볏가리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이월 초하룻날에 정월 열나흗날 세운 볏가릿대 앞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농부들의 진솔한 염원을 담아 제(祭)를 지내고 노는 풍농기원 세시의례.
definition
이월 초하룻날에 정월 열나흗날 세운 볏가릿대 앞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농부들의 진솔한 염원을 담아 제(祭)를 지내고 노는 풍농기원 세시의례.
mp3Cnt
0
wkorname
이인화
정의이월 초하룻날에 정월 열나흗날 세운 볏가릿대 앞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농부들의 진솔한 염원을 담아 제(祭)를 지내고 노는 풍농기원 세시의례.
정의이월 초하룻날에 정월 열나흗날 세운 볏가릿대 앞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농부들의 진솔한 염원을 담아 제(祭)를 지내고 노는 풍농기원 세시의례.
내용볏가릿대는 벼를 베어서 길게 세워 쌓거나 볏단을 차곡차곡 위로 쌓은 더미인 ‘[볏가리](/topic/볏가리)(낟가리)’에서 나온 말이다. 볏가릿대는 긴 나뭇대(竿) 높이만큼 풍년이 들어 볏가리를쌓게 해 달라는 기원의 의미에서 세운, 잘 자란 벼를 상징하는 풍년기원 우주목(宇宙木)이다. 이런 세시기원 의례이던 볏가리제는 풍년을 다지는 제의로 변화했다.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마을](/topic/마을)의 공동[우물](/topic/우물)에 길이 10m 정도의 대나무·소나무 등에 끝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다듬어 우물에 세운 뒤 동아줄로 넘어지지 않게 세 갈래로 매어 놓고, [볏짚](/topic/볏짚)으로 오쟁이를 만들어 [오곡](/topic/오곡)(쌀, [보리](/topic/보리), 콩, 조, [기장](/topic/기장))을 각각 넣어 나무 위에 매달아 음력 이월 초하룻날 동네 주민들이 풍물을 치며 세워 놓은 볏가릿대 앞에서 볏가리제를지낸다. 볏가리제는 마을의 고령자가 팥떡시루, 돼지고기, 삼색실과 등 제물을 차려 놓고 술잔을 올리며 풍년을 기원하는 [축문](/topic/축문)을 읽었다. 그런 다음 볏가릿대 누이기를 한다. 이때 [농악](/topic/농악)을 한바탕 치고 난 뒤 꼭대기에 매달린 씨오쟁이에 넣은 벼·보리·콩·[수수](/topic/수수)·조 등 오곡이 물에 불었으면 “쌀 텄다, 쌀 텄다” 하고 소리를 지르며 풍년이들 것을점치고, 오곡 가운데에서도 잘 불은 [곡물](/topic/곡물)을 심어 풍년을 기약하였다. 그런 다음 동아 밧줄을 [가마니](/topic/가마니)에 담아 광에 들이면서 “천석이요, 만석이요”하며 풍년 들기를 기원하였다.
내용볏가릿대는 벼를 베어서 길게 세워 쌓거나 볏단을 차곡차곡 위로 쌓은 더미인 ‘[볏가리](/topic/볏가리)(낟가리)’에서 나온 말이다. 볏가릿대는 긴 나뭇대(竿) 높이만큼 풍년이 들어 볏가리를쌓게 해 달라는 기원의 의미에서 세운, 잘 자란 벼를 상징하는 풍년기원 우주목(宇宙木)이다. 이런 세시기원 의례이던 볏가리제는 풍년을 다지는 제의로 변화했다.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마을](/topic/마을)의 공동[우물](/topic/우물)에 길이 10m 정도의 대나무·소나무 등에 끝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다듬어 우물에 세운 뒤 동아줄로 넘어지지 않게 세 갈래로 매어 놓고, [볏짚](/topic/볏짚)으로 오쟁이를 만들어 [오곡](/topic/오곡)(쌀, [보리](/topic/보리), 콩, 조, [기장](/topic/기장))을 각각 넣어 나무 위에 매달아 음력 이월 초하룻날 동네 주민들이 풍물을 치며 세워 놓은 볏가릿대 앞에서 볏가리제를지낸다. 볏가리제는 마을의 고령자가 팥떡시루, 돼지고기, 삼색실과 등 제물을 차려 놓고 술잔을 올리며 풍년을 기원하는 [축문](/topic/축문)을 읽었다. 그런 다음 볏가릿대 누이기를 한다. 이때 [농악](/topic/농악)을 한바탕 치고 난 뒤 꼭대기에 매달린 씨오쟁이에 넣은 벼·보리·콩·[수수](/topic/수수)·조 등 오곡이 물에 불었으면 “쌀 텄다, 쌀 텄다” 하고 소리를 지르며 풍년이들 것을점치고, 오곡 가운데에서도 잘 불은 [곡물](/topic/곡물)을 심어 풍년을 기약하였다. 그런 다음 동아 밧줄을 [가마니](/topic/가마니)에 담아 광에 들이면서 “천석이요, 만석이요”하며 풍년 들기를 기원하였다.
