](/topic/중삼일)(重三日, 3월 3일) 또는 9월 중구일(重九日, 9월 9일)을 택하여 장승을 세우는 제의(祭儀)를 지낸다. 이를 거리제라 칭한다. 전치곡리에서는 1975년 삼짇날에도 장승을 세우고 거리제를 지냈다. 본궁리에서는 196년까지 마을이 끝나는 곳과 마을 어귀에 각각 한 쌍의 장승을 세우고 거리제를 지내다가 중지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전치곡리와 달리 장승을 세울 때 솟대를 함께 세우고솟대 끝에 새 모양의 나무를 깎아 얹었다. 마을 사람들은 솟대를 ‘왜가리’라고 부른다.

제의는 다음과 같이 치러진다. 마을의 제를 도맡는 도가(都家)가 되려면 생산(生産)이나 상(喪)을 입은 일이 없어야 한다. 도가가 된 집은 삼짇날을 이틀 앞둔 날 아침 일찍사람들이 안 보는 때 골짜기의 깨끗한 샘물에 정한 쌀을 씻어 조례([조라술](/topic/조라술))를 잡히는데 성황당 부근 흙을 파고 술을 빚는다. 전치곡리의 경우는 마을 어귀에 있는 당목(堂木밑에서 술을 빚는다. 조례를 잡히면 그날 마을에서는 몸이 정(淨)하고 솜씨가 있는 장정(壯丁) 두세 명이 산 깊이 들어가 사람 손길이 안 간 소나무를 베어다 다듬어 장승을만든다. 나무를 베거나 다듬을 때에는 톱을 쓰지 않고 도끼와 [자귀](/topic/자귀)만을 쓴다.

마을 사람들은 도가가 결정된 제삿날 2주 전부터 부정한 일을 피하기 위해 닭도 잡지 않는다.

감주(甘酒)가 익은 삼짇날에 입심 좋은 노인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성황당에서 먼저 마을의 무고(無故)를 비는 제사를 지내면 이어 장승과 솟대를 세운 거리에서 제사를 지낸다. 장승은 삼질 하루 전에 정성들여 세우고 [금줄](/topic/금줄)을 두르고 머리에다 [한지](/topic/한지)를 쌓아 둔다. 제물로는 주(酒), 과(果), 포(脯)를 진설한다. 제의에는 축(祝)이 없지만 제관은 축원을 한다. 축원은 마을에 악귀나 악질이 들지 않고, 집집마다 평안하고 우마(牛馬)도 탈이 없고, 농사일이 제대로 되게 해 달라는 것이 주가 된다.

제관은 축원이 끝나면 집집마다의 소지를 올려 식재(息災), 초복(招福)을 빌어 준다. 이때 제관은 농가에 있는 우마의 소지도 전부 올린다.

본궁리에서는 제사가 끝나면 그 이튿날 모여서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은 다음 장승을 세운 마을의 길을 함께 닦고 제당(祭堂)의 [지붕](/topic/지붕)을 고쳐 놓는 등 마을의 공동작업을 한다.

강원도에는 [돌탑](/topic/돌탑)신앙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선돌’을 ‘탑’, ‘탑’을 ‘탑장승’이라고도 부른다. 탑제(塔祭)의 대상 신은 다른 신앙물과 서로 혼효되어나타나며, 탑·장승, 탑·선돌, 탑·솟대, 탑·장승·솟대 등이 서로 혼재되어 성역을 조성하고 있다.

천지창조 때부터 돌과 나무는 원시종교나 민속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이성적(二聖的)’ 존재였다. 이들 가운데 탑이나 선돌은 돌이 신성화된 신체, 장승과 솟대는 나무가 신성화된 신체였다. 이에 따라 솟대제는 석탑과 솟대가 서 있는 신성공간에서 지내는 제의였음이 분명하다.
내용솟대를 분류하면 대강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이 가정에서 일시적으로 기도할 때 세우는 경우이다. [볏가리](/topic/볏가리), [화적](/topic/화적)(禾積), 풍간(豊竿)이라고 하는 것이다. 둘째, [마을](/topic/마을)에서 세우는 목조(木鳥)솟대이다. 지역에 따라 솔대, 짐대, 소줏대, 표줏대, 갯대, 수살이, 수살잇대, 액맥잇대라고도 한다. 셋째, 개인이 세우는 용두솟대(龍頭蘇塗)라고 하는 것이 있다.

