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의 일반적인 명칭. 정월 정해일[或丁或亥日]에 희생(犧牲)으로 소․돼지 등 [가축](/topic/가축)을 잡아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으로, 생산물의 풍요와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남자 유지들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유교적 의례 방식에 따라 거행하는 마을제사이다.
definition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의 일반적인 명칭. 정월 정해일[或丁或亥日]에 희생(犧牲)으로 소․돼지 등 [가축](/topic/가축)을 잡아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으로, 생산물의 풍요와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남자 유지들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유교적 의례 방식에 따라 거행하는 마을제사이다.
mp3Cnt
3
wkorname
문무병
특징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인 포제는 마을의 자치와 관련된 정치적 집회 성격이 강하다.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등을 빌고 집안마다 무사하길 비는 [축문](/topic/축문)의 내용으로 보아 당신앙의 변형임을 알 수 있다. 심방이 굿으로 하는 의례가 [석전](/topic/석전)제의 의전 절차에 따라 축문을 읽는 형식의례로 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유교식 마을제사는 석전제를 기본 틀로 하는 유교식 의례 방식에 따라 거행되며, 남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남성 유지들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거행하는 형식의례이다. 그러므로 포제는 고대부터 거행되던 무속적 당굿이 남성 중심의 유교식 제사 형태로 전해오는 마을제라 할 수 있다.
특징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인 포제는 마을의 자치와 관련된 정치적 집회 성격이 강하다.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등을 빌고 집안마다 무사하길 비는 [축문](/topic/축문)의 내용으로 보아 당신앙의 변형임을 알 수 있다. 심방이 굿으로 하는 의례가 [석전](/topic/석전)제의 의전 절차에 따라 축문을 읽는 형식의례로 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유교식 마을제사는 석전제를 기본 틀로 하는 유교식 의례 방식에 따라 거행되며, 남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남성 유지들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거행하는 형식의례이다. 그러므로 포제는 고대부터 거행되던 무속적 당굿이 남성 중심의 유교식 제사 형태로 전해오는 마을제라 할 수 있다.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의 일반적인 명칭. 정월 정해일[或丁或亥日]에 희생(犧牲)으로 소․돼지 등 [가축](/topic/가축)을 잡아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으로, 생산물의 풍요와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남자 유지들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유교적 의례 방식에 따라 거행하는 마을제사이다.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의 일반적인 명칭. 정월 정해일[或丁或亥日]에 희생(犧牲)으로 소․돼지 등 [가축](/topic/가축)을 잡아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으로, 생산물의 풍요와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남자 유지들이 [제관](/topic/제관)이 되어 유교적 의례 방식에 따라 거행하는 마을제사이다.
Poje is the general term used for Confucian village rituals held on Jeju Island.

Exact terms for these rituals can vary: When the worshipped god is Posinjiryeong (Tutelary God), the ritual is called poje, nongpoje or ipoje,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terms; when Isajisin (Village God of Land and Grains) is worshipped, the ritual is called isaje or dongsaje; and hyangje, maeulje, dongnetje are broader terms for referring to the rituals as general village rites.

Poje is held on the day of Jeonghae (pig) in the first lunar month, offering livestock like a cow or pig as sacrifice to pray to the heavens for a good harvest and good health and longevity for the family. Local male dignitaries serve as ritual officials and the ritual follows Confucian procedures.

The ritual was developed in Joseon as a formal rite reflecting the community’s new political order as a male-oriented Confucian feudal society was established, which viewed shamanism with disdain and attempted to reform traditional shamanic rituals into Confucian memorial services. At first, the shamanic and Confucian procedures were combined into a single ritual, but over time they were split into the shamanic village ritual (maeulgut) organized by women, and the male-dominated Confucian memorial rite poje.

At the end of the year, an assembly called pojehyanghoe is convened for ritual preparation, including funding, accommodations for ritual officials (jecheong), and election of officials. Another general meeting is arranged after the ritual for a settlement of accounts. The group is an autonomous communal organization based on regional or blood ties.

To prepare for the ritual, elected officials move into special accommodations and spend three days offering their devotion. In the past, this process used to take five to seven days. During this period of collective living, a taboo rope (geumjul) is hung to keep out people with impurities, and the ritual officials are prohibited from seeing human or animal corpses, from touching unclean objects like urine pails, eating unclean foods like dog or horse meat, and also from sexual activity.
分布于整个济州特别自治道地区的儒教式村庄祭祀的通称。

村民所叫的名称可分为几种类型。第一,称为“酺祭”,“农酺祭”,“里酺祭”。这些名称源自酺祭的祭拜对象“酺神之灵”,是最具代表性和最普遍的名称。第二,称为“里社祭”,“洞社祭”。里社祭的祭拜对象为“里社之神”,意为对“负责村庄社稷之神”献上的仪礼。此处,“社”和“稷”分别代表“土神”和“谷神”。第三,称为“乡祭”,“村庄祭”,“洞祭”。该名称源于所有村庄共同的仪礼,与酺祭,里社祭等名称混合使用。