역사[볏가리](/topic/볏가리)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의례로, 정월대보름을 중요하게 인식한 고대부터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홍석모(洪錫謨)는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849) [상원](/topic/상원)(上元) [화적](/topic/화적)(禾積)·[화간](/topic/화간)(禾竿)조에서 “시골 농가에서는 대보름 하루 전에 짚을 묶어 큰 깃대 형상[纛狀]으로 만들어 그 안에 禾[벼]·黍[[기장](/topic/기장)]·稷[피]·粟[조]의 이삭을 집어넣어 싸고 [목화](/topic/목화)를 장대 꼭대기에 매단다. 이것을 집 곁에 세우고 새끼를 늘어뜨려 고정시키는데, 이를 화적(禾積, 노적가리)이라고 한다. 이것은 그해의 풍년을 비는 풍속이다. 산간지방에서는 대보름 하루 전날에 [가지](/topic/가지)가 많은 나무를 골라서 [외양간](/topic/외양간) 뒤에 세우고 곡식의 이삭과 목화를 걸어 둔다. 동네 아이들이 보름날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서 세워 둔 나무를 둘러싸고 서서 돌며 노래를 부르고 풍년을 기원하는데, 해가 뜨면 그만둔다. …… 민간에서 장대 끝에 벼이삭을 달아맨 화간(禾竿, 볏가릿대)을 세우는 일도 이것과 같다”고 하였고, 권용정(1801~?)은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 부(附) 세시잡영(歲時雜詠) 이란 7언시에서 “10자의 긴 장대 사람처럼 서 있고/꼭대기에 묶인 풀 바람에 날리네/ 부잣집 사들인 땅 대부분 기름지니/해마다 곡식이 잘 익기를 기원하네/ 달구지에 실어 온 볏단 집안에 가득하여/닭이나 개조차 먹을 만큼 넉넉하네/ 가난한 집 [송곳](/topic/송곳) 꽂을 땅도 없으니/[지붕](/topic/지붕) 위에 어떻게 장대를 세우리오/ 부잣집 닭과 개에게도 미치지 못하니/종일토록 일을 해도 먹지를 못하네/ 눈 깜짝할 사이에 입장이 바뀐다네/ 지난해 동쪽 집에 세운 장대가/올해 다시 서쪽 집 지붕에 있네/ 해마다 장대는 세우고 내리지만/평생 바라는 일 뜻대로 되지 않네/ 어느 때에나 다시 균전법이 행해져/[마을](/topic/마을)마다 집집마다 장대 높이 세울까” 하였다. 또 이익(李瀷)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우리나라 풍속이 귀신을 신봉하여 화간을 만들고 지전(紙錢)을 매달아……”라고 하여 화간, 화적, 도간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또『 동국세시기』에서 “정월대보름날에 세웠던 화간에서 벼를 내려 흰 떡을 만든다”라고 하였고, 유득공(柳得恭, 1749~?)이 편찬한 『[경도잡지](/topic/경도잡지)(京都雜志)』의 이월 초하룻날 조에 “정월보름날 세웠던 볏가릿대(화간)를 내려 솔잎을 겹겹으로 깔아 떡을 만들어 노비들을 먹인다”라는 기록이 있어 볏가리제가 이루어지는 광경은 파악되지 않으나 이월 초하룻날이 시농일(始農日)에 일꾼들에게 떡을 해 먹고 놀도록 하면서 기원[고사](/topic/고사)도 지낸 것으로 보인다.

