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문풀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상사로 일어난 부정을 풀어내는 의례. 상갓집에 다녀오고 나서 몸이 아프면 ‘상문이 들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의례이다. 민간요법과 무속의례가 있다.
definition
상사로 일어난 부정을 풀어내는 의례. 상갓집에 다녀오고 나서 몸이 아프면 ‘상문이 들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의례이다. 민간요법과 무속의례가 있다.
mp3Cnt
0
wkorname
황루시
정의상사로 일어난 부정을 풀어내는 의례. 상갓집에 다녀오고 나서 몸이 아프면 ‘상문이 들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의례이다. 민간요법과 무속의례가 있다.
정의상사로 일어난 부정을 풀어내는 의례. 상갓집에 다녀오고 나서 몸이 아프면 ‘상문이 들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의례이다. 민간요법과 무속의례가 있다.
내용상가에 다녀와 상문이 들면 배가 아프거나 머리가 아프다. 이때에는 약을 먹어도 별 소용이 없고 반드시 상문풀기를 해야고 여긴다. 그러나 상문이 몸 앞쪽으로 오거나 가슴으로 파고들면 죽는다고 믿어 무서워한다. 민간요법으로 풀기도 하지만 상문이 위험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무당이나 경객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민간요법은 축귀와 죽음을 모의하는 것 두 [가지](/topic/가지)가 있다. 경기도지역에서는 김치와 쌀로 죽을 쑤어 손 없는 방향으로 내던진다. 그리고 칼을 던지며, 이때 칼끝이 바깥으로 나가면 귀신이 나간 것으로 여긴다. “이거 먹고 퇴청하라”고 외치고 칼을 멀리 던진다.

또는 팥을 [맷돌](/topic/맷돌)에 타서 쌀을 한 움큼 넣고 죽을 쑤어 성주와 아픈 사람 머리맡에 한 그릇씩 퍼다 놓는다. 손 없는 쪽으로 세 걸음을 걸어 나가 칼을 던지면서 “물 좋고 경치 좋은 데로 썩 물러가라. 안 가면 옥추경을 읽을 것이다.”라고 소리친 뒤 머리맡에 둔 팥죽은 끼얹고 성주에 놓은 팥죽은 환자에게 먹인다.

죽음을 모의하여 상문을 제거할 때는 상문이 든 사람을 [마당](/topic/마당)에 내놓고 [거적](/topic/거적)으로 둘러서 각성바지 세 사람이 [달구질](/topic/달구질) 소리를 세 번씩 낸다. 상문이 든 사람은 나간 곳으로 들어오지 않고 앞문으로 나갔으면 뒷문으로 들어온다. 이로써 상문이 든 사람이 죽었다고 생각한 상문은 나간다.
내용상가에 다녀와 상문이 들면 배가 아프거나 머리가 아프다. 이때에는 약을 먹어도 별 소용이 없고 반드시 상문풀기를 해야고 여긴다. 그러나 상문이 몸 앞쪽으로 오거나 가슴으로 파고들면 죽는다고 믿어 무서워한다. 민간요법으로 풀기도 하지만 상문이 위험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무당이나 경객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민간요법은 축귀와 죽음을 모의하는 것 두 [가지](/topic/가지)가 있다. 경기도지역에서는 김치와 쌀로 죽을 쑤어 손 없는 방향으로 내던진다. 그리고 칼을 던지며, 이때 칼끝이 바깥으로 나가면 귀신이 나간 것으로 여긴다. “이거 먹고 퇴청하라”고 외치고 칼을 멀리 던진다.

또는 팥을 [맷돌](/topic/맷돌)에 타서 쌀을 한 움큼 넣고 죽을 쑤어 성주와 아픈 사람 머리맡에 한 그릇씩 퍼다 놓는다. 손 없는 쪽으로 세 걸음을 걸어 나가 칼을 던지면서 “물 좋고 경치 좋은 데로 썩 물러가라. 안 가면 옥추경을 읽을 것이다.”라고 소리친 뒤 머리맡에 둔 팥죽은 끼얹고 성주에 놓은 팥죽은 환자에게 먹인다.