酺祭是每个村庄在正月丁亥日宰杀牛,猪等家畜向天进行的祭祀,祈求丰收和家人无病长寿。特别由男性乡绅担任[祭官](/topic/祭官),根据儒教式的礼仪举行。

酺祭是朝鲜时代男尊女卑的儒家封建秩序确立后,巫俗受到轻视,在[巫祭](/topic/巫祭)转变为祭祀的过程中,作为与村庄的政治秩序相关的形式礼仪而产生的。原本并不区分村庄巫祭与酺祭,将其作为一个整体进行,后来才分为由女性所主导的村庄巫祭和由男性所主导的儒教式村庄祭祀。因此,酺祭由村庄里的男性进行管理。每到年末,人们都会为准备酺祭而举办酺祭乡会,对祭享金,祭厅(祭官们将要集宿斋戒的房子),祭祀准备和选拔祭官问题等进行讨论,而酺祭结束后则召开结算大会。酺祭乡会作为基于乡村地缘,血缘的共同体组织,自治性较强。祭官在进入祭厅后将进行为期三天的静省,称为“三日静省”,过去也曾静省过五至七日。在祭厅集宿的三天静省期间,将拉[禁绳](/topic/禁绳)戒严以阻止晦气之人接近,并进行集体生活。在此期间,亦不可看动物和人的尸体,不可背尿盆或用手触碰[不净](/topic/不净)之物,不可食用狗肉或马肉等不净的食物,还应避免性行为。
Poje es el término general para referirse a una serie de rituales confucianos que tienen lugar en las aldeas que forman parte de la isla de Jeju-do.

Los términos exactos de estos rituales pueden variar: cuando el objeto de la veneración es el dios tutelar, Posinjiryeong, el ritual se llama poje, nongpoje o ipoje, que son los términos de uso más generales, cuando el dios de la tierra y los cereales, Isasijin es adorado, al ritual se le llama isaje o dongsaje; asimismo, existen los términos más amplios para referirse a los rituales como ritos generales que tienen lugar en las villas como hyangje, maeulje y dongnetje.

El poje se realiza en el día de Jeonghae que significa “cerdo”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n el que se ofrecen el ganado bovino o el porcino como sacrificios para rezar a las deidades celestiales por la buena cosecha, salud y longevidad para la familia. Las autoridades locales desempeñan un papel de oficiante del ritual, y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iguen la tradición confuciana.

El pojel fue evolucionando a lo largo de la época de Joseon como un rito formal que reflejaba un nuevo orden político, sociedad androcéntrica en el confucianismo feudal, que al chamanismo lo miraron con desdén e intentaron transformar rituales chamánicos en ritos confucianos. Al principio, los procedimientos chamánicos y los confucianos se fusionaron entre sí, pero, con el tiempo, ellos se dividieron en dos grupos: los rituales chamánicos del pueblo, organizados por mujeres y los ritos confucianos, encabezados por hombres. A fines del año, una asamblea llamada pojehyanghoe se convoca para empezar el proceso de preparación del ritual que incluye la recaudación de fondos, alojamiento para oficiantes del ritual y elecciones de oficiantes. Otra reunión general se organiza tras el ritual para la liquidación de cuentas. El grupo es una organización autónoma de la comunidad que se basa en vínculos de sangre o regionalismo. Al preparar el poje, los oficiantes elegidos se mueven al alojameito especial llamado jecheong y pasan tres días allí mostrando su devoción. En el pasado, este proceso solía tardar 5 o 7 días. Durante ese período de tiempo, una cuerda llamada geumjul se cuelga para que no entren las personas con impurezas. Por otro lado, los oficiantes se prohíben ver cadáveres humanos o animales, tocar objetos impuros como un cubo donde se orinan y tener relaciones sexuales. Además, ellos deben consumir alimentos puros evitando la carne de perro o la de caballo.
참조[포신](/topic/포신) 포제단
참고문헌제주의 전통문화 (제주도교육청, 1996)
제주의 문화재(증보판) (제주도, 1998)
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8)
제주도지 (제주특별자치도, 2006)
제주도 본향당신앙과 본풀이 (문무병, 민속원, 2008)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제주문화예술재단, 2009)
제주도 [마을](/topic/마을)제 종합보고서-제주 유교식 마을제의 전승현장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진흥본부 박물관운영부, 2010)
Poje is the general term used for Confucian village rituals held on Jeju Island.

Exact terms for these rituals can vary: When the worshipped god is Posinjiryeong (Tutelary God), the ritual is called poje, nongpoje or ipoje,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terms; when Isajisin (Village God of Land and Grains) is worshipped, the ritual is called isaje or dongsaje; and hyangje, maeulje, dongnetje are broader terms for referring to the rituals as general village rites.

Poje is held on the day of Jeonghae (pig) in the first lunar month, offering livestock like a cow or pig as sacrifice to pray to the heavens for a good harvest and good health and longevity for the family. Local male dignitaries serve as ritual officials and the ritual follows Confucian procedures.

The ritual was developed in Joseon as a formal rite reflecting the community’s new political order as a male-oriented Confucian feudal society was established, which viewed shamanism with disdain and attempted to reform traditional shamanic rituals into Confucian memorial services. At first, the shamanic and Confucian procedures were combined into a single ritual, but over time they were split into the shamanic village ritual (maeulgut) organized by women, and the male-dominated Confucian memorial rite poje.

At the end of the year, an assembly called pojehyanghoe is convened for ritual preparation, including funding, accommodations for ritual officials (jecheong), and election of officials. Another general meeting is arranged after the ritual for a settlement of accounts. The group is an autonomous communal organization based on regional or blood ties.

