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쇠

한국무속신앙사전
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에서 제석굿에 쓰이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간혹 군웅굿과 새남굿에서 쓰인다고도 하지만 어느 굿거리에서 나왔는지 모호한 경우도 있다.
definition
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에서 제석굿에 쓰이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간혹 군웅굿과 새남굿에서 쓰인다고도 하지만 어느 굿거리에서 나왔는지 모호한 경우도 있다.
mp3Cnt
0
wkorname
변남섭
정의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에서 제석굿에 쓰이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간혹 군웅굿과 새남굿에서 쓰인다고도 하지만 어느 굿거리에서 나왔는지 모호한 경우도 있다.
내용제석굿은 다각도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굿거리 가운데 하나이다. 신화인 본풀이와음악인 장단의 구성이 드러나는 것으로, 여기에서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등채](/topic/봉등채), 신모듬, 도살풀이, 오니섭채, 거리노랫가락 등이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춤사위](/topic/춤사위)가 화려하고 장단이 두드러지는 것이 진쇠장단이다.

진쇠는 장단이 집을 짓는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장단이 하나로 되어 있지 않고 여러 장단이 함께 어울려서 하나의 장단을 구성하는 것을 ‘집을 짓는다’고 한다. 진쇠에서 이러한 특징이 확인된다. 진쇠는 산이제의 경기도굿에서만 쓰이는 특별한 장단이다. 이 장단의 구성에서 필요한 장단은 순서에 따라 나열하면 진쇠장단, 올림채, 넘김채, [겹마치](/topic/겹마치)기, 자진굿거리이다. 또한 진쇠장단 가운데 중요한 장단만 간추려 보면 진쇠장단의 한 세트를 볼 수 있다.

![무속신앙 진쇠](/upload/img/20170106/20170106171850_t_.jpg)

진쇠장단에서 올림채로 갔다가 다시금 천둥채를 거쳐서 넘김채로 가고, 마지막으로 겹마치기로 가는 것이 이 장단의 특징적인 전개 과정이다. 춤 장단의 전개 과정과 일치하지만 전반적인 전개는 불규칙적인 혼소박장단에서 규칙적인 소박장단으로 전개된다. 진쇠장단은 [엇모리장단](/topic/엇모리장단)의 하위 요소인 3+2의 엇모리형 요소로 되고, 이어서 청보 1장과 유사한 것을 네 차례 제시한 뒤 다시 원래의 시작 리듬 요소로 돌아간다. 장단이 한 층 한 칸으로 되어 있지 않고 다시금 장단이 반복되다가 발전하는 악구형으로 진전되는데, 이것을 장단이 집을 짓는다고 한다.

진쇠는 홑채 초보 장단이 있고, 겹채 중보 장단이 있으며, 세 번째는 암수겹채라고 하여 세 [가지](/topic/가지)의 틀을 지니고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래서 장단의 전체적 구성을 삼십 박의 장단에 징이 열두 점 쳐진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의의진쇠는 [장단](/topic/장단)이 음악적으로 아름다울 뿐 아니라 전형적인 춤 장단에 해당함으로써 [춤사위](/topic/춤사위) 구현에 절대적인 기능을 한다. 진쇠장단이 춤사위와 더불어 연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가 더욱 긴요하다. 삼진삼퇴(三進三退)를 하면서 오방에다 춤을 추는 것이 이 춤의 기본적인 춤사위이다. 진쇠장단은 산이 또는 공원들이 서로 모여 기예 겨루기를 하면서 연주하는 음악 가운데 하나로, 올림채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도 한다. 진쇠장단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공력을 요구하는 굿거리 음악이다. 이 굿거리 음악이 결과적으로 다양한 무속의 춤사위 구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진쇠장단은 [태평무](/topic/태평무)(太平舞)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물론 장단의 세부적인 구성은 다르지만 태평무가 일정하게 진쇠장단과 관련이 있을 개연성이 있다. [무악](/topic/무악)이 무무(巫舞)를 위해 연주하는 것이고, 무무의 연주에 무악이 작동하는 것으로 본다면 진쇠장단이 태평무의 형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진쇠장단외 십일장단 (박헌봉,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28, 문교부, 1966)
[시나위](/topic/시나위) (유기룡ㆍ이보형,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82, 문화재관리국, 1971)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 (김헌선, 집문당, 1995)
한국의 무속장단 (임수정, 민속원, 1999)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 (성금연 편, 민속원, 2000)
경기판소리의 정착과 형성집단 (김헌선, 경기판소리, 경기도 국악당, 2005)
집문당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1986
민속원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진성기1991
제주도무속자료사전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