화적·풍간은 풍농의 의식을 점치는 솟대로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신간(神竿)을 세운다는 점이 특징이다. 용두솟대라는 것은 [화주](/topic/화주)(華柱) 또는 화표주(華表柱)라고 하는 것으로, 과거에 붙었거나 영화(榮華)스러운 경우에 만드는 표주(表柱)라는 뜻이다. 뭐니 뭐니 해도 한국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솟대는 목조솟대다. 솟대는 ‘액맥잇대’라고 한 점으로 보아 재액 소멸의 기능, 수살대라 한 점으로 보아 마을의 살기(殺氣)를 없애기 위한 것이었음을 각각 알 수 있다. 목조솟대는 조간(鳥竿)이라고도 불리며, 마을수호신이나 성역 또는 경계나 이정표 구실도 해 왔다.

목조솟대를 보면 그 위에 새가 한 마리 앉아 있다. 흔히 바닷가 어부들은 이 새를 물오리가 아니면 갈매기라고도 하고 봉(鳳)이라고도 하지만 신의 사자(使者)로 보아 까마귀로 보는 학설도 있다. 여기서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江門洞)에 있는 짐대를 살펴보기로 하자.

현지에서는 이것을 ‘진또배기서낭’ 또는 ‘진떼배기서낭’이라고 하며, 소나무로 만든 장대를 신체(神體)로 삼고 있다. ‘진또배기’는 ‘짐대박이’의 방언이다. 신간인 솟대를 지칭하는 ‘짐대’에 무엇이 박혀 있는 뜻을 일컫는 접미어 ‘박이’가 첨가되고, 이것이 ‘ㅣ’모음역행동화를 일으켜 ‘짐대백이’가 된 것이다. 짐대의 높이는 약 5m이다. 맨 꼭대기에는 세 가닥으로 갈래진 나뭇[가지](/topic/가지)를 가로로 얹고, 갈래마다 정교하게 만든 나무오리를 올려놓았다. 이 짐대의 유래는 어느 날 대관령(일설에는 함경도 해안)에서 떠내려온 짐대가 강문에 닿자 마을 사람들이 이를 건져 세우고 제사를 올렸더니 동네가 번성하여 계속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강문 근처의 안목(安木)에도 이와 같은진또배기가 있다. 오리의 앉아 있는 방향은 두 마을 똑같이 서북쪽 대관령(또는 서울)을 향하고 있다. 이 짐대는 마을의 삼재(三災), 곧 수재·풍재·화재를 막아주는 구실을한다. 이것을 잘 모시지 않으면 벼농사가 안 된다고 하여 신성시 한다.

솟대는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는 마음의 푯대 구실을 해 왔다. 곧 한국인은 정서적인 솟대를 저마다 지니고 산다. 고려속요 가사에 다음과 같은 난해한구절이 나온다. “사미 대에 올아셔 [해금](/topic/해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가 그것이다. “사슴이 꼿꼿한 장대에 올라가서 깽깽이라고 하는 악기를 켜는 것을 들었노라”라는 말이다. 흔히 이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것, 또는 기적이 일어난 것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그러나 재래 극단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솟대쟁이패](/topic/솟대쟁이패)’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도 있다. 장대(짐대·솟대) 위에 올라가서 온갖 재주를 피우는 재인을 솟대쟁이라고 부른다. 일본 아이누족의 악기에도 해금이 있다. 그런데 해금이 사슴의 뿔과 대가리에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필시 청산별곡의 짐대와 해금은 사슴뿔 해금을장대 위에서 켜는 솟대쟁이의 모습을 비유하지 않았는지 짐작된다. 아무튼 솟대는 하늘로 치솟고자 하는 한국인의 천신사상의 표징물이다. 이것은 어찌 보면 한국인이 하늘과땅을 연결하려 한 삶의 이상이었고 정신적 푯대, 곧 영표(靈標)였던 것이다.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전치곡리와 본궁리에서는 솟대와 장승을 신봉(信奉)하는 [거리제](/topic/거리제)를 지내고 있다. 전치곡리에서는 매년 3월 [중삼일](/topic/중삼일)(重三日, 3월 3일) 또는 9월 중구일(重九日, 9월 9일)을 택하여 장승을 세우는 제의(祭儀)를 지낸다. 이를 거리제라 칭한다. 전치곡리에서는 1975년 삼짇날에도 장승을 세우고 거리제를 지냈다. 본궁리에서는 196년까지 마을이 끝나는 곳과 마을 어귀에 각각 한 쌍의 장승을 세우고 거리제를 지내다가 중지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전치곡리와 달리 장승을 세울 때 솟대를 함께 세우고솟대 끝에 새 모양의 나무를 깎아 얹었다. 마을 사람들은 솟대를 ‘왜가리’라고 부른다.