To prepare for the ritual, elected officials move into special accommodations and spend three days offering their devotion. In the past, this process used to take five to seven days. During this period of collective living, a taboo rope (geumjul) is hung to keep out people with impurities, and the ritual officials are prohibited from seeing human or animal corpses, from touching unclean objects like urine pails, eating unclean foods like dog or horse meat, and also from sexual activity.
分布于整个济州特别自治道地区的儒教式村庄祭祀的通称。

村民所叫的名称可分为几种类型。第一,称为“酺祭”,“农酺祭”,“里酺祭”。这些名称源自酺祭的祭拜对象“酺神之灵”,是最具代表性和最普遍的名称。第二,称为“里社祭”,“洞社祭”。里社祭的祭拜对象为“里社之神”,意为对“负责村庄社稷之神”献上的仪礼。此处,“社”和“稷”分别代表“土神”和“谷神”。第三,称为“乡祭”,“村庄祭”,“洞祭”。该名称源于所有村庄共同的仪礼,与酺祭,里社祭等名称混合使用。

酺祭是每个村庄在正月丁亥日宰杀牛,猪等家畜向天进行的祭祀,祈求丰收和家人无病长寿。特别由男性乡绅担任[祭官](/topic/祭官),根据儒教式的礼仪举行。

酺祭是朝鲜时代男尊女卑的儒家封建秩序确立后,巫俗受到轻视,在[巫祭](/topic/巫祭)转变为祭祀的过程中,作为与村庄的政治秩序相关的形式礼仪而产生的。原本并不区分村庄巫祭与酺祭,将其作为一个整体进行,后来才分为由女性所主导的村庄巫祭和由男性所主导的儒教式村庄祭祀。因此,酺祭由村庄里的男性进行管理。每到年末,人们都会为准备酺祭而举办酺祭乡会,对祭享金,祭厅(祭官们将要集宿斋戒的房子),祭祀准备和选拔祭官问题等进行讨论,而酺祭结束后则召开结算大会。酺祭乡会作为基于乡村地缘,血缘的共同体组织,自治性较强。祭官在进入祭厅后将进行为期三天的静省,称为“三日静省”,过去也曾静省过五至七日。在祭厅集宿的三天静省期间,将拉[禁绳](/topic/禁绳)戒严以阻止晦气之人接近,并进行集体生活。在此期间,亦不可看动物和人的尸体,不可背尿盆或用手触碰[不净](/topic/不净)之物,不可食用狗肉或马肉等不净的食物,还应避免性行为。
Poje es el término general para referirse a una serie de rituales confucianos que tienen lugar en las aldeas que forman parte de la isla de Jeju-do.

Los términos exactos de estos rituales pueden variar: cuando el objeto de la veneración es el dios tutelar, Posinjiryeong, el ritual se llama poje, nongpoje o ipoje, que son los términos de uso más generales, cuando el dios de la tierra y los cereales, Isasijin es adorado, al ritual se le llama isaje o dongsaje; asimismo, existen los términos más amplios para referirse a los rituales como ritos generales que tienen lugar en las villas como hyangje, maeulje y dongnetje.

El poje se realiza en el día de Jeonghae que significa “cerdo”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n el que se ofrecen el ganado bovino o el porcino como sacrificios para rezar a las deidades celestiales por la buena cosecha, salud y longevidad para la familia. Las autoridades locales desempeñan un papel de oficiante del ritual, y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iguen la tradición confuciana.

