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차리산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차리1구 [마을](/topic/마을) 뒷산인 [장군](/topic/장군)산 3부 능선에 있는 ‘뒷골’과 ‘산신각’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정월 초하룻날부터 사흘 동안 지내는 산신제.
definition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차리1구 [마을](/topic/마을) 뒷산인 [장군](/topic/장군)산 3부 능선에 있는 ‘뒷골’과 ‘산신각’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정월 초하룻날부터 사흘 동안 지내는 산신제.
mp3Cnt
0
wkorname
이관호
정의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차리1구 [마을](/topic/마을) 뒷산인 [장군](/topic/장군)산 3부 능선에 있는 ‘뒷골’과 ‘산신각’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정월 초하룻날부터 사흘 동안 지내는 산신제.
정의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차리1구 [마을](/topic/마을) 뒷산인 [장군](/topic/장군)산 3부 능선에 있는 ‘뒷골’과 ‘산신각’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정월 초하룻날부터 사흘 동안 지내는 산신제.
내용차리1구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사흗날까지 사흘 동안 [마을](/topic/마을) 뒷산인 [장군](/topic/장군)산(해발 300m, 정상에 장군바위가 있음)의 ‘뒷골’과 ‘산신각’에서 ‘산제’를 지낸다. 산신각 아래에는 산제당인 ‘장군암’이 자리하고 있다. 산신각은 마을로부터 약 1㎞ 떨어져 있으며, 산신각 주변에는 큰 바위 세 개가 북·서·동쪽에 [병풍](/topic/병풍)처럼 삼각형으로위치해 있다. 산신각은 정남향을 하고 있으며, 마을을 아래로 굽어보고 있다. 산신각은 [부엌](/topic/부엌) 한 칸, 제당 한 칸, 방([제관](/topic/제관)들의 휴식을위한 공간) 한 칸 등 모두 세 칸 집으로되어 있다.

제의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사흗날까지 사흘 동안 계속 진행된다. 즉 초하룻날 아침 9시 30분쯤에 당집으로 올라가 제를 지낸 뒤 초사흗날 새벽 4시쯤에 산신각에서 하산한다. 일단 제를 지내기 위해 산신각에 올라간 제관들은 제가 끝날 때까지 산에서 내려올 수 없다. 산신각에서 밥을 해 먹으면서 땔나무와 제 지낼 준비를 한다.

한편 ‘산신’을 위하는 차리1구의 산제는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해마다 행해진다. 이 덕에6·25전쟁 때도 마을 사람 가운데 한 사람도 다친 사람이 없다고 한다. 한때 산제를 지내지 않았다가 마을에 불이 나고 돼지나 소 등 [가축](/topic/가축)들을 맹수들이 잡아가는 피해가 있어 다시 산제를 지냈다고 한다. 산신당 안에는 ‘산신도’가 모셔져 있다. 현재의 산신도는 1970년대에 고 한임균이 모본을 필사하여 새로 제작한 것으로, 예전 산신도와 비슷하게 그렸으나 예전 것보다는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한다. 현재의 산신각은 [새마을운동](/topic/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산제당 철거 명령이 내려졌지만, 주민들이 인지면사무소에 정식으로 신고하여(일련번호 13-1호) [지붕](/topic/지붕)개량 및 재건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관리되고 있다.

