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삼신모시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소삼신모시기
아기의 출산과 성장을 주관하는 삼신이 있듯이 소에게도 소삼신이 있다고 여겨 생육을 담당하는 소삼신에게 행하는 제의.
definition
아기의 출산과 성장을 주관하는 삼신이 있듯이 소에게도 소삼신이 있다고 여겨 생육을 담당하는 소삼신에게 행하는 제의.
mp3Cnt
0
wkorname
황경순
정의아기의 출산과 성장을 주관하는 삼신이 있듯이 소에게도 소삼신이 있다고 여겨 생육을 담당하는 소삼신에게 행하는 제의.
정의아기의 출산과 성장을 주관하는 삼신이 있듯이 소에게도 소삼신이 있다고 여겨 생육을 담당하는 소삼신에게 행하는 제의.
기타[외양간](/topic/외양간)에 돌을 걸기도 한다. 이는 암소를 낳으라고 기원하기 위한 것이다. 개울에 구멍 뚫린 동그란 돌을 실에 꿰어 외양간에 걸어 둔다. 향후 소가 많이 늘어나기를 기원하며 걸어 두는 것이다. 이 돌을 ‘소왕신’이라고도 한다. 소가 아프면 소왕신에게 물을 떠 놓고 빌면서 빨리 낫기를 기원한다. 그리고 밖에서 음식이 들어오면 소왕신에게 먼저 올렸다가 가족이 먹는다. 그러지 않고 바로 먹게 되면 소나 가족이 앓게 된다고 한다. 소가 새끼를 낳으면 [대문](/topic/대문)에 대나무 [가지](/topic/가지)를 걸어 둔다. 이를 ‘금석’이라고 불렀다. 흉사를 치른 사람의 출입을 막기 위함이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기타[외양간](/topic/외양간)에 돌을 걸기도 한다. 이는 암소를 낳으라고 기원하기 위한 것이다. 개울에 구멍 뚫린 동그란 돌을 실에 꿰어 외양간에 걸어 둔다. 향후 소가 많이 늘어나기를 기원하며 걸어 두는 것이다. 이 돌을 ‘소왕신’이라고도 한다. 소가 아프면 소왕신에게 물을 떠 놓고 빌면서 빨리 낫기를 기원한다. 그리고 밖에서 음식이 들어오면 소왕신에게 먼저 올렸다가 가족이 먹는다. 그러지 않고 바로 먹게 되면 소나 가족이 앓게 된다고 한다. 소가 새끼를 낳으면 [대문](/topic/대문)에 대나무 [가지](/topic/가지)를 걸어 둔다. 이를 ‘금석’이라고 불렀다. 흉사를 치른 사람의 출입을 막기 위함이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내용소를 키운다고 하여도 모든 집에서 소삼신을 모시지는 않는다. 비정기적 제의과 정기적인 제의가 있다. 정기적으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이나 [가을고사](/topic/가을고사) 때 다른 [가신](/topic/가신)과 함께 밥이나 떡을 올리는 경우이다. 비정기적인 제의는 좀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 소가 새끼를 낳을 때 난산의 기미가 보이면 [외양간](/topic/외양간) 앞에 밥과 나물을 장만하여 차려 놓는다. 소가 송아지를 낳으면 [금줄](/topic/금줄)에 소깐(솔방울)만 꽂아서 마구간에 사흘 동안 쳐 놓기도 한다. 소가 새끼를 순산하지 못하면 외양간 앞에 물을 떠다 놓고 빈다. 소도 사람처럼 삼신이 있어서 삼신에게 비는 것이다. 빌 때는 소 여물통 위에 물 한 동이를 올려놓고 [비손](/topic/비손)한다. 특별히 날을 정해 모시지는 않지만 해물이나 육붙이를 오랜만에 사 오거나 외부에서 얻어 오면 먼저 소삼신에게 올렸다가 내려서 먹는다. 소삼신은 송아지를 가[지게](/topic/지게) 하거나 빨리 자라게 한다고 믿는다. 소삼신에 대한 대접이 소홀하면 송아지를 낳아도 금방 죽는다고 여긴다.