El pojel fue evolucionando a lo largo de la época de Joseon como un rito formal que reflejaba un nuevo orden político, sociedad androcéntrica en el confucianismo feudal, que al chamanismo lo miraron con desdén e intentaron transformar rituales chamánicos en ritos confucianos. Al principio, los procedimientos chamánicos y los confucianos se fusionaron entre sí, pero, con el tiempo, ellos se dividieron en dos grupos: los rituales chamánicos del pueblo, organizados por mujeres y los ritos confucianos, encabezados por hombres. A fines del año, una asamblea llamada pojehyanghoe se convoca para empezar el proceso de preparación del ritual que incluye la recaudación de fondos, alojamiento para oficiantes del ritual y elecciones de oficiantes. Otra reunión general se organiza tras el ritual para la liquidación de cuentas. El grupo es una organización autónoma de la comunidad que se basa en vínculos de sangre o regionalismo. Al preparar el poje, los oficiantes elegidos se mueven al alojameito especial llamado jecheong y pasan tres días allí mostrando su devoción. En el pasado, este proceso solía tardar 5 o 7 días. Durante ese período de tiempo, una cuerda llamada geumjul se cuelga para que no entren las personas con impurezas. Por otro lado, los oficiantes se prohíben ver cadáveres humanos o animales, tocar objetos impuros como un cubo donde se orinan y tener relaciones sexuales. Además, ellos deben consumir alimentos puros evitando la carne de perro o la de caballo.
참조[포신](/topic/포신) 포제단
참고문헌제주의 전통문화 (제주도교육청, 1996)
제주의 문화재(증보판) (제주도, 1998)
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8)
제주도지 (제주특별자치도, 2006)
제주도 본향당신앙과 본풀이 (문무병, 민속원, 2008)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제주문화예술재단, 2009)
제주도 [마을](/topic/마을)제 종합보고서-제주 유교식 마을제의 전승현장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진흥본부 박물관운영부, 2010)
내용일반적으로 포제(酺祭)라고 부르지만 [마을](/topic/마을)에서 부르는 명칭은 몇 [가지](/topic/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포제(酺祭), [농포제](/topic/농포제)(農酺祭), [[이사](/topic/이사)제](/topic/이사제)(里酺祭)라고 한다. 포제의 대상 신이 ‘포신지령(酺神之靈)’인 데서 나온 명칭으로, 가장 대표적이며 일반적이다. 둘째, 이사제(里社祭), 동사제(洞社祭)라고 한다. 이사제는 대상 신이 ‘이사지신(里社之神)’이며, ‘마을의 사직(社稷)을 담당한 신’을 위한 의례란 뜻이다. 이때 ‘사(社)’는 ‘토신(土神)’, ‘직(稷)’은 ‘곡신(穀神)’을 각각 뜻한다. 셋째, 향제, 을제, 동넷제라고 한다. 이는 모두 마을 공동의 의례인 데서 나온 명칭으로, 포제․이사제 등 명칭과 복합적으로 쓰인다. 넷째, [거리제](/topic/거리제) 또는 가제(街祭), 별제라고 한다. 거리제, 가제는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등 몇몇 마을에서만 사용하는 명칭이다. 거리제의 제신은 ‘항구지령위(巷衢之靈位)’, 즉 ‘거리귀신’이다. 길에서 비명에 죽은 원혼들을 위한 굿이며, ‘거리도청제’가 유교식으로 변한 것이다. 다섯째, 치성제(致誠祭, 애월읍 하귀리 등), 건성제(建誠祭, 성산읍 신풍리 등)라고 한다. 마을 사람들이 정성을 쌓아 올린다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포제의 대상 신격은 마을에 따라 1위에서부터 4위 이상 되는 곳도 있으며, 같은 명칭의 신위이면서 성격은 마을마다 다르게 관념되고 있다.


1. 촌락 수호신만 모시는 경우(1位) : ‘포신지위’, ‘토지지신위’, ‘항구지신위’, ‘이사지신위’ 등 가운데 어느 한 신위의 지방을 써 붙여 1위의 신에게만 제를 지낸다. ‘포신지위(酺神之位)’가 가장 많고 ‘항구지신위(巷衢之神位)’가 가장 적다.

2. 촌락 수호신과 풍농신을 모시는 경우(2位) : ‘토지지신위(土地之神位)’와 ‘포신지위(酺神之位)’ 두 신에게 제를 올린다. 이때 ‘토지지신위’는 촌락 수호신이고 포신은 농신으로 관념되기 때문에 [축문](/topic/축문)의 내용도 토지지신에게는 마을의 당면한 문제, 포신에게는 [오곡](/topic/오곡)풍등과 육축번성 등 [농업](/topic/농업)에 관한 축원으로 각각 꾸며진다. 포신이 상위의 신으로 관념되고 있다.(제주시 애월읍 광령1리, 구좌읍 평대리,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등) 성산읍 온평리에서는 신을 ‘존령지전(尊靈之前)’, 촌락 수호신을 ‘별행대신(別行大神)’ 또는 ‘본향지신(本鄕之神)’이라고도 한다.


3. 촌락 수호신과 원혼을 모시는 경우(2位) : 촌락 수호신인 ‘포신지위(酺神之位)’와 원혼인 ‘무사귀신지위(無祀鬼神之位)’ 또는 ‘제신지위(諸神之位)’라는 지방을 써 붙이고 제를 지낸다. 이때 포신의 제단을 ‘상단’, 무사귀신(無祀鬼神)의 제단을 ‘하단’이라고 한다. 제의도 ‘상단제(上壇祭)’, ‘하단제(下壇祭)’라고 하여 상단제를 지내고 나서 하단제를 지낸다.(구좌읍 월정리 등) 또 상단에는 촌락 수호신인 ‘국신지령(局神之靈)’, 하단에는 ‘목숨차지 신’인 ‘사명대신(司命大神)’을 각각 모시고 제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사명대신’은 원래 전염병을 막아 주는 신으로 음력 칠월에 별제를 올리며, 최근에는 정월의 포제에서 상단제와 함께 하단제로 치르기도 한다.(성산읍 고성리 등)


4. 촌락 수호신과 목축 수호신을 모시는 경우(2位) : 촌락 수호신인 ‘수토지신위(守土之神位)’를 상단, 목축 수호신인 ‘운행지신위(運行之神位)’를 하단에 각각 모시고 행제하는 경우이다.(성산읍 삼달리)


5. 촌락 수호신, 원혼, 무속신을 모시는 경우(3位) : 촌락 수호신인 포신을 위한 상단제와 원혼인 제신을 위한 하단제를 순차로 행한 뒤 무속 제의인 마을굿에서 모셔지는 ‘도청신’과 ‘본향당신’의 제의를 치르는 경우이다. 도청지신제(都廳之神祭)는 ‘도청제’ 또는 ‘도청굿’이라 하여 향사 자리에서 마을굿으로 행해졌다. 지금은 유교식으로 [고사](/topic/고사)를 지낸다. 본향당신에 대한 제의도 약식으로 행해진다.(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6. 촌락 수호신, 병역신, 목축 수호신, 제사상관장신(諸事象管掌神)을 모시는 경우(4位) : 포신 이외에 ‘염질지신위(染疾之神位)’, ‘목동지신위(牧童之神位)’, ‘제수임지신위(諸首任之神位)’를 모시고 행제하는 경우다.(표선면 성읍리)


