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4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3동에 전승되고 있는 [마을](/topic/마을) 제의.
  • 재가집
    532 2023.02.27
    무속제의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의식을 결정하는 주체인 신도.
  • 주당풀이
    532 2023.02.27
    주당을 맞아 거의 죽어가는 환자를 주술적으로 치료하여 살려내는 민간의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에 위치한 조천읍의 바다에 연해 있는 신촌리 주민들이 매년 정월 상정일(上丁日) 또는 [상해일](/topic/상해일)(上亥日)에 지내고 있는 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
  • 진가장무가
    533 2023.02.27
    함경도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시켜 주기 위해 하는 망묵굿 가운데 진가장굿에서 부르는 무가. 진가장이 이정승의 아들 삼형제를 살해하고 그들의 재산을 빼앗은 죄 때문에 죽은 삼형제로부터 보복당하는 이야기이다. 짐가제굿이라고도 한다.
  • 생기복덕
    533 2023.02.27
    그날의 운수를 알아 보는 방법 중 하나. 일진(日辰)과 나이를 팔괘(八卦)에 배정하여 상·중·하 세 효(爻)의 변화로써 운수를 본다. 이것은 [제관](/topic/제관) 선정의 기준이 된다.
  • 서울에 있는 산신을 모셔 숭배하는 [마을](/topic/마을)신당의 이름.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541-1에 있으며, 1973년 1월 26일에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서울굿판에서는 보현산신각 아래에 있는 굿당을 보현산신각으로 불러, 많은 무속인들은 마을신당이 아닌 영업용 굿당으로 인식한다.
  • 하기
    533 2023.02.27
    제의가 끝난 다음 제의에 사용된 비용 및 기타 사항에 관한 결산을 기록해 놓는 장부.
  • 조라술
    533 2023.02.27
    산신제(山神祭)나 [용왕제](/topic/용왕제)(龍王祭) 등에서 산신과 용왕께 올리는 술.
  • 여제
    534 2023.02.27
    [여귀](/topic/여귀)(厲鬼)에게 지내는 제사. 제사를 지내 줄 자손이 없거나 억울하게 죽은 귀신을 ‘여귀’라고 한다. 여제는 이러한 여귀를 위해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 제주제석제
    534 2023.02.27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풍농을 기원하던 의례.
  • 지하장군
    534 2023.02.27
    말을 타고 지하를 수호하는 [장군](/topic/장군)신. 장군신 계통의 무신이다. 지하용마장군, 용마장군, 용장군, 지하제일장군 등으로도 불린다.
  • 진쇠
    534 2023.02.27
    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에서 제석굿에 쓰이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간혹 군웅굿과 새남굿에서 쓰인다고도 하지만 어느 굿거리에서 나왔는지 모호한 경우도 있다.
  • 산신멩감
    534 2023.02.27
    제주도지역에서 수렵이나 목축을 주업으로 하는 집안이나 그것을 [생업](/topic/생업)으로 한 조상을 모신 집안에서 음력 정월에 들판에 나가 생업의 풍요를 기원하고 조상을 대접하는 제의. [멩감제](/topic/멩감제)의 하나이다.
  • 인삼고사
    534 2023.02.27
    [인삼](/topic/인삼)을 재배하는 가정에서 인삼농사의 풍작을 위해 [생업](/topic/생업) 현장인 인삼밭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