죽음을 모의하여 상문을 제거할 때는 상문이 든 사람을 [마당](/topic/마당)에 내놓고 [거적](/topic/거적)으로 둘러서 각성바지 세 사람이 [달구질](/topic/달구질) 소리를 세 번씩 낸다. 상문이 든 사람은 나간 곳으로 들어오지 않고 앞문으로 나갔으면 뒷문으로 들어온다. 이로써 상문이 든 사람이 죽었다고 생각한 상문은 나간다.
지역사례경기도 고양지역에서 무당이 상문을 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곡](/topic/오곡) 볶은 것, 북어 세 마리, 날고기(쇠고기나 돼지고기), 계란 세 개, 아픈 사람의 [속옷](/topic/속옷), 오색 천, 소창 한 자, 베 한 자, 잡밥 등을 준비한다. 상문을 풀 때는 꼭 날고기가 필요하다. 날고기를 북어 세 마리의 입에 물리고 계란 세 개에는 아픈 사람의 이름과 나이를 쓰면서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이라고 적는다. 원래 산 닭을 사서 파묻어야 하지만 번거롭기 때문에 계란을 대신 쓰는 것이다. 잡밥은 아픈 사람의 나이대로 숟가락으로 떠서 밥을 하고, 이 밥에 막걸리 한 병과 엿기름을 부은 것이다. 본격적인 상문풀기는 뒷전에서 한다. [마당](/topic/마당)에 차린 뒷전 상에 밥 세 공기와 한 접시에 밥 세 무더기를 놓고 술 세 잔을 붓는다. 아픈 사람을 마당에 내다 놓고 천으로 두른 다음 잡밥을 끼얹고 칼로 둘러낸다. 그리고 북어로도 둘러낸 다음 계란을 깨뜨려서 오곡 볶은 것을 끼얹는다.

경기도 양주지역에서는 상가에 다녀오자마자 곧 병이 났을 때 [군웅상](/topic/군웅상)문이 따라온 것으로 믿고, 퇴치 방법도 다르게 한다. 군웅은 이승에서 다 못 살고 죽은 한 많은 젊은 사람이 된다. 이때는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topic/복숭아)나무](/topic/복숭아나무) [가지](/topic/가지)를 꺾어서 살을 쳐내야 한다. 왼새끼를 꼬아서 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 살을 매어 화살을 일곱 개 내지 아홉 개 만든다. 군웅상문이 든 사람을 향해 화살을 쏘아 상문을 쳐낸다. 상문이 든 사람을 마당에 앉혀 놓고 오방기를 씌우고, 그 위에 베 [무명](/topic/무명) 청색무색 속옷을 씌운다. 등 위로 조밥을 던져 쳐낸 뒤 활로 쏜다.

독경이 활발한 충북지역에서는 상문이 들면 경객을 부르거나 이를 잘 푸는 사람에게 부탁한다. 이 의례를 [거리제](/topic/거리제)라고도 한다. 청원지역에서는 쌀과 [된장](/topic/된장)으로 죽을 쑤어 바가지에 담고 소금을 넣는다. 식칼로 아픈 사람의 머리카락을 빡빡 긁고 머리카락을 끊어서 바가지에 담고 침을 뱉는다. 이것을 가지고 [대문](/topic/대문) 밖으로 나가서 “잡신이 붙었으니 물러가라.”고 진언하면서 “이것 실컷 먹고 나가라.”며 죽 쑨 것을 던지고 칼을 던진다. 칼끝이 밖으로 나가면 귀신이 나간 것이다. 집에 들어올 때는 다른 길로 돌아서 들어온다.

서울이나 황해도 무당이 진오기굿을 할 때도 마지막에 상문을 푼다. 상주들과 임종을 한 사람을 대상으로 상문을 풀어 주는 것이다. 무당은 베 조각을 상주의 목에 묶듯이 걸고 칼을 머리 위에 휘두르면서 세 번 자른 뒤 칼산을 던진다.

상문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상문은 누구나 다 드는 것이 아니라 특별히 수가 나쁜 사람에게 든다고 믿는다. 또한 예방이 가능하다고 믿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흔한 방법은 소금으로 부정을 가시는 것이다. 운세가 안 좋은 사람이 상가에 갈 때에는 문간에서 소금을 뿌리고 들어간다.

운수가 좋지 않음에도 [문상](/topic/문상)을 가야 하는 경우, 경기도 동두천지역에서는 ‘게장’ 국물을 몸에 찍고 간다. 게장을 조금 먹거나 국물을 찍어 정수리에 바르고 가면 상문이 예방된다고 한다. 성남지역에서는 게장 안에 들어 있는 게 다리(집게발)를 싸서 보내기도 한다. 게의 집게발이 꽉 집는 성질이 있어 나쁜 기운을 잡아낼 수 있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경기도 부천지역에서는 문상을 다녀온 뒤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변소에 들어갔다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뒷간](/topic/뒷간)에 들러 [지붕](/topic/지붕) 네 귀퉁이에서 짚을 빼내어 불을 피우고 그 불을 넘어서 집 안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변소에 [고추](/topic/고추)와 통후추를 세 개씩 [변기](/topic/변기) 안에 버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고추와 후추의 매운 맛이 잡귀를 떨쳐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초상집에서 얻어온 음식이나 물건은 먼저 변소 지붕에 꽂아 두었다가 집 안으로 들인다.
참고문헌[김금화](/topic/김금화)의 무가집 (김금화, 문음사, 1995)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지역사례경기도 고양지역에서 무당이 상문을 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곡](/topic/오곡) 볶은 것, 북어 세 마리, 날고기(쇠고기나 돼지고기), 계란 세 개, 아픈 사람의 [속옷](/topic/속옷), 오색 천, 소창 한 자, 베 한 자, 잡밥 등을 준비한다. 상문을 풀 때는 꼭 날고기가 필요하다. 날고기를 북어 세 마리의 입에 물리고 계란 세 개에는 아픈 사람의 이름과 나이를 쓰면서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이라고 적는다. 원래 산 닭을 사서 파묻어야 하지만 번거롭기 때문에 계란을 대신 쓰는 것이다. 잡밥은 아픈 사람의 나이대로 숟가락으로 떠서 밥을 하고, 이 밥에 막걸리 한 병과 엿기름을 부은 것이다. 본격적인 상문풀기는 뒷전에서 한다. [마당](/topic/마당)에 차린 뒷전 상에 밥 세 공기와 한 접시에 밥 세 무더기를 놓고 술 세 잔을 붓는다. 아픈 사람을 마당에 내다 놓고 천으로 두른 다음 잡밥을 끼얹고 칼로 둘러낸다. 그리고 북어로도 둘러낸 다음 계란을 깨뜨려서 오곡 볶은 것을 끼얹는다.