7. 촌락 수호신, 간지신(干支神), 병역신, 무속신을 모시는 경우(4位) : 서귀포시 월평동의 이포제 축문을 보면 그해의 간지(干支)를 맡아 보는 천신인 ‘태세지신위(太歲之神位)’, 촌락 수호신인 ‘이사지신(里社之神)’, 본향당신(일뤠할망)으로 보이는 ‘칠성지신(七星之神)’, 전염병을 막아 주는 ‘유행지신(流行之神)’을 모시고 있다. 지금은 포제를 지내고 있지 않다.


포제는 마을 남자들에 의해 관리된다. [연말](/topic/연말)이 되면 포제 준비를 위한 포제상회[酺祭鄕會]를 열어 제향비, 제청([제관](/topic/제관)들이 합숙 [재계](/topic/재계)할 집), 제의 준비, 제관 선출 문제 등을 논의하고 포제가 끝나면 결산 총회를 한다. 포제상회는 마을의 지연․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조직으로, 자치성이 강하다. 포제를 관리하는 조직체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구공동체조직(舊共同體組織)이다. 이 조직의 일반 형태는 마을의 장인 향장(또는 洞首), 향장의 보좌역인 공원(公員), 경리․서무역을 맡은 총무(總務), 연락 및 사무 보좌역인 차지(次知), 연락 및 잡역인 조사(助事)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과도적인 조직인 ‘향장(鄕長)-이장(里長)-반장(班長)’의 조직체계로, 구공동체조직과 신행정조직의 중간 형태이다. 향장은 연로자를 추대하여 마을의 권위적 존재로 앉히고 실질적 집행은 이장이 알아서 하는 경우이다. 셋째, 마을 행정조직으로 향장제가 없어지면서 이장-반장의 조직을 바탕으로 마을 사람들을 소집해 포제상회를 열고 제의를 준비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포제에서는 12제관을 선출하지만 예비 제관인 도예차(都預差)까지 넣어 13제관을 뽑는 데도 있다. [초헌](/topic/초헌)관(初獻官, 제관), [아헌](/topic/아헌)관(亞獻官, 제관), [종헌](/topic/종헌)관(終獻官, 제관), 집례(執禮, 홀기를 낭송하는 사람), 대축(大祝, 축문을 낭송하는 사람), 알자(謁者, 집례가 홀기를 읽으면 그에 따라 제관을 인도하는 사람), 찬자[贊者, 집례가 부르는 ‘국궁배(鞠躬拜)’를 받아 ‘흥(興)’을 창하는 사람], 봉로(奉爐, [향로](/topic/향로)를 받드는 사람), 봉향(奉香, 향을 받드는 사람), 봉작(奉爵, 술잔을 [헌관](/topic/헌관)에게 드리는 사람), 사준(司樽, 술병을 관리하고 술을 부어 주는 사람), 전작(奠爵, 헌관이 올리는 술잔을 [제상](/topic/제상)에 올리는 사람), 모든 제물을 관리하는 전사관(典祀官), 예비 제관 도예차를 합하면 모두 13제관이 된다.

제관들은 제청에 입소한 뒤 사흘 동안 정성[齊戒]을 들인다. 이를 ‘3일 정성’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5~7일 동안 정성을 들이기도 했다. 제청에 합숙하는 사흘의 정성 기간에는 [금줄](/topic/금줄)을 쳐서 부정한 자의 접근을 막고 공동생활을 한다. 이 기간에는 [동물](/topic/동물)의 시체나 사람의 영장을 봐서도 안 되며, 오줌허벅을 진다든가 더러운 물건에 손을 대지 않으며, 개고기나 말고기와 같이 부정한 음식을 먹어서도 안 되며, 성행위도 삼가야 한다. 제주시 영평하동에서는 제를 지내기 일주일 전부터 제관들을 마을회관에 모아 놓고 정성을 들이면서 사흘 전부터 회관 바깥에도 나오지 못하게 한다. 마을로 들어오는 길목마다 금줄을 쳐서 외지에서 송장 같은 부정한 것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사흘 동안 제관들이 합숙하게 되면 첫째 날은 준비 및 예행연습을 하고, 둘째 날은 제물 및 축문․홀기 등 제문을 준비하며, 셋째 날에는 제물을 봉헌하고 행제에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포제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초헌관이 신위전으로 나와 향을 사르고 폐백을 올리고[奠幣禮], 신위전에 첫잔을 올린 뒤에 축문을 받들고 꿇어앉는다[初獻禮]. 대축이 초헌관을 대신해 축을 고한다[讀祝]. 이때 모든 제관이 부복한다. 아헌관이 신위전에 둘째 잔을 올리고 물러나면[亞獻禮], 종헌관이 신위전에 셋째 잔을 올리고 물러난다[終獻禮]. 초헌관이 [음복](/topic/음복)위로 나와 음복을 하고 물러난다[飮福]. 집사들이 진설한 제상 위에 손으로 제기를 물리는 시늉만 하고 물러난다[撤邊豆]. 대축은 폐백과 축 등을 거두어 망료위에 나가 불사른다[望燎位]. 이때 초헌관이 함께 배석한다. 이 순서대로 집례가 창하는 홀기에 따라 각 제관이 움직여 나가는 것이다.