산제는 마을에서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보아 선출된 제주(祭主)가 담당한다. 이 마을에서는 제관을 모두 제주라고 부른다. 제주는 음력 섣달 스무날쯤에 모두 세 명을 선출하는데, 제주의 선출은 산제당 아래에 있는 장군암에서 담당한다. 제주를 선출하면 생기복덕을 봐주었던 장군암의 사람이 제주에 선출된 사람들을 찾아다니면서 “산에 올라가서 수고 좀하자”고 한다. 제주에 선출되면 제일 당일인 정월 초하루 새벽 5시 무렵에 제주 집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린다. 금줄은 왼새끼에 [한지](/topic/한지)를 길게 잘라 일곱 장을 사이사이에 꽂는다. 황토는 세 무더기를 일렬로 대문 앞에 놓는다. 이러한 금줄은 산신각에도 친다. 산신각에는 황토를 뿌리지 않는다. 제주 집과 산신각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리는 것은 부정한 사람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서이다. 이처럼 산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topic/가지) 금기와 부정을 방지해야 한다. 제주의 경우 선정된 날부터 근신해야 하며, 선출된 이후에라도 어떤 문제가 있으면 곧바로 새로 선출한다. 특히 제주 집에서 닭을 잡거나 피를 보게 되면 섣달그믐날 이전에 산신이 손을 다치게 하든지 해를 준다. 제주 이외의 마을사람들은 이러한 금기 사항을 엄격히 지키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마을에 초상이 나더라도 제주들만 초상집에 가지 않으면 상관없다.

한편 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제물 구입 등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각 반장이 경비는 가구당 2,000원을 걸립해서 충당하지만, 기독교인의 경우 내지 않는다. 예전에는 형편에 따라 돈 대신 쌀 한두 되를 자기 치성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에 알아서 자율적으로 냈다고 한다. 제주는 돈을 낸 사람들을 위해서 산제사를 지낼 때 소지를 모두 올려주며 군대에 간 사람은 돈을 내지 않았다 하더라도 소지를 올려준다.

제사 비용이 마련되면 제물을 준비한다. 제물은 크게 산제사와 유황제에 쓸 제물을 따로 장만한다. 산제사에는 호두, 밤, 은행, 돼지머리, [북어](/topic/북어) 두 마리(새벽에 산제당 근처에서 지내는 유황제와 산제사에 사용), 노구메 한 그릇, 팥시루떡, 청수, 초 두 개, 향 등을 올린다. 이 마을에서는 돼지머리를 ‘제수’라고 부른다. 팥시루떡은 지금도 산에서 쌀가루를 내어 만든다. 떡은 99%는 잘 익지만 익지 않을 때는 부정이 타서 그렇다고 여긴다. 한편 유황제에는 이보다 제물이 간단하다. 마을회관 앞에서 지내는 유황제에는 북어 한 마리와 돼지머리, 쌀가루로 만든 팥범벅만을 올린다.

![마을신앙 서산차리사제](/upload/img/20170106/20170106143550_t_.jpg)

제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일인 정월 초하룻날 아침 8시에 제주들은 제물을 [지게](/topic/지게)에 지고 산신각으로 올라가 산신각의 샘에서 유황제를 지낸다. 유황제에는 북어 한 마리와청수 한 그릇만을 올린다. 진설이 끝나면 세 명의 제주가 동시에 재배하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용왕님께 소지를 올린다. 용왕 소지는 한 장만 올리고 세 명의 제주 소지를 차례로 올리면 유황제는 끝난다. 유황제가 끝나면 2홉 정도의 쌀로 노구메를 짓는다. 밥이 다 익으면 북어 한 마리와 청수 한 그릇을 산신도 아래에 진설해 놓고 제를 지낸다.제주 세 사람이 동시에 재배를 한다. 재배가 끝나면 “장군산 산왕대신 전에 소지 한 장 축원 하나이다”라고 하면서 소지를 올린다. 산신 소지가 끝나면 역시 이곳에서도 제주 세 명의 소지를 차례로 올린다. 그런 다음 산신에 올린 노구메로 술을 담근다. 이 술을 ‘곡자’ 또는‘조라’라고 부른다. 이어 30~40분 간격으로 산신을 모신 제당에 ‘청수’를 갈아 놓는다.

산제는 초이튿날 밤 12시(초사흗날 0시)에 지낸다. 제물을 진설한 다음 제관 일동이 재배를 한다. 이어 [독축](/topic/독축)하고 장군산 산왕 소지, 제주 세 명의 소지, 개인 소지를 차례로올린다. 개인 소지는 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대로 올린다. 소지가 끝나면 [음복](/topic/음복)을 하고 나서 하산한다.