제의는 다음과 같이 치러진다. 마을의 제를 도맡는 도가(都家)가 되려면 생산(生産)이나 상(喪)을 입은 일이 없어야 한다. 도가가 된 집은 삼짇날을 이틀 앞둔 날 아침 일찍사람들이 안 보는 때 골짜기의 깨끗한 샘물에 정한 쌀을 씻어 조례([조라술](/topic/조라술))를 잡히는데 성황당 부근 흙을 파고 술을 빚는다. 전치곡리의 경우는 마을 어귀에 있는 당목(堂木밑에서 술을 빚는다. 조례를 잡히면 그날 마을에서는 몸이 정(淨)하고 솜씨가 있는 장정(壯丁) 두세 명이 산 깊이 들어가 사람 손길이 안 간 소나무를 베어다 다듬어 장승을만든다. 나무를 베거나 다듬을 때에는 톱을 쓰지 않고 도끼와 [자귀](/topic/자귀)만을 쓴다.

마을 사람들은 도가가 결정된 제삿날 2주 전부터 부정한 일을 피하기 위해 닭도 잡지 않는다.

감주(甘酒)가 익은 삼짇날에 입심 좋은 노인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성황당에서 먼저 마을의 무고(無故)를 비는 제사를 지내면 이어 장승과 솟대를 세운 거리에서 제사를 지낸다. 장승은 삼질 하루 전에 정성들여 세우고 [금줄](/topic/금줄)을 두르고 머리에다 [한지](/topic/한지)를 쌓아 둔다. 제물로는 주(酒), 과(果), 포(脯)를 진설한다. 제의에는 축(祝)이 없지만 제관은 축원을 한다. 축원은 마을에 악귀나 악질이 들지 않고, 집집마다 평안하고 우마(牛馬)도 탈이 없고, 농사일이 제대로 되게 해 달라는 것이 주가 된다.

제관은 축원이 끝나면 집집마다의 소지를 올려 식재(息災), 초복(招福)을 빌어 준다. 이때 제관은 농가에 있는 우마의 소지도 전부 올린다.

본궁리에서는 제사가 끝나면 그 이튿날 모여서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은 다음 장승을 세운 마을의 길을 함께 닦고 제당(祭堂)의 [지붕](/topic/지붕)을 고쳐 놓는 등 마을의 공동작업을 한다.

강원도에는 [돌탑](/topic/돌탑)신앙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선돌’을 ‘탑’, ‘탑’을 ‘탑장승’이라고도 부른다. 탑제(塔祭)의 대상 신은 다른 신앙물과 서로 혼효되어나타나며, 탑·장승, 탑·선돌, 탑·솟대, 탑·장승·솟대 등이 서로 혼재되어 성역을 조성하고 있다.

천지창조 때부터 돌과 나무는 원시종교나 민속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이성적(二聖的)’ 존재였다. 이들 가운데 탑이나 선돌은 돌이 신성화된 신체, 장승과 솟대는 나무가 신성화된 신체였다. 이에 따라 솟대제는 석탑과 솟대가 서 있는 신성공간에서 지내는 제의였음이 분명하다.
역사원래 삼한(三韓)시대 때부터 솟대를 세웠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이는『 삼국지(三國志)』「 마한전(馬韓傳)」에 나타난다. “무릇 50여 나라가 각기 ‘소도(蘇塗)’라고부르는 별읍(別邑)을 두고 있다. 또 나무를 세워 거기에 방울과 북을 매달고 귀신을 섬겼다. 도망 온 자가 그곳에 오게 되면 잡아[가지](/topic/가지) 못했다. 소도는 절에 세워 놓은 부도(浮屠), 곧 찰주(刹柱, 사찰에 세운 [기둥](/topic/기둥))와 흡사하다”고 하였다. 또 이보다 100여 년 뒤에 편찬된 『후한서(後漢書)』 「마한전」에는 간략하게 소도를 세웠는데 나무로 만들었으며, 방울과 북을 매달았고, 그곳에서 귀신을 섬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두 기록을 통하여 소도는 ‘장간(長竿)’의 뜻만 있는 게 아니라 ‘[마을](/topic/마을)[別邑]’의 개념으로도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민속학자 손진태(孫晉泰)는 마한의 별읍‘소도’가 고대 그리스 사회의 ‘아실럼(asylum)’과 같은 성질의 성역(聖域)이었다고 보고, 이러한 사례는 고대 중세를 통하여 여러 민족에서 누누이 발견되는 것이라고 하면서 『삼국지』의 기사를 그대로 해석하면 안 될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사람들이 대목(大木)을 세우고 원시 읍락(邑落)을 이루어 거주하고 있었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고하였다.