제물로는 희생(犧牲)으로 검은 돼지 한 마리를 준비한다. 이 밖의 제물은 유교식 제사에 사용되는 것들과 큰 차이가 없다. 백미․[기장](/topic/기장)(쌀로 대용)․[수수](/topic/수수)(좁쌀로 대용)․피쌀(좁쌀로 대용) 등 도량서직(稻梁黍稷)과 마른 사슴고기[鹿脯, 쇠고기로 대용], 소금에 절인 생선[魚醯], [대추](/topic/대추)․밤․[유자](/topic/유자)․비자․배․감 등 오과(五果), [미나리](/topic/미나리)김치[芹菹]와 무김치[靑菹] 등 청근(菁根), [광목](/topic/광목)류와 [백지](/topic/백지) 등 폐백(幣帛)이 쓰인다.
내용일반적으로 포제(酺祭)라고 부르지만 [마을](/topic/마을)에서 부르는 명칭은 몇 [가지](/topic/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포제(酺祭), [농포제](/topic/농포제)(農酺祭), [[이사](/topic/이사)제](/topic/이사제)(里酺祭)라고 한다. 포제의 대상 신이 ‘포신지령(酺神之靈)’인 데서 나온 명칭으로, 가장 대표적이며 일반적이다. 둘째, 이사제(里社祭), 동사제(洞社祭)라고 한다. 이사제는 대상 신이 ‘이사지신(里社之神)’이며, ‘마을의 사직(社稷)을 담당한 신’을 위한 의례란 뜻이다. 이때 ‘사(社)’는 ‘토신(土神)’, ‘직(稷)’은 ‘곡신(穀神)’을 각각 뜻한다. 셋째, 향제, 을제, 동넷제라고 한다. 이는 모두 마을 공동의 의례인 데서 나온 명칭으로, 포제․이사제 등 명칭과 복합적으로 쓰인다. 넷째, [거리제](/topic/거리제) 또는 가제(街祭), 별제라고 한다. 거리제, 가제는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등 몇몇 마을에서만 사용하는 명칭이다. 거리제의 제신은 ‘항구지령위(巷衢之靈位)’, 즉 ‘거리귀신’이다. 길에서 비명에 죽은 원혼들을 위한 굿이며, ‘거리도청제’가 유교식으로 변한 것이다. 다섯째, 치성제(致誠祭, 애월읍 하귀리 등), 건성제(建誠祭, 성산읍 신풍리 등)라고 한다. 마을 사람들이 정성을 쌓아 올린다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포제의 대상 신격은 마을에 따라 1위에서부터 4위 이상 되는 곳도 있으며, 같은 명칭의 신위이면서 성격은 마을마다 다르게 관념되고 있다.


1. 촌락 수호신만 모시는 경우(1位) : ‘포신지위’, ‘토지지신위’, ‘항구지신위’, ‘이사지신위’ 등 가운데 어느 한 신위의 지방을 써 붙여 1위의 신에게만 제를 지낸다. ‘포신지위(酺神之位)’가 가장 많고 ‘항구지신위(巷衢之神位)’가 가장 적다.

2. 촌락 수호신과 풍농신을 모시는 경우(2位) : ‘토지지신위(土地之神位)’와 ‘포신지위(酺神之位)’ 두 신에게 제를 올린다. 이때 ‘토지지신위’는 촌락 수호신이고 포신은 농신으로 관념되기 때문에 [축문](/topic/축문)의 내용도 토지지신에게는 마을의 당면한 문제, 포신에게는 [오곡](/topic/오곡)풍등과 육축번성 등 [농업](/topic/농업)에 관한 축원으로 각각 꾸며진다. 포신이 상위의 신으로 관념되고 있다.(제주시 애월읍 광령1리, 구좌읍 평대리,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등) 성산읍 온평리에서는 신을 ‘존령지전(尊靈之前)’, 촌락 수호신을 ‘별행대신(別行大神)’ 또는 ‘본향지신(本鄕之神)’이라고도 한다.


3. 촌락 수호신과 원혼을 모시는 경우(2位) : 촌락 수호신인 ‘포신지위(酺神之位)’와 원혼인 ‘무사귀신지위(無祀鬼神之位)’ 또는 ‘제신지위(諸神之位)’라는 지방을 써 붙이고 제를 지낸다. 이때 포신의 제단을 ‘상단’, 무사귀신(無祀鬼神)의 제단을 ‘하단’이라고 한다. 제의도 ‘상단제(上壇祭)’, ‘하단제(下壇祭)’라고 하여 상단제를 지내고 나서 하단제를 지낸다.(구좌읍 월정리 등) 또 상단에는 촌락 수호신인 ‘국신지령(局神之靈)’, 하단에는 ‘목숨차지 신’인 ‘사명대신(司命大神)’을 각각 모시고 제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사명대신’은 원래 전염병을 막아 주는 신으로 음력 칠월에 별제를 올리며, 최근에는 정월의 포제에서 상단제와 함께 하단제로 치르기도 한다.(성산읍 고성리 등)