소 구영 앞에다가 문어를 삶아 놓거나 쇠고기를 사다 놓고 대접하기도 한다. 소귀신이 문어를 좋아해서 “문어 장사가 그 집에 들어왔다가는 문어를 팔고 가야지, 못 팔고는 못 간다.”는 말도 있다. 집안에 우한이 생기면 소외양간에서 굿을 하여 잘못을 빌고 다시 모시기도 한다. 강원도지역에서 소삼신은 ‘소귀신’, ‘군웅’, ‘소군웅’, ‘소왕신’ 등으로도 불리는 등 혼재되어 있다.
내용소를 키운다고 하여도 모든 집에서 소삼신을 모시지는 않는다. 비정기적 제의과 정기적인 제의가 있다. 정기적으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이나 [가을고사](/topic/가을고사) 때 다른 [가신](/topic/가신)과 함께 밥이나 떡을 올리는 경우이다. 비정기적인 제의는 좀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 소가 새끼를 낳을 때 난산의 기미가 보이면 [외양간](/topic/외양간) 앞에 밥과 나물을 장만하여 차려 놓는다. 소가 송아지를 낳으면 [금줄](/topic/금줄)에 소깐(솔방울)만 꽂아서 마구간에 사흘 동안 쳐 놓기도 한다. 소가 새끼를 순산하지 못하면 외양간 앞에 물을 떠다 놓고 빈다. 소도 사람처럼 삼신이 있어서 삼신에게 비는 것이다. 빌 때는 소 여물통 위에 물 한 동이를 올려놓고 [비손](/topic/비손)한다. 특별히 날을 정해 모시지는 않지만 해물이나 육붙이를 오랜만에 사 오거나 외부에서 얻어 오면 먼저 소삼신에게 올렸다가 내려서 먹는다. 소삼신은 송아지를 가[지게](/topic/지게) 하거나 빨리 자라게 한다고 믿는다. 소삼신에 대한 대접이 소홀하면 송아지를 낳아도 금방 죽는다고 여긴다.

소 구영 앞에다가 문어를 삶아 놓거나 쇠고기를 사다 놓고 대접하기도 한다. 소귀신이 문어를 좋아해서 “문어 장사가 그 집에 들어왔다가는 문어를 팔고 가야지, 못 팔고는 못 간다.”는 말도 있다. 집안에 우한이 생기면 소외양간에서 굿을 하여 잘못을 빌고 다시 모시기도 한다. 강원도지역에서 소삼신은 ‘소귀신’, ‘군웅’, ‘소군웅’, ‘소왕신’ 등으로도 불리는 등 혼재되어 있다.
지역사례제주도지역에서는 쇠막([외양간](/topic/외양간)) 액막이로 부적을 붙이기도 하였다. 소가 아프면 스님이 청해서 빌어 주기도 한다. 이때 쇠막는 없다. 송아지를 기를 때 갑자기 송아지가 뒤로 자빠져서 뻣뻣해질 경우 스님에게 경을 읽게 하여 풀어내기도 한다. 이 경우 쇠막을 새로 지으면서 못질을 하였을 경우 동티가 나서 송아지에게 탈이 난다고 여긴다. 송아지가 아무 이유 없이 잘 먹지 못하거나 배설하지 못할 때도 동티가 났다고 여겨 쌀뜨물을 뿌려서 [비손](/topic/비손)하여 낫게 한다. 쇠막을 함부로 고치고 동티나 나면 소가 아프거나 죽기도 한다. 이 경우 주로 산에 가서 빌어준 뒤 [시렁](/topic/시렁)목 석자 정도를 말아서 태워 준다.

제주도지역에서 정월에 하는 [올레대위](/topic/올레대위) 때 심방을 청해 밥 한두 숟가락, 쌀 한 숟가락, 제물 하나를 종이에 싸서 마구간 위의 공간에 끼워 두도록 하였다. 집안 내 여느 신들과 달리 마귀신에게는 제물을 싸 [가지](/topic/가지)고 올리면서 위하도록 하였다.