하산 뒤에는 마을회관의 샘(지금은 없음)에서 유황제를 지낸다. 우선 돼지머리를 회관에서 삶고, 팥범벅을 만든 다음 청수를 떠 놓고 유황제를 지낸다. 유황제는 재배-용왕소지-제주 세 명의 소지 순으로 진행된다. 소지를 올리고 나면 모든 제의는 끝난다. 모두 자기 집으로 돌아가 쉬었다가 아침에 회관에 모여 결산을 하면서 음복을 한다.
한편 [축문](/topic/축문)은 한글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유황제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진행된다. 마을회관 앞 공동[우물](/topic/우물)에 제물을 진설하며 ‘열 십(十)’ 자 로 짚을 편 다음 그 위에다 양동이에 물을 가득 담아 놓는다. 진설은 왼쪽부터 팥범벅(7개), 돼지머리, 북어의 순이다. 다음 재배를 하고 이어 축원을 하면서 소지를 올린다. 소지가 끝나면 돼지머리를 조금 떼어내 먼저고[수레](/topic/수레)를 한 다음 팥범벅으로 고수레를 한다.

여기서 양동이에 물을 가득 담아 놓는 것은 우물에서 일 년 내내 풍부하게 물이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라고 한다. 그리고 제물 가운데 돼지머리의 정수리에는 식칼을 꽂아놓는다.
참고문헌내포지역 [마을](/topic/마을)신앙의 전승과 [변이](/topic/변이) (이관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내용차리1구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사흗날까지 사흘 동안 [마을](/topic/마을) 뒷산인 [장군](/topic/장군)산(해발 300m, 정상에 장군바위가 있음)의 ‘뒷골’과 ‘산신각’에서 ‘산제’를 지낸다. 산신각 아래에는 산제당인 ‘장군암’이 자리하고 있다. 산신각은 마을로부터 약 1㎞ 떨어져 있으며, 산신각 주변에는 큰 바위 세 개가 북·서·동쪽에 [병풍](/topic/병풍)처럼 삼각형으로위치해 있다. 산신각은 정남향을 하고 있으며, 마을을 아래로 굽어보고 있다. 산신각은 [부엌](/topic/부엌) 한 칸, 제당 한 칸, 방([제관](/topic/제관)들의 휴식을위한 공간) 한 칸 등 모두 세 칸 집으로되어 있다.

제의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사흗날까지 사흘 동안 계속 진행된다. 즉 초하룻날 아침 9시 30분쯤에 당집으로 올라가 제를 지낸 뒤 초사흗날 새벽 4시쯤에 산신각에서 하산한다. 일단 제를 지내기 위해 산신각에 올라간 제관들은 제가 끝날 때까지 산에서 내려올 수 없다. 산신각에서 밥을 해 먹으면서 땔나무와 제 지낼 준비를 한다.

한편 ‘산신’을 위하는 차리1구의 산제는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해마다 행해진다. 이 덕에6·25전쟁 때도 마을 사람 가운데 한 사람도 다친 사람이 없다고 한다. 한때 산제를 지내지 않았다가 마을에 불이 나고 돼지나 소 등 [가축](/topic/가축)들을 맹수들이 잡아가는 피해가 있어 다시 산제를 지냈다고 한다. 산신당 안에는 ‘산신도’가 모셔져 있다. 현재의 산신도는 1970년대에 고 한임균이 모본을 필사하여 새로 제작한 것으로, 예전 산신도와 비슷하게 그렸으나 예전 것보다는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한다. 현재의 산신각은 [새마을운동](/topic/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산제당 철거 명령이 내려졌지만, 주민들이 인지면사무소에 정식으로 신고하여(일련번호 13-1호) [지붕](/topic/지붕)개량 및 재건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관리되고 있다.