4. 촌락 수호신과 목축 수호신을 모시는 경우(2位) : 촌락 수호신인 ‘수토지신위(守土之神位)’를 상단, 목축 수호신인 ‘운행지신위(運行之神位)’를 하단에 각각 모시고 행제하는 경우이다.(성산읍 삼달리)


5. 촌락 수호신, 원혼, 무속신을 모시는 경우(3位) : 촌락 수호신인 포신을 위한 상단제와 원혼인 제신을 위한 하단제를 순차로 행한 뒤 무속 제의인 마을굿에서 모셔지는 ‘도청신’과 ‘본향당신’의 제의를 치르는 경우이다. 도청지신제(都廳之神祭)는 ‘도청제’ 또는 ‘도청굿’이라 하여 향사 자리에서 마을굿으로 행해졌다. 지금은 유교식으로 [고사](/topic/고사)를 지낸다. 본향당신에 대한 제의도 약식으로 행해진다.(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6. 촌락 수호신, 병역신, 목축 수호신, 제사상관장신(諸事象管掌神)을 모시는 경우(4位) : 포신 이외에 ‘염질지신위(染疾之神位)’, ‘목동지신위(牧童之神位)’, ‘제수임지신위(諸首任之神位)’를 모시고 행제하는 경우다.(표선면 성읍리)


7. 촌락 수호신, 간지신(干支神), 병역신, 무속신을 모시는 경우(4位) : 서귀포시 월평동의 이포제 축문을 보면 그해의 간지(干支)를 맡아 보는 천신인 ‘태세지신위(太歲之神位)’, 촌락 수호신인 ‘이사지신(里社之神)’, 본향당신(일뤠할망)으로 보이는 ‘칠성지신(七星之神)’, 전염병을 막아 주는 ‘유행지신(流行之神)’을 모시고 있다. 지금은 포제를 지내고 있지 않다.


포제는 마을 남자들에 의해 관리된다. [연말](/topic/연말)이 되면 포제 준비를 위한 포제상회[酺祭鄕會]를 열어 제향비, 제청([제관](/topic/제관)들이 합숙 [재계](/topic/재계)할 집), 제의 준비, 제관 선출 문제 등을 논의하고 포제가 끝나면 결산 총회를 한다. 포제상회는 마을의 지연․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조직으로, 자치성이 강하다. 포제를 관리하는 조직체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구공동체조직(舊共同體組織)이다. 이 조직의 일반 형태는 마을의 장인 향장(또는 洞首), 향장의 보좌역인 공원(公員), 경리․서무역을 맡은 총무(總務), 연락 및 사무 보좌역인 차지(次知), 연락 및 잡역인 조사(助事)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과도적인 조직인 ‘향장(鄕長)-이장(里長)-반장(班長)’의 조직체계로, 구공동체조직과 신행정조직의 중간 형태이다. 향장은 연로자를 추대하여 마을의 권위적 존재로 앉히고 실질적 집행은 이장이 알아서 하는 경우이다. 셋째, 마을 행정조직으로 향장제가 없어지면서 이장-반장의 조직을 바탕으로 마을 사람들을 소집해 포제상회를 열고 제의를 준비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포제에서는 12제관을 선출하지만 예비 제관인 도예차(都預差)까지 넣어 13제관을 뽑는 데도 있다. [초헌](/topic/초헌)관(初獻官, 제관), [아헌](/topic/아헌)관(亞獻官, 제관), [종헌](/topic/종헌)관(終獻官, 제관), 집례(執禮, 홀기를 낭송하는 사람), 대축(大祝, 축문을 낭송하는 사람), 알자(謁者, 집례가 홀기를 읽으면 그에 따라 제관을 인도하는 사람), 찬자[贊者, 집례가 부르는 ‘국궁배(鞠躬拜)’를 받아 ‘흥(興)’을 창하는 사람], 봉로(奉爐, [향로](/topic/향로)를 받드는 사람), 봉향(奉香, 향을 받드는 사람), 봉작(奉爵, 술잔을 [헌관](/topic/헌관)에게 드리는 사람), 사준(司樽, 술병을 관리하고 술을 부어 주는 사람), 전작(奠爵, 헌관이 올리는 술잔을 [제상](/topic/제상)에 올리는 사람), 모든 제물을 관리하는 전사관(典祀官), 예비 제관 도예차를 합하면 모두 13제관이 된다.