강원도지역에서는 대체로 소를 키우는 집에서는 ‘산’을 모시는 경우가 많다. 신격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소를 관장하는 신으로 알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산을 받는다.’며 외양간에 흰 종이를 걸어서 산의 신체(神體)로 삼고 소의 건강을 빈다. 특히 [산메기](/topic/산메기)를 하러 산에 다녀오면 외양간에 걸린 흰 종이를 교체해서 걸어 두거나 또는 베 한 조각을 걸어 놓기도 한다. 소는 산에 풀어 놓고 먹이기 때문에 산신이 잘 보살펴 주어야 탈 없이 잘 자란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가정에 따라서는 집안에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 육고기가 들어오면 반드시 마구에 놓았다가 먹어야 탈이 없고, 그냥 고기를 먹었다간 배앓이를 한다는 말이 있다. 소가 새끼를 가지지 못하면 외양간 앞에 물 한 동이를 놓고 빌면 소가 수태를 한다는 말도 있다.

소가 잘 먹지 않고 며칠씩 병을 앓게 되어 점을 보아 액이 끼었거나 하면 밥을 냄비에 지어서 소 머리맡에 놓고 빈다. 이때 “밥을 해 놨으니까 반가이 먹고 소가 빨리 낫도록 해 달라고”고 하기도 하고 “소가 여물 잘 먹고 죽 잘 먹게 해 달라.”고 빌고 나서 칼등을 들어서 돌려 던진다. 무당을 불러다가 빌기도 한다.

경상도지역에서는 소가 송아지를 낳으면 왼새끼로 만든 [금줄](/topic/금줄)을 외양간 앞이나 [대문](/topic/대문)에 사흘 동안 쳤다. 송아지를 낳았을 때도 상주나 부정한 사람이 오면 탈이 나기 때문에 잘 가려야 한다고 여겼다. 주부들은 마구간 앞에 물을 떠 놓고 소삼신에게 송아지가 탈 없이 잘 크도록 빌고, 송아지가 아플 때에도 물을 떠 놓고 빌었다.

송아지를 낳으면 마구에 물을 한 버치 떠 놓고 소삼신에게 “소삼신, 어진 삼신” 이라고 하면서 송아지가 젖을 잘 먹고 병 없이 크도록 빈다. 송아지가 젖을 잘 안 먹을 때에도 물을 떠 놓고 빈다. 그러나 송아지를 낳았을 때 금줄은 치지 않는다.

소삼신과 사람삼신이 같다는 이야기도 있다. 소가 새끼를 낳은 뒤 송아지가 젖을 잘 물지 못하면 물을 떠 놓고 빈다. “사람삼신이나 소삼신이나 영험하시니 새끼소 젖 좀 잘 먹게 해 주소.”라고 빈다.

소도 새끼를 낳으면 사람이 출산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조심해야 한다. 주인이 장사(葬事)에 가면 송아지의 눈이 빨개진다고 한다. 또한 새끼를 낳고 사흘 까지는 [마당](/topic/마당)도 쓸지 않아야 한다. 이 기간에 물을 떠 놓고 판을 차린다. 소는 ‘삼일칠’을 한다고 한다. 송아지를 낳고 사흘째 되는 날이 사람으로 따지면 이레에 해당하는 것이다. 가정에 따라서는 사람처럼 [삼칠일](/topic/삼칠일) 동안 외양간 앞에 금줄을 드리우기도 하였다.

소가 새끼를 낳은 뒤 돌보지 않으면 주인이 소삼신에게 빌어야 한다. 물 한 그릇을 외양간 구석에 떠 놓고 소삼신께 빌면 어미 소가 새끼를 돌본다고 한다. 소가 아프거나 잘 다니다가 다리를 다치는 수가 있다. 이때에는 소에게 물 한 그릇을 떠 주고 ‘마구주당’이라고 빈다.

충청남도지역에서는 소가 새끼를 낳으면 왼새끼를 꼬아서 대문에 드리운다. 금줄은 사흘이 지난 뒤에 거둔다. 이것 역시 사람과 마찬가지로 부정을 타지 않도록 해 두는 것이다. 소가 부정을 타면 소어미가 새끼에게 젖을 주지 않고 새끼를 발로 찬다. 이런 경우에는 상에 물을 떠서 외양간 [구유](/topic/구유) 앞에 놓고 “미련한 인간이 잘못했습니다. 소삼신이나 사람삼신이나 똑같은데 잘못했습니다.”라고 빈다. 아침마다 두세 차례를 반복하여 정성을 들이면 낫는다.