산제는 마을에서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보아 선출된 제주(祭主)가 담당한다. 이 마을에서는 제관을 모두 제주라고 부른다. 제주는 음력 섣달 스무날쯤에 모두 세 명을 선출하는데, 제주의 선출은 산제당 아래에 있는 장군암에서 담당한다. 제주를 선출하면 생기복덕을 봐주었던 장군암의 사람이 제주에 선출된 사람들을 찾아다니면서 “산에 올라가서 수고 좀하자”고 한다. 제주에 선출되면 제일 당일인 정월 초하루 새벽 5시 무렵에 제주 집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린다. 금줄은 왼새끼에 [한지](/topic/한지)를 길게 잘라 일곱 장을 사이사이에 꽂는다. 황토는 세 무더기를 일렬로 대문 앞에 놓는다. 이러한 금줄은 산신각에도 친다. 산신각에는 황토를 뿌리지 않는다. 제주 집과 산신각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리는 것은 부정한 사람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서이다. 이처럼 산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topic/가지) 금기와 부정을 방지해야 한다. 제주의 경우 선정된 날부터 근신해야 하며, 선출된 이후에라도 어떤 문제가 있으면 곧바로 새로 선출한다. 특히 제주 집에서 닭을 잡거나 피를 보게 되면 섣달그믐날 이전에 산신이 손을 다치게 하든지 해를 준다. 제주 이외의 마을사람들은 이러한 금기 사항을 엄격히 지키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마을에 초상이 나더라도 제주들만 초상집에 가지 않으면 상관없다.

한편 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제물 구입 등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각 반장이 경비는 가구당 2,000원을 걸립해서 충당하지만, 기독교인의 경우 내지 않는다. 예전에는 형편에 따라 돈 대신 쌀 한두 되를 자기 치성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에 알아서 자율적으로 냈다고 한다. 제주는 돈을 낸 사람들을 위해서 산제사를 지낼 때 소지를 모두 올려주며 군대에 간 사람은 돈을 내지 않았다 하더라도 소지를 올려준다.

제사 비용이 마련되면 제물을 준비한다. 제물은 크게 산제사와 유황제에 쓸 제물을 따로 장만한다. 산제사에는 호두, 밤, 은행, 돼지머리, [북어](/topic/북어) 두 마리(새벽에 산제당 근처에서 지내는 유황제와 산제사에 사용), 노구메 한 그릇, 팥시루떡, 청수, 초 두 개, 향 등을 올린다. 이 마을에서는 돼지머리를 ‘제수’라고 부른다. 팥시루떡은 지금도 산에서 쌀가루를 내어 만든다. 떡은 99%는 잘 익지만 익지 않을 때는 부정이 타서 그렇다고 여긴다. 한편 유황제에는 이보다 제물이 간단하다. 마을회관 앞에서 지내는 유황제에는 북어 한 마리와 돼지머리, 쌀가루로 만든 팥범벅만을 올린다.

![마을신앙 서산차리사제](/upload/img/20170106/20170106143550_t_.jpg)

제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일인 정월 초하룻날 아침 8시에 제주들은 제물을 [지게](/topic/지게)에 지고 산신각으로 올라가 산신각의 샘에서 유황제를 지낸다. 유황제에는 북어 한 마리와청수 한 그릇만을 올린다. 진설이 끝나면 세 명의 제주가 동시에 재배하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용왕님께 소지를 올린다. 용왕 소지는 한 장만 올리고 세 명의 제주 소지를 차례로 올리면 유황제는 끝난다. 유황제가 끝나면 2홉 정도의 쌀로 노구메를 짓는다. 밥이 다 익으면 북어 한 마리와 청수 한 그릇을 산신도 아래에 진설해 놓고 제를 지낸다.제주 세 사람이 동시에 재배를 한다. 재배가 끝나면 “장군산 산왕대신 전에 소지 한 장 축원 하나이다”라고 하면서 소지를 올린다. 산신 소지가 끝나면 역시 이곳에서도 제주 세 명의 소지를 차례로 올린다. 그런 다음 산신에 올린 노구메로 술을 담근다. 이 술을 ‘곡자’ 또는‘조라’라고 부른다. 이어 30~40분 간격으로 산신을 모신 제당에 ‘청수’를 갈아 놓는다.