송석하는 1934년에 발표한 「풍신고(風神考)-부(附) 화간고(禾竿考)」에서 볏가릿대는 현재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농경의례로, 한강이남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입간민속(立竿民俗)이라고 하였다. 송석하에 따르면 볏가릿대[禾竿]는 정월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기다란 장대 위에 짚꾸러미를 달고 여기에 통대를 가늘게 쪼갠 것을 축축 늘어뜨리고, 통대 조각에는 [백지](/topic/백지)(白紙)를 길고 좁게 잘라 한쪽만 잔칼질하여 찬찬히 감아 둔다. 이 민속은 화상(禾狀)의 물태(物態)를 만들어 두고 이와 같이 풍년이 되어 달라는것과 조해(鳥害)가 없도록, 즉 기조(忌鳥)하는 이중신앙이라고 하였다.

이 밖에 조선시대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이자(李耔, 1480~1533)의 『음애일기(陰崖日記)』, 아키바 다카시(秋葉隆)의「 巨濟島の立竿民俗」등에서 볏가릿대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처럼 볏가리제는 [노비일](/topic/노비일)(奴婢日)인 이월 초하룻날 볏가릿대에 의례를 행하는 [유감주술](/topic/유감주술)적 풍농기원 의례로, 벼이삭을 내려 송편(松餠)을 빚어 종들에게 나누어 주며 놀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큰 장대 위에 곡식을 매달거나 깃발을 매다는 것은 농작물이 그렇게 큰 키로 성장하여 풍성한 결실을 맺도록 갈망하는 것이다. 권용정의 『세시잡영』에는 화간을 부농가에서만 세운 것이라고 한 점으로 보아 화간은 부(富)의 상징이기도 했다.
역사[볏가리](/topic/볏가리)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의례로, 정월대보름을 중요하게 인식한 고대부터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홍석모(洪錫謨)는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849) [상원](/topic/상원)(上元) [화적](/topic/화적)(禾積)·[화간](/topic/화간)(禾竿)조에서 “시골 농가에서는 대보름 하루 전에 짚을 묶어 큰 깃대 형상[纛狀]으로 만들어 그 안에 禾[벼]·黍[[기장](/topic/기장)]·稷[피]·粟[조]의 이삭을 집어넣어 싸고 [목화](/topic/목화)를 장대 꼭대기에 매단다. 이것을 집 곁에 세우고 새끼를 늘어뜨려 고정시키는데, 이를 화적(禾積, 노적가리)이라고 한다. 이것은 그해의 풍년을 비는 풍속이다. 산간지방에서는 대보름 하루 전날에 [가지](/topic/가지)가 많은 나무를 골라서 [외양간](/topic/외양간) 뒤에 세우고 곡식의 이삭과 목화를 걸어 둔다. 동네 아이들이 보름날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서 세워 둔 나무를 둘러싸고 서서 돌며 노래를 부르고 풍년을 기원하는데, 해가 뜨면 그만둔다. …… 민간에서 장대 끝에 벼이삭을 달아맨 화간(禾竿, 볏가릿대)을 세우는 일도 이것과 같다”고 하였고, 권용정(1801~?)은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 부(附) 세시잡영(歲時雜詠) 이란 7언시에서 “10자의 긴 장대 사람처럼 서 있고/꼭대기에 묶인 풀 바람에 날리네/ 부잣집 사들인 땅 대부분 기름지니/해마다 곡식이 잘 익기를 기원하네/ 달구지에 실어 온 볏단 집안에 가득하여/닭이나 개조차 먹을 만큼 넉넉하네/ 가난한 집 [송곳](/topic/송곳) 꽂을 땅도 없으니/[지붕](/topic/지붕) 위에 어떻게 장대를 세우리오/ 부잣집 닭과 개에게도 미치지 못하니/종일토록 일을 해도 먹지를 못하네/ 눈 깜짝할 사이에 입장이 바뀐다네/ 지난해 동쪽 집에 세운 장대가/올해 다시 서쪽 집 지붕에 있네/ 해마다 장대는 세우고 내리지만/평생 바라는 일 뜻대로 되지 않네/ 어느 때에나 다시 균전법이 행해져/[마을](/topic/마을)마다 집집마다 장대 높이 세울까” 하였다. 또 이익(李瀷)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우리나라 풍속이 귀신을 신봉하여 화간을 만들고 지전(紙錢)을 매달아……”라고 하여 화간, 화적, 도간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또『 동국세시기』에서 “정월대보름날에 세웠던 화간에서 벼를 내려 흰 떡을 만든다”라고 하였고, 유득공(柳得恭, 1749~?)이 편찬한 『[경도잡지](/topic/경도잡지)(京都雜志)』의 이월 초하룻날 조에 “정월보름날 세웠던 볏가릿대(화간)를 내려 솔잎을 겹겹으로 깔아 떡을 만들어 노비들을 먹인다”라는 기록이 있어 볏가리제가 이루어지는 광경은 파악되지 않으나 이월 초하룻날이 시농일(始農日)에 일꾼들에게 떡을 해 먹고 놀도록 하면서 기원[고사](/topic/고사)도 지낸 것으로 보인다.