사람이 죽어서 죽은 부정이 들면 소가 송아지를 발로 차고 젖을 주지 않는다. 이때 외양간 옆에 [부정상](/topic/부정상)을 차려서 소 부정을 풀어 주어야 한다. 부정상 위에는 미역을 넣어 소죽을 한 바가지 쑤어 놓고, 청수에 [고추](/topic/고추)를 세 개 잘라 넣어 부정물도 올린다. 그리고 [된장](/topic/된장) 한 접시, 파란색․빨간색 등 무색 헝겊도 상 위에 함께 놓아 둔다. 부정상은 주인이 차리지만 비손은 무당이 와서 해주어야 잘 듣는다. 비손을 하고 나서 소죽은 소에게 먹이고 상 위에 올린 나머지 제물은 대문 밖에 버린다.

송아지를 낳을 조짐이 보이면 물을 담은 그릇에 재를 세 번 집어넣어 상에 받쳐서 외양간 앞에 가져다 둔다. 송아지를 낳은 뒤에는 그 물을 대문 밖으로 버린다. 부정이 타지 말라는 의미이다.

외양간에 키를 거꾸로 세워 놓고 그 앞에 미역국, 밥, 물을 한 사발씩 올리면서 소금도 한 접시 놓는다. 부정이 가시기를 빈 다음 소금을 제외한 제물은 모두 섞어 소에게 먹인다. 소금은 사흘 동안 그대로 둔다. 소가 새끼를 낳을 때는 순산하라는 의미에서 외양간 앞에 물과 콩을 한 그릇씩 가져다 놓는다.

소가 새끼를 낳을 때는 콩, 팥, 청수를 상 위에 받쳐 외양간 앞에 가져다 놓는다. 소삼신이 삐뚤어지면 어미가 새끼에게 젖도 주지 않고 매우 까다롭게 군다. 가정에 따라서는 송아지가 태어나도 사람이 태어난 것과 마찬가지로 미역국을 올리기도 한다. 부정이 타지 않도록 금줄에 흰 종이를 끼워 드리우기도 한다. 외양간 앞에 숯, 콩, 베를 놓아둔다. 송아지 출산 후 사흘동안 초상집에 가지 않는 등 부정을 가린다.

상주가 새끼 낳은 것을 보았을 때 부정이 잘 든다고 여긴다. 집 주인이 행할 때는 밥, 미역국, 물, 된장, 누런 콩 등을 상 위에 받쳐서 외양간 앞에 놓고, 물이 담긴 그릇에 고추와 숯검정[숯] 세 개씩을 넣어서 함께 놓고 비손을 한다. 이렇게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를 하고 난 뒤 미역국과 밥은 어미 소에게 준다. 사흘 동안 반복하면 부정이 가신다. 독경을 할 줄 아는 이를 불러서 할 때에는 외양간 앞에 밥, 미역국, 된장을 놓고, 함지박에 물을 담는다. 그 안에 바가지를 엎어 놓고 [[복숭아](/topic/복숭아)나무](/topic/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다가 바가지를 두드리면서 경문을 읽는다.

소도 새끼를 낳으면 부정을 가려 주어야 한다. 소가 새끼를 낳을 즈음이 되면 외양간 앞을 천으로 가려서 보지 못하도록 한다. 소가 새끼를 잘 낳도록 하기 위해 물이 들어 있는 바가지에 고추를 넣어서 재 한 접시와 함께 외양간 앞에 놓은 다음 “우수님 새끼를 선선히 잘 낳게 해 달라.”고 한다. 새끼를 낳으면 재는 아무 곳에나 버리고 물은 구유에 부어 준다.

부정한 사람이 집에 들어와 소가 새끼 낳는 것을 보면 어미소가 새끼에게 젖을 주지 않고 발로 찬다. 이런 경우 부정풀이를 해 주어야 하는데 집에서 할 줄 아는 사람이 없으면 선거리를 부른다. 밥과 물을 상 위에 받쳐 외양간 앞에 놓는다. “인간은 눈이 있어도 못 보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니까 소삼신할머니가 소젖도 잘 먹이고 잘 키우게 해 주십사”라고 축원하면서 비손한다. 비손을 하고는 밥과 물을 소구수[구유]에 부어 주어 어미가 먹게 한다.