제관들은 제청에 입소한 뒤 사흘 동안 정성[齊戒]을 들인다. 이를 ‘3일 정성’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5~7일 동안 정성을 들이기도 했다. 제청에 합숙하는 사흘의 정성 기간에는 [금줄](/topic/금줄)을 쳐서 부정한 자의 접근을 막고 공동생활을 한다. 이 기간에는 [동물](/topic/동물)의 시체나 사람의 영장을 봐서도 안 되며, 오줌허벅을 진다든가 더러운 물건에 손을 대지 않으며, 개고기나 말고기와 같이 부정한 음식을 먹어서도 안 되며, 성행위도 삼가야 한다. 제주시 영평하동에서는 제를 지내기 일주일 전부터 제관들을 마을회관에 모아 놓고 정성을 들이면서 사흘 전부터 회관 바깥에도 나오지 못하게 한다. 마을로 들어오는 길목마다 금줄을 쳐서 외지에서 송장 같은 부정한 것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사흘 동안 제관들이 합숙하게 되면 첫째 날은 준비 및 예행연습을 하고, 둘째 날은 제물 및 축문․홀기 등 제문을 준비하며, 셋째 날에는 제물을 봉헌하고 행제에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포제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초헌관이 신위전으로 나와 향을 사르고 폐백을 올리고[奠幣禮], 신위전에 첫잔을 올린 뒤에 축문을 받들고 꿇어앉는다[初獻禮]. 대축이 초헌관을 대신해 축을 고한다[讀祝]. 이때 모든 제관이 부복한다. 아헌관이 신위전에 둘째 잔을 올리고 물러나면[亞獻禮], 종헌관이 신위전에 셋째 잔을 올리고 물러난다[終獻禮]. 초헌관이 [음복](/topic/음복)위로 나와 음복을 하고 물러난다[飮福]. 집사들이 진설한 제상 위에 손으로 제기를 물리는 시늉만 하고 물러난다[撤邊豆]. 대축은 폐백과 축 등을 거두어 망료위에 나가 불사른다[望燎位]. 이때 초헌관이 함께 배석한다. 이 순서대로 집례가 창하는 홀기에 따라 각 제관이 움직여 나가는 것이다.

제물로는 희생(犧牲)으로 검은 돼지 한 마리를 준비한다. 이 밖의 제물은 유교식 제사에 사용되는 것들과 큰 차이가 없다. 백미․[기장](/topic/기장)(쌀로 대용)․[수수](/topic/수수)(좁쌀로 대용)․피쌀(좁쌀로 대용) 등 도량서직(稻梁黍稷)과 마른 사슴고기[鹿脯, 쇠고기로 대용], 소금에 절인 생선[魚醯], [대추](/topic/대추)․밤․[유자](/topic/유자)․비자․배․감 등 오과(五果), [미나리](/topic/미나리)김치[芹菹]와 무김치[靑菹] 등 청근(菁根), [광목](/topic/광목)류와 [백지](/topic/백지) 등 폐백(幣帛)이 쓰인다.
유래포제는 조선시대 때 남성 우위의 유교적 봉건질서가 확립되고 무속을 천시하여 굿을 제사로 바꾸는 과정에서 [마을](/topic/마을)의 정치적 질서와 관련된 형식의례로 생겨났다. 원래는 당굿과 포제가 따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진행되다가 후대에 와서 여성이 주도하는 당굿(마을굿)과 남성이 주도하는 유교식 마을제사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단서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마을제사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서는 마을 포제가 끝난 이튿날 바다에서 해신제를 지낸다. 해신제에서는 [축문](/topic/축문)을 읽는 유교식 의례를 먼저 하고 그 뒤에 심방이 주관하는 요왕굿을 한다.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에서는 포제를 지내는 자시(子時)에 당에서도 굿 시작을 알리는 ‘삼석울림’의 [연물](/topic/연물)[巫樂]을 울리고, 포제가 끝난 이튿날 아침부터 굿을 한다. 이를 포젯굿이라고 한다. 두 마을 모두 포제와 굿의 [제물](/topic/제물)을 똑같이 마련한다. 이를 미루어 남녀 모두 하나가 되어 행하는 공동의 축제이자 한 해 농사의 풍등을 기원하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이던 당굿이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기능이 분화되면서 조선시대에 와서 무속의 당굿과 유교식 제사인 포제로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래포제는 조선시대 때 남성 우위의 유교적 봉건질서가 확립되고 무속을 천시하여 굿을 제사로 바꾸는 과정에서 [마을](/topic/마을)의 정치적 질서와 관련된 형식의례로 생겨났다. 원래는 당굿과 포제가 따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진행되다가 후대에 와서 여성이 주도하는 당굿(마을굿)과 남성이 주도하는 유교식 마을제사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단서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마을제사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서는 마을 포제가 끝난 이튿날 바다에서 해신제를 지낸다. 해신제에서는 [축문](/topic/축문)을 읽는 유교식 의례를 먼저 하고 그 뒤에 심방이 주관하는 요왕굿을 한다.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에서는 포제를 지내는 자시(子時)에 당에서도 굿 시작을 알리는 ‘삼석울림’의 [연물](/topic/연물)[巫樂]을 울리고, 포제가 끝난 이튿날 아침부터 굿을 한다. 이를 포젯굿이라고 한다. 두 마을 모두 포제와 굿의 [제물](/topic/제물)을 똑같이 마련한다. 이를 미루어 남녀 모두 하나가 되어 행하는 공동의 축제이자 한 해 농사의 풍등을 기원하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이던 당굿이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기능이 분화되면서 조선시대에 와서 무속의 당굿과 유교식 제사인 포제로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민속신앙사전제주 포제 축문 읽는 소리 3
한국민속신앙사전제주 포제 축문 읽는 소리 2
한국민속신앙사전제주 포제 축문 읽는 소리 1
한국민속신앙사전제주 포제 축문 읽는 소리 3
한국민속신앙사전제주 포제 축문 읽는 소리 2
한국민속신앙사전제주 포제 축문 읽는 소리 1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