산제는 초이튿날 밤 12시(초사흗날 0시)에 지낸다. 제물을 진설한 다음 제관 일동이 재배를 한다. 이어 [독축](/topic/독축)하고 장군산 산왕 소지, 제주 세 명의 소지, 개인 소지를 차례로올린다. 개인 소지는 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대로 올린다. 소지가 끝나면 [음복](/topic/음복)을 하고 나서 하산한다.

하산 뒤에는 마을회관의 샘(지금은 없음)에서 유황제를 지낸다. 우선 돼지머리를 회관에서 삶고, 팥범벅을 만든 다음 청수를 떠 놓고 유황제를 지낸다. 유황제는 재배-용왕소지-제주 세 명의 소지 순으로 진행된다. 소지를 올리고 나면 모든 제의는 끝난다. 모두 자기 집으로 돌아가 쉬었다가 아침에 회관에 모여 결산을 하면서 음복을 한다.
한편 [축문](/topic/축문)은 한글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유황제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진행된다. 마을회관 앞 공동[우물](/topic/우물)에 제물을 진설하며 ‘열 십(十)’ 자 로 짚을 편 다음 그 위에다 양동이에 물을 가득 담아 놓는다. 진설은 왼쪽부터 팥범벅(7개), 돼지머리, 북어의 순이다. 다음 재배를 하고 이어 축원을 하면서 소지를 올린다. 소지가 끝나면 돼지머리를 조금 떼어내 먼저고[수레](/topic/수레)를 한 다음 팥범벅으로 고수레를 한다.

여기서 양동이에 물을 가득 담아 놓는 것은 우물에서 일 년 내내 풍부하게 물이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라고 한다. 그리고 제물 가운데 돼지머리의 정수리에는 식칼을 꽂아놓는다.
참고문헌내포지역 [마을](/topic/마을)신앙의 전승과 [변이](/topic/변이) (이관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유래‘산제’라고 불리는 [마을](/topic/마을)제는 언제부터 지내기 시작하였는지는 잘 알 수 없으나 아주 오래 되었다고 한다. 산제를 지내는 곳인 산신각은 오래전부터 당집건물이었으며, 원래 이 당집을 ‘산제당’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새로 산제당을 지으면서 ‘산신각’ [현판](/topic/현판)을 달았다. 옛날 산제당은 흙벽에 [초가집](/topic/초가집)이었으나 [새마을운동](/topic/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지붕](/topic/지붕)을 함석ㅋ으로 개량하였다고 한다. 이후 1997년 예전 당집을 헐고 벽돌과 슬레이트를 사용하여 현재의 당집을 새로 지었다.
유래‘산제’라고 불리는 [마을](/topic/마을)제는 언제부터 지내기 시작하였는지는 잘 알 수 없으나 아주 오래 되었다고 한다. 산제를 지내는 곳인 산신각은 오래전부터 당집건물이었으며, 원래 이 당집을 ‘산제당’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새로 산제당을 지으면서 ‘산신각’ [현판](/topic/현판)을 달았다. 옛날 산제당은 흙벽에 [초가집](/topic/초가집)이었으나 [새마을운동](/topic/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지붕](/topic/지붕)을 함석ㅋ으로 개량하였다고 한다. 이후 1997년 예전 당집을 헐고 벽돌과 슬레이트를 사용하여 현재의 당집을 새로 지었다.
집문당한국민간신앙연구김태곤1983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2005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2005
국립문화재연구소무·굿과 음식 2200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