소가 새끼를 낳으면 대문 앞에 열 십(十)자로 짚을 깔고 사기그릇에 물을 떠다가 재를 세 번 집어넣어 가져다 준다. 이웃에서는 이렇게 하면 소산가(産家)임을 알고 스스로 찾아가지 않는다. 대문 앞에 떠 놓은 물은 이레 정도 그대로 두었다가 버린다. 가정에 따라서는 대문 양쪽에 [황토](/topic/황토)를 세 무더기씩 놓기도 한다.

경기도지역에서는 [가을고사](/topic/가을고사) 때 팥 시루를 시루째로 외양간에 옮겨 놓았다. 소나 말이 병들지 않게 지켜 주는 신인 외양간 구영에게 가을고사 때 콩떡, 팥떡을 반반씩 접시에 담아 가져다 놓는 정도이다.
지역사례제주도지역에서는 쇠막([외양간](/topic/외양간)) 액막이로 부적을 붙이기도 하였다. 소가 아프면 스님이 청해서 빌어 주기도 한다. 이때 쇠막는 없다. 송아지를 기를 때 갑자기 송아지가 뒤로 자빠져서 뻣뻣해질 경우 스님에게 경을 읽게 하여 풀어내기도 한다. 이 경우 쇠막을 새로 지으면서 못질을 하였을 경우 동티가 나서 송아지에게 탈이 난다고 여긴다. 송아지가 아무 이유 없이 잘 먹지 못하거나 배설하지 못할 때도 동티가 났다고 여겨 쌀뜨물을 뿌려서 [비손](/topic/비손)하여 낫게 한다. 쇠막을 함부로 고치고 동티나 나면 소가 아프거나 죽기도 한다. 이 경우 주로 산에 가서 빌어준 뒤 [시렁](/topic/시렁)목 석자 정도를 말아서 태워 준다.

제주도지역에서 정월에 하는 [올레대위](/topic/올레대위) 때 심방을 청해 밥 한두 숟가락, 쌀 한 숟가락, 제물 하나를 종이에 싸서 마구간 위의 공간에 끼워 두도록 하였다. 집안 내 여느 신들과 달리 마귀신에게는 제물을 싸 [가지](/topic/가지)고 올리면서 위하도록 하였다.

강원도지역에서는 대체로 소를 키우는 집에서는 ‘산’을 모시는 경우가 많다. 신격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소를 관장하는 신으로 알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산을 받는다.’며 외양간에 흰 종이를 걸어서 산의 신체(神體)로 삼고 소의 건강을 빈다. 특히 [산메기](/topic/산메기)를 하러 산에 다녀오면 외양간에 걸린 흰 종이를 교체해서 걸어 두거나 또는 베 한 조각을 걸어 놓기도 한다. 소는 산에 풀어 놓고 먹이기 때문에 산신이 잘 보살펴 주어야 탈 없이 잘 자란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가정에 따라서는 집안에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 육고기가 들어오면 반드시 마구에 놓았다가 먹어야 탈이 없고, 그냥 고기를 먹었다간 배앓이를 한다는 말이 있다. 소가 새끼를 가지지 못하면 외양간 앞에 물 한 동이를 놓고 빌면 소가 수태를 한다는 말도 있다.

소가 잘 먹지 않고 며칠씩 병을 앓게 되어 점을 보아 액이 끼었거나 하면 밥을 냄비에 지어서 소 머리맡에 놓고 빈다. 이때 “밥을 해 놨으니까 반가이 먹고 소가 빨리 낫도록 해 달라고”고 하기도 하고 “소가 여물 잘 먹고 죽 잘 먹게 해 달라.”고 빌고 나서 칼등을 들어서 돌려 던진다. 무당을 불러다가 빌기도 한다.

경상도지역에서는 소가 송아지를 낳으면 왼새끼로 만든 [금줄](/topic/금줄)을 외양간 앞이나 [대문](/topic/대문)에 사흘 동안 쳤다. 송아지를 낳았을 때도 상주나 부정한 사람이 오면 탈이 나기 때문에 잘 가려야 한다고 여겼다. 주부들은 마구간 앞에 물을 떠 놓고 소삼신에게 송아지가 탈 없이 잘 크도록 빌고, 송아지가 아플 때에도 물을 떠 놓고 빌었다.