송석하는 1934년에 발표한 「풍신고(風神考)-부(附) 화간고(禾竿考)」에서 볏가릿대는 현재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농경의례로, 한강이남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입간민속(立竿民俗)이라고 하였다. 송석하에 따르면 볏가릿대[禾竿]는 정월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기다란 장대 위에 짚꾸러미를 달고 여기에 통대를 가늘게 쪼갠 것을 축축 늘어뜨리고, 통대 조각에는 [백지](/topic/백지)(白紙)를 길고 좁게 잘라 한쪽만 잔칼질하여 찬찬히 감아 둔다. 이 민속은 화상(禾狀)의 물태(物態)를 만들어 두고 이와 같이 풍년이 되어 달라는것과 조해(鳥害)가 없도록, 즉 기조(忌鳥)하는 이중신앙이라고 하였다.

이 밖에 조선시대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이자(李耔, 1480~1533)의 『음애일기(陰崖日記)』, 아키바 다카시(秋葉隆)의「 巨濟島の立竿民俗」등에서 볏가릿대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처럼 볏가리제는 [노비일](/topic/노비일)(奴婢日)인 이월 초하룻날 볏가릿대에 의례를 행하는 [유감주술](/topic/유감주술)적 풍농기원 의례로, 벼이삭을 내려 송편(松餠)을 빚어 종들에게 나누어 주며 놀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큰 장대 위에 곡식을 매달거나 깃발을 매다는 것은 농작물이 그렇게 큰 키로 성장하여 풍성한 결실을 맺도록 갈망하는 것이다. 권용정의 『세시잡영』에는 화간을 부농가에서만 세운 것이라고 한 점으로 보아 화간은 부(富)의 상징이기도 했다.
지역사례조선시대 문헌과 최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조사하여 발행한 도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에서 볏가릿대는 [화간](/topic/화간), [화적](/topic/화적), [도간](/topic/도간), 노적, 유짓대, [유지지](/topic/유지지), [볏가리](/topic/볏가리), 유지방, 유지봉, 유조지,오지봉, 유주지, 유주뱅이, 유두뱅이, 유구지, 햇대, 보름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한다. 볏가리제는 이름에 차이가 있지만 전국적으로 광범하게 전승되었다. 특히 충남 당진군, 서산시, 태안군 지역에서는 현재도 많이 재현되며 경북지방에서는 이 풍속이 적게 파악된다.

송석하는 「풍신고」에서 볏가리제는 현재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농경의례로, 한강이남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고 하였다. 충남 당진군 고대면 옥현리는 1995년까지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을](/topic/마을) 대동샘에다 대나무 끝에 꿩의 꼬리털을 달고 짚을 뭉쳐 매단 볏가릿대를 [농악](/topic/농악)대가 동반한 가운데 세우고 이월 초하룻날 [고사](/topic/고사)를 지낸 다음 쓰러뜨렸다. 또한 충남 당진군 당진읍 대덕리 볏가릿대 세우기는 정월 열나흗날 큰 소를 먹이는 집에 가서 동아줄을 틀어 볏가릿대를 세우고 이월 초하룻날 볏가릿대를 쓰러뜨렸다. 이때 볏가릿대 세울 때 쓴 동아줄을 잘라 섬에 담아 부잣집광에 넣어 주었으며, 동아줄 섬을 들이길 기다려 “볏섬 들어온다”라고 소리쳤다. 볏가릿대는 웬만한 집에서 다 세웠고, 이 동네에서도 10여 개를 세웠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술 조사 때문에 집집마다 세우다가 못 세우고 공동[우물](/topic/우물)에만 세웠다.