그러나 『맹자(孟子)』나 『사기(史記)』 권1 오제본기조(五帝本紀條)의 기록에 “어느 것이나 상당히 사람이 모인 곳을 읍이라”고 하였고,『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서도 “소부락(小部落)이라 하더라도 읍이라 하였다”고 한 점으로 미루어『 삼국지』의 견해가 오히려 옳다. 특히 주목할 문헌은『 진서(晉書)』이다. 이 책 「마한전」에 “우치별읍(又置別邑) 명왈소도(名曰蘇塗) 입목간(立木竿)”이란 말이 나온다. 이 부분은『삼국지』의 문장을 고친 것으로, 소도를 ‘별읍(別邑)’의 이름으로 보고 이것을 대목(大木)과 명백히 구별하여 말하고 있다.『 진서』의 내용을 간추리면 소도라는 특별한 신이 계신 읍락(邑落)에 신목(神樹)을 모셔 놓고 제사를 지냈다는 뜻이 된다. 최남선 역시 “고산(高山) 결정(潔淨)의 지(地)에 신읍(神邑)을 두고, 그 안에 신단(神壇)을 베풀고, 준발(峻拔)한 석봉(石峰)이나 직립(直立)한 암석을 신체(神體)로 하여 [경사](/topic/경사)(敬事)의 도를 펴니 이것을 신시(神市)라 하고, 이 자리를 소도라 하였다. 소도는 고축(高築)을 의미하여 역(譯)하면 신단(神壇)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참조가 된다.

신단 주변에서의 제천의례가 당대의 농경의례적 성격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농경의례라는 차원을 넘어 홍익인간적 교육의 장으로서의 기능도 해왔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더욱이 예(禮)와 악(樂)을 융화시켜 펼쳐 나가는 정치, 곧 예악형정(禮樂刑政)의 치도(治道)도 소도천신제에서 발생한 것이다.

소도의 신명축제는 신성한 종교제의의 장(場)이자 교육의 장이었다. 『태백일사(太白逸史)』에 보면 “소도가 선 곳에는 충효신용인(忠孝信勇仁)의 오상(五常)의 도가 있었다” 하고 “소도의 옆에는 반드시 경당(扃堂)을 세워 미혼자제(未婚子弟)에게 사물을 강습하였다. 대개 독서(讀書), 습사(習射), 치마(馳馬), 예절, 가악(歌樂), 권박(拳搏)겸 검술(劍術) 등의 육례(六禮)였다”고 하였다. 신채호 역시 소도의 경기 내용으로 한맹(寒盟), [수박](/topic/수박)(手搏), 검술(劍術), 궁시(弓矢), [격구](/topic/격구)(擊球), 금환(金丸), 주마(走馬), 회렵(會獵)을 들고 있다.

과거 우리 민족의 삶 공간은 들(野)이 아닌 산(山)이었다.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所道洞)에 있는 태백산 정상을 살펴보면 태백산에는 소도당골이 있고 솟대(짐대)까지 있다.산 정상에 올라가 보면 대형 운동장만한 공간을 만나게 된다. 그 정도 공간이라면 별읍을 건설할 만하다. 또 성역(堂)이 사방 주위에 펼쳐져 있기 때문에 ‘특별한 성역(神域)’이라 부를 만하다.
역사원래 삼한(三韓)시대 때부터 솟대를 세웠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이는『 삼국지(三國志)』「 마한전(馬韓傳)」에 나타난다. “무릇 50여 나라가 각기 ‘소도(蘇塗)’라고부르는 별읍(別邑)을 두고 있다. 또 나무를 세워 거기에 방울과 북을 매달고 귀신을 섬겼다. 도망 온 자가 그곳에 오게 되면 잡아[가지](/topic/가지) 못했다. 소도는 절에 세워 놓은 부도(浮屠), 곧 찰주(刹柱, 사찰에 세운 [기둥](/topic/기둥))와 흡사하다”고 하였다. 또 이보다 100여 년 뒤에 편찬된 『후한서(後漢書)』 「마한전」에는 간략하게 소도를 세웠는데 나무로 만들었으며, 방울과 북을 매달았고, 그곳에서 귀신을 섬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두 기록을 통하여 소도는 ‘장간(長竿)’의 뜻만 있는 게 아니라 ‘[마을](/topic/마을)[別邑]’의 개념으로도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민속학자 손진태(孫晉泰)는 마한의 별읍‘소도’가 고대 그리스 사회의 ‘아실럼(asylum)’과 같은 성질의 성역(聖域)이었다고 보고, 이러한 사례는 고대 중세를 통하여 여러 민족에서 누누이 발견되는 것이라고 하면서 『삼국지』의 기사를 그대로 해석하면 안 될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사람들이 대목(大木)을 세우고 원시 읍락(邑落)을 이루어 거주하고 있었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고하였다.