경기도 양주지역에서는 상가에 다녀오자마자 곧 병이 났을 때 [군웅상](/topic/군웅상)문이 따라온 것으로 믿고, 퇴치 방법도 다르게 한다. 군웅은 이승에서 다 못 살고 죽은 한 많은 젊은 사람이 된다. 이때는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topic/복숭아)나무](/topic/복숭아나무) [가지](/topic/가지)를 꺾어서 살을 쳐내야 한다. 왼새끼를 꼬아서 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 살을 매어 화살을 일곱 개 내지 아홉 개 만든다. 군웅상문이 든 사람을 향해 화살을 쏘아 상문을 쳐낸다. 상문이 든 사람을 마당에 앉혀 놓고 오방기를 씌우고, 그 위에 베 [무명](/topic/무명) 청색무색 속옷을 씌운다. 등 위로 조밥을 던져 쳐낸 뒤 활로 쏜다.

독경이 활발한 충북지역에서는 상문이 들면 경객을 부르거나 이를 잘 푸는 사람에게 부탁한다. 이 의례를 [거리제](/topic/거리제)라고도 한다. 청원지역에서는 쌀과 [된장](/topic/된장)으로 죽을 쑤어 바가지에 담고 소금을 넣는다. 식칼로 아픈 사람의 머리카락을 빡빡 긁고 머리카락을 끊어서 바가지에 담고 침을 뱉는다. 이것을 가지고 [대문](/topic/대문) 밖으로 나가서 “잡신이 붙었으니 물러가라.”고 진언하면서 “이것 실컷 먹고 나가라.”며 죽 쑨 것을 던지고 칼을 던진다. 칼끝이 밖으로 나가면 귀신이 나간 것이다. 집에 들어올 때는 다른 길로 돌아서 들어온다.

서울이나 황해도 무당이 진오기굿을 할 때도 마지막에 상문을 푼다. 상주들과 임종을 한 사람을 대상으로 상문을 풀어 주는 것이다. 무당은 베 조각을 상주의 목에 묶듯이 걸고 칼을 머리 위에 휘두르면서 세 번 자른 뒤 칼산을 던진다.

상문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상문은 누구나 다 드는 것이 아니라 특별히 수가 나쁜 사람에게 든다고 믿는다. 또한 예방이 가능하다고 믿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흔한 방법은 소금으로 부정을 가시는 것이다. 운세가 안 좋은 사람이 상가에 갈 때에는 문간에서 소금을 뿌리고 들어간다.

운수가 좋지 않음에도 [문상](/topic/문상)을 가야 하는 경우, 경기도 동두천지역에서는 ‘게장’ 국물을 몸에 찍고 간다. 게장을 조금 먹거나 국물을 찍어 정수리에 바르고 가면 상문이 예방된다고 한다. 성남지역에서는 게장 안에 들어 있는 게 다리(집게발)를 싸서 보내기도 한다. 게의 집게발이 꽉 집는 성질이 있어 나쁜 기운을 잡아낼 수 있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경기도 부천지역에서는 문상을 다녀온 뒤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변소에 들어갔다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뒷간](/topic/뒷간)에 들러 [지붕](/topic/지붕) 네 귀퉁이에서 짚을 빼내어 불을 피우고 그 불을 넘어서 집 안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변소에 [고추](/topic/고추)와 통후추를 세 개씩 [변기](/topic/변기) 안에 버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고추와 후추의 매운 맛이 잡귀를 떨쳐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초상집에서 얻어온 음식이나 물건은 먼저 변소 지붕에 꽂아 두었다가 집 안으로 들인다.
참고문헌[김금화](/topic/김금화)의 무가집 (김금화, 문음사, 1995)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한국의 민속지화에 관한 연구강신영1984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한국지화에 관한 연구 Ⅱ- 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김태연1985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박기복1986
집문당한국무가집 4김태곤 편1992
한국무속학회무화연구 (1)김태연2001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지화 연구김명희2002
한국무속학회서울굿 신화 연구양종승·최진아2002
한국무속학회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 Ⅰ심상교2003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