현재 볏가릿대는 당진군 당진읍 구룡리,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 화정, 당진군 송악읍 기지시리 [줄다리기](/topic/줄다리기) 행사장, 서산시 대산읍 환성리3구, 대산읍 운산리5구 횟개마을, 인지면야당리 등의 마을 한복판에 을씨년스럽게 재현되고 있다. 볏가릿대는 농사를 많이 짓는 대농가마다 세우고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 볏가릿대를 하는 날에 그 집에서 술과 떡, 과일 같은 것을 푸짐하게 내어 [머슴](/topic/머슴)이나 [소작](/topic/소작)인들이 배불리 먹었다고 한다. 서산시 대산읍 운산리5구 횟개 볏가릿대는 과거 세 마을에 세웠으나 1950년에 중단되어 1990년 마을회관 앞 논에서 [대추](/topic/대추), 밤, 곶감, 배, [사과](/topic/사과), [시루떡](/topic/시루떡), 술, [북어](/topic/북어) 등의 제물을 차려 놓고 재현되었다. 당진읍 구룡리는 1991년 당진군 농촌지도소에서 지역[농업](/topic/농업)개발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마을 주민의 화합 도모 및 농촌의 고유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를 되살리고자 백승환 등에게 자문해 재현하게 되었다. 서산시 음암면 도당6리 바위백이에서는 정월대보름날 아침 일찍 젊은 사람들이 산에 가서 소나무나 대나무를 베어다 맨 꼭대기 [가지](/topic/가지)만 남기고 잔가지를 쳐서 짚으로 옷을 입힌다. 그리고 쌀·[수수](/topic/수수)·콩 등 곡식의 씨앗을 담은 [주머니](/topic/주머니)를 매달아 동아줄로 고정시킨다. 동아줄은 위에서부터 세 가닥으로 묶고 줄을 너덜너덜하게 늘어뜨려 땅에 고정시킨다. 볏가릿대를 세우고 나면 떡, 술, 삼색과일, 돼지머리, 나물 등을 장만해 볏가릿대 앞에 상을 차리고 농악패의 [상쇠](/topic/상쇠)가 나와서 제사를 지낸다. 볏가릿대를 세우는 장소는 동네의 부잣집 근처이며, 볏가릿대를 세우는 날에는 부잣집에서 술과 떡 등 음식을 장만해 동네사람들을 대접한다. 정월대보름날 세워 둔 볏가릿대는 이월 초하룻날 쓰러트린다.

이처럼 당진·서산 지역 볏가릿대는 평야 대부분의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농토가 많은 부농 등 개인 제의부터 대동샘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자연마을 단위로 전승되어 오다가최근에는 이(里) 단위로 마을 한복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충청남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東國輿地勝覽, 星湖僿說, 歲時雜詠, 巨濟島の立竿民俗 (秋葉隆, 조선민속 1, 조선민속학회, 1933)
풍신고 (송석하, 진단학보 1, 진단학회, 1934)
청주지 (청주시지편찬위원회, 1961)
당진의 민간신앙 (이인화, 당진문화원, 1996)
한국의 문화코드 열다섯 [가지](/topic/가지) (김열규, 도서출판 부키, 1997)
충청북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볏가릿대고[禾竿考]-내포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이관호, 생활문물연구 4, 국립민속박물관, 2002)
조선대세시기 1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원, 2003)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충남 내포지역 [마을](/topic/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민속원, 2006)
궁중 [내농작](/topic/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를 생각하며 (배영동, 한국민속학 45, 한국민속학회, 2007)
지역사례조선시대 문헌과 최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조사하여 발행한 도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에서 볏가릿대는 [화간](/topic/화간), [화적](/topic/화적), [도간](/topic/도간), 노적, 유짓대, [유지지](/topic/유지지), [볏가리](/topic/볏가리), 유지방, 유지봉, 유조지,오지봉, 유주지, 유주뱅이, 유두뱅이, 유구지, 햇대, 보름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한다. 볏가리제는 이름에 차이가 있지만 전국적으로 광범하게 전승되었다. 특히 충남 당진군, 서산시, 태안군 지역에서는 현재도 많이 재현되며 경북지방에서는 이 풍속이 적게 파악된다.