그러나 『맹자(孟子)』나 『사기(史記)』 권1 오제본기조(五帝本紀條)의 기록에 “어느 것이나 상당히 사람이 모인 곳을 읍이라”고 하였고,『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서도 “소부락(小部落)이라 하더라도 읍이라 하였다”고 한 점으로 미루어『 삼국지』의 견해가 오히려 옳다. 특히 주목할 문헌은『 진서(晉書)』이다. 이 책 「마한전」에 “우치별읍(又置別邑) 명왈소도(名曰蘇塗) 입목간(立木竿)”이란 말이 나온다. 이 부분은『삼국지』의 문장을 고친 것으로, 소도를 ‘별읍(別邑)’의 이름으로 보고 이것을 대목(大木)과 명백히 구별하여 말하고 있다.『 진서』의 내용을 간추리면 소도라는 특별한 신이 계신 읍락(邑落)에 신목(神樹)을 모셔 놓고 제사를 지냈다는 뜻이 된다. 최남선 역시 “고산(高山) 결정(潔淨)의 지(地)에 신읍(神邑)을 두고, 그 안에 신단(神壇)을 베풀고, 준발(峻拔)한 석봉(石峰)이나 직립(直立)한 암석을 신체(神體)로 하여 [경사](/topic/경사)(敬事)의 도를 펴니 이것을 신시(神市)라 하고, 이 자리를 소도라 하였다. 소도는 고축(高築)을 의미하여 역(譯)하면 신단(神壇)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참조가 된다.

신단 주변에서의 제천의례가 당대의 농경의례적 성격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농경의례라는 차원을 넘어 홍익인간적 교육의 장으로서의 기능도 해왔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더욱이 예(禮)와 악(樂)을 융화시켜 펼쳐 나가는 정치, 곧 예악형정(禮樂刑政)의 치도(治道)도 소도천신제에서 발생한 것이다.

소도의 신명축제는 신성한 종교제의의 장(場)이자 교육의 장이었다. 『태백일사(太白逸史)』에 보면 “소도가 선 곳에는 충효신용인(忠孝信勇仁)의 오상(五常)의 도가 있었다” 하고 “소도의 옆에는 반드시 경당(扃堂)을 세워 미혼자제(未婚子弟)에게 사물을 강습하였다. 대개 독서(讀書), 습사(習射), 치마(馳馬), 예절, 가악(歌樂), 권박(拳搏)겸 검술(劍術) 등의 육례(六禮)였다”고 하였다. 신채호 역시 소도의 경기 내용으로 한맹(寒盟), [수박](/topic/수박)(手搏), 검술(劍術), 궁시(弓矢), [격구](/topic/격구)(擊球), 금환(金丸), 주마(走馬), 회렵(會獵)을 들고 있다.

과거 우리 민족의 삶 공간은 들(野)이 아닌 산(山)이었다.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所道洞)에 있는 태백산 정상을 살펴보면 태백산에는 소도당골이 있고 솟대(짐대)까지 있다.산 정상에 올라가 보면 대형 운동장만한 공간을 만나게 된다. 그 정도 공간이라면 별읍을 건설할 만하다. 또 성역(堂)이 사방 주위에 펼쳐져 있기 때문에 ‘특별한 성역(神域)’이라 부를 만하다.
집문당한국의 전통춤정병호1999
진대굿 모습
17672
진대굿 모습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21229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진대굿 모습
17662
진대굿 모습
진대굿 모습
17658
진대굿 모습
송호리 짐대제 독축
19398
송호리 짐대제 독축
진대굿 모습
17651
진대굿 모습
송호리 짐대제 헌작
19399
송호리 짐대제 헌작
송호리 짐대제 장면
19393
송호리 짐대제 장면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21237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21236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진대굿 모습
17672
진대굿 모습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21229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진대굿 모습
17662
진대굿 모습
진대굿 모습
17658
진대굿 모습
송호리 짐대제 독축
19398
송호리 짐대제 독축
진대굿 모습
17651
진대굿 모습
송호리 짐대제 헌작
19399
송호리 짐대제 헌작
송호리 짐대제 장면
19393
송호리 짐대제 장면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21237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21236
한목마을 솟대세우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