송아지를 낳으면 마구에 물을 한 버치 떠 놓고 소삼신에게 “소삼신, 어진 삼신” 이라고 하면서 송아지가 젖을 잘 먹고 병 없이 크도록 빈다. 송아지가 젖을 잘 안 먹을 때에도 물을 떠 놓고 빈다. 그러나 송아지를 낳았을 때 금줄은 치지 않는다.

소삼신과 사람삼신이 같다는 이야기도 있다. 소가 새끼를 낳은 뒤 송아지가 젖을 잘 물지 못하면 물을 떠 놓고 빈다. “사람삼신이나 소삼신이나 영험하시니 새끼소 젖 좀 잘 먹게 해 주소.”라고 빈다.

소도 새끼를 낳으면 사람이 출산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조심해야 한다. 주인이 장사(葬事)에 가면 송아지의 눈이 빨개진다고 한다. 또한 새끼를 낳고 사흘 까지는 [마당](/topic/마당)도 쓸지 않아야 한다. 이 기간에 물을 떠 놓고 판을 차린다. 소는 ‘삼일칠’을 한다고 한다. 송아지를 낳고 사흘째 되는 날이 사람으로 따지면 이레에 해당하는 것이다. 가정에 따라서는 사람처럼 [삼칠일](/topic/삼칠일) 동안 외양간 앞에 금줄을 드리우기도 하였다.

소가 새끼를 낳은 뒤 돌보지 않으면 주인이 소삼신에게 빌어야 한다. 물 한 그릇을 외양간 구석에 떠 놓고 소삼신께 빌면 어미 소가 새끼를 돌본다고 한다. 소가 아프거나 잘 다니다가 다리를 다치는 수가 있다. 이때에는 소에게 물 한 그릇을 떠 주고 ‘마구주당’이라고 빈다.

충청남도지역에서는 소가 새끼를 낳으면 왼새끼를 꼬아서 대문에 드리운다. 금줄은 사흘이 지난 뒤에 거둔다. 이것 역시 사람과 마찬가지로 부정을 타지 않도록 해 두는 것이다. 소가 부정을 타면 소어미가 새끼에게 젖을 주지 않고 새끼를 발로 찬다. 이런 경우에는 상에 물을 떠서 외양간 [구유](/topic/구유) 앞에 놓고 “미련한 인간이 잘못했습니다. 소삼신이나 사람삼신이나 똑같은데 잘못했습니다.”라고 빈다. 아침마다 두세 차례를 반복하여 정성을 들이면 낫는다.

사람이 죽어서 죽은 부정이 들면 소가 송아지를 발로 차고 젖을 주지 않는다. 이때 외양간 옆에 [부정상](/topic/부정상)을 차려서 소 부정을 풀어 주어야 한다. 부정상 위에는 미역을 넣어 소죽을 한 바가지 쑤어 놓고, 청수에 [고추](/topic/고추)를 세 개 잘라 넣어 부정물도 올린다. 그리고 [된장](/topic/된장) 한 접시, 파란색․빨간색 등 무색 헝겊도 상 위에 함께 놓아 둔다. 부정상은 주인이 차리지만 비손은 무당이 와서 해주어야 잘 듣는다. 비손을 하고 나서 소죽은 소에게 먹이고 상 위에 올린 나머지 제물은 대문 밖에 버린다.

송아지를 낳을 조짐이 보이면 물을 담은 그릇에 재를 세 번 집어넣어 상에 받쳐서 외양간 앞에 가져다 둔다. 송아지를 낳은 뒤에는 그 물을 대문 밖으로 버린다. 부정이 타지 말라는 의미이다.

외양간에 키를 거꾸로 세워 놓고 그 앞에 미역국, 밥, 물을 한 사발씩 올리면서 소금도 한 접시 놓는다. 부정이 가시기를 빈 다음 소금을 제외한 제물은 모두 섞어 소에게 먹인다. 소금은 사흘 동안 그대로 둔다. 소가 새끼를 낳을 때는 순산하라는 의미에서 외양간 앞에 물과 콩을 한 그릇씩 가져다 놓는다.