송석하는 「풍신고」에서 볏가리제는 현재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농경의례로, 한강이남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고 하였다. 충남 당진군 고대면 옥현리는 1995년까지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을](/topic/마을) 대동샘에다 대나무 끝에 꿩의 꼬리털을 달고 짚을 뭉쳐 매단 볏가릿대를 [농악](/topic/농악)대가 동반한 가운데 세우고 이월 초하룻날 [고사](/topic/고사)를 지낸 다음 쓰러뜨렸다. 또한 충남 당진군 당진읍 대덕리 볏가릿대 세우기는 정월 열나흗날 큰 소를 먹이는 집에 가서 동아줄을 틀어 볏가릿대를 세우고 이월 초하룻날 볏가릿대를 쓰러뜨렸다. 이때 볏가릿대 세울 때 쓴 동아줄을 잘라 섬에 담아 부잣집광에 넣어 주었으며, 동아줄 섬을 들이길 기다려 “볏섬 들어온다”라고 소리쳤다. 볏가릿대는 웬만한 집에서 다 세웠고, 이 동네에서도 10여 개를 세웠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술 조사 때문에 집집마다 세우다가 못 세우고 공동[우물](/topic/우물)에만 세웠다.

현재 볏가릿대는 당진군 당진읍 구룡리,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 화정, 당진군 송악읍 기지시리 [줄다리기](/topic/줄다리기) 행사장, 서산시 대산읍 환성리3구, 대산읍 운산리5구 횟개마을, 인지면야당리 등의 마을 한복판에 을씨년스럽게 재현되고 있다. 볏가릿대는 농사를 많이 짓는 대농가마다 세우고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 볏가릿대를 하는 날에 그 집에서 술과 떡, 과일 같은 것을 푸짐하게 내어 [머슴](/topic/머슴)이나 [소작](/topic/소작)인들이 배불리 먹었다고 한다. 서산시 대산읍 운산리5구 횟개 볏가릿대는 과거 세 마을에 세웠으나 1950년에 중단되어 1990년 마을회관 앞 논에서 [대추](/topic/대추), 밤, 곶감, 배, [사과](/topic/사과), [시루떡](/topic/시루떡), 술, [북어](/topic/북어) 등의 제물을 차려 놓고 재현되었다. 당진읍 구룡리는 1991년 당진군 농촌지도소에서 지역[농업](/topic/농업)개발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마을 주민의 화합 도모 및 농촌의 고유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를 되살리고자 백승환 등에게 자문해 재현하게 되었다. 서산시 음암면 도당6리 바위백이에서는 정월대보름날 아침 일찍 젊은 사람들이 산에 가서 소나무나 대나무를 베어다 맨 꼭대기 [가지](/topic/가지)만 남기고 잔가지를 쳐서 짚으로 옷을 입힌다. 그리고 쌀·[수수](/topic/수수)·콩 등 곡식의 씨앗을 담은 [주머니](/topic/주머니)를 매달아 동아줄로 고정시킨다. 동아줄은 위에서부터 세 가닥으로 묶고 줄을 너덜너덜하게 늘어뜨려 땅에 고정시킨다. 볏가릿대를 세우고 나면 떡, 술, 삼색과일, 돼지머리, 나물 등을 장만해 볏가릿대 앞에 상을 차리고 농악패의 [상쇠](/topic/상쇠)가 나와서 제사를 지낸다. 볏가릿대를 세우는 장소는 동네의 부잣집 근처이며, 볏가릿대를 세우는 날에는 부잣집에서 술과 떡 등 음식을 장만해 동네사람들을 대접한다. 정월대보름날 세워 둔 볏가릿대는 이월 초하룻날 쓰러트린다.

이처럼 당진·서산 지역 볏가릿대는 평야 대부분의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농토가 많은 부농 등 개인 제의부터 대동샘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자연마을 단위로 전승되어 오다가최근에는 이(里) 단위로 마을 한복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충청남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東國輿地勝覽, 星湖僿說, 歲時雜詠, 巨濟島の立竿民俗 (秋葉隆, 조선민속 1, 조선민속학회, 1933)
풍신고 (송석하, 진단학보 1, 진단학회, 1934)
청주지 (청주시지편찬위원회, 1961)
당진의 민간신앙 (이인화, 당진문화원, 1996)
한국의 문화코드 열다섯 [가지](/topic/가지) (김열규, 도서출판 부키, 1997)
충청북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볏가릿대고[禾竿考]-내포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이관호, 생활문물연구 4, 국립민속박물관, 2002)
조선대세시기 1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원, 2003)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충남 내포지역 [마을](/topic/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민속원, 2006)
궁중 [내농작](/topic/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를 생각하며 (배영동, 한국민속학 45, 한국민속학회, 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