소가 새끼를 낳을 때는 콩, 팥, 청수를 상 위에 받쳐 외양간 앞에 가져다 놓는다. 소삼신이 삐뚤어지면 어미가 새끼에게 젖도 주지 않고 매우 까다롭게 군다. 가정에 따라서는 송아지가 태어나도 사람이 태어난 것과 마찬가지로 미역국을 올리기도 한다. 부정이 타지 않도록 금줄에 흰 종이를 끼워 드리우기도 한다. 외양간 앞에 숯, 콩, 베를 놓아둔다. 송아지 출산 후 사흘동안 초상집에 가지 않는 등 부정을 가린다.

상주가 새끼 낳은 것을 보았을 때 부정이 잘 든다고 여긴다. 집 주인이 행할 때는 밥, 미역국, 물, 된장, 누런 콩 등을 상 위에 받쳐서 외양간 앞에 놓고, 물이 담긴 그릇에 고추와 숯검정[숯] 세 개씩을 넣어서 함께 놓고 비손을 한다. 이렇게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를 하고 난 뒤 미역국과 밥은 어미 소에게 준다. 사흘 동안 반복하면 부정이 가신다. 독경을 할 줄 아는 이를 불러서 할 때에는 외양간 앞에 밥, 미역국, 된장을 놓고, 함지박에 물을 담는다. 그 안에 바가지를 엎어 놓고 [[복숭아](/topic/복숭아)나무](/topic/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다가 바가지를 두드리면서 경문을 읽는다.

소도 새끼를 낳으면 부정을 가려 주어야 한다. 소가 새끼를 낳을 즈음이 되면 외양간 앞을 천으로 가려서 보지 못하도록 한다. 소가 새끼를 잘 낳도록 하기 위해 물이 들어 있는 바가지에 고추를 넣어서 재 한 접시와 함께 외양간 앞에 놓은 다음 “우수님 새끼를 선선히 잘 낳게 해 달라.”고 한다. 새끼를 낳으면 재는 아무 곳에나 버리고 물은 구유에 부어 준다.

부정한 사람이 집에 들어와 소가 새끼 낳는 것을 보면 어미소가 새끼에게 젖을 주지 않고 발로 찬다. 이런 경우 부정풀이를 해 주어야 하는데 집에서 할 줄 아는 사람이 없으면 선거리를 부른다. 밥과 물을 상 위에 받쳐 외양간 앞에 놓는다. “인간은 눈이 있어도 못 보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니까 소삼신할머니가 소젖도 잘 먹이고 잘 키우게 해 주십사”라고 축원하면서 비손한다. 비손을 하고는 밥과 물을 소구수[구유]에 부어 주어 어미가 먹게 한다.

소가 새끼를 낳으면 대문 앞에 열 십(十)자로 짚을 깔고 사기그릇에 물을 떠다가 재를 세 번 집어넣어 가져다 준다. 이웃에서는 이렇게 하면 소산가(産家)임을 알고 스스로 찾아가지 않는다. 대문 앞에 떠 놓은 물은 이레 정도 그대로 두었다가 버린다. 가정에 따라서는 대문 양쪽에 [황토](/topic/황토)를 세 무더기씩 놓기도 한다.

경기도지역에서는 [가을고사](/topic/가을고사) 때 팥 시루를 시루째로 외양간에 옮겨 놓았다. 소나 말이 병들지 않게 지켜 주는 신인 외양간 구영에게 가을고사 때 콩떡, 팥떡을 반반씩 접시에 담아 가져다 놓는 정도이다.
의의농가에서 소는 매우 중요한 재산이자 노동력이고 식구였다. 소가 건강하게 잘 크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소삼신이 발달되었다. 소는 집안의 큰 재산이며 사람 다음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가 반살림’이라 하여 가족처럼 여겼다. 이것은 소가 농가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가늠하게 해 준다.
의의농가에서 소는 매우 중요한 재산이자 노동력이고 식구였다. 소가 건강하게 잘 크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소삼신이 발달되었다. 소는 집안의 큰 재산이며 사람 다음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가 반살림’이라 하여 가족처럼 여겼다. 이것은 소가 농가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가늠하게 해 준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2005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동해안 탈굿의 변화양상과 축제성김신효2006
한국고전여성문학회동해안탈굿의 여성과 욕망허용호2007
지역민속학회무속탈의 제작법과 문화 체험에의 활용 방안최성진2009
소삼신모시기
13592
소삼신모시기
소삼신모시기
13592
소삼신모시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