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잽이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 지역의 지옥가 [염불](/topic/염불), [꽃노래](/topic/꽃노래) 염불, [뱃노래](/topic/뱃노래) 염불, [초롱등](/topic/초롱등)노래 염불 등 무가를 반주하는 [무악](/topic/무악) [장단](/topic/장단)의 명칭.
definition
동해안 지역의 지옥가 [염불](/topic/염불), [꽃노래](/topic/꽃노래) 염불, [뱃노래](/topic/뱃노래) 염불, [초롱등](/topic/초롱등)노래 염불 등 무가를 반주하는 [무악](/topic/무악) [장단](/topic/장단)의 명칭.
mp3Cnt
0
wkorname
장휘주
정의동해안 지역의 지옥가 [염불](/topic/염불), [꽃노래](/topic/꽃노래) 염불, [뱃노래](/topic/뱃노래) 염불, [초롱등](/topic/초롱등)노래 염불 등 무가를 반주하는 [무악](/topic/무악) [장단](/topic/장단)의 명칭.
내용동해안 지역 [무악](/topic/무악)의 대부분이 무가의 명칭과 [장단](/topic/장단)의 명칭이 동일한 것과는 달리 삼공잽이는 장단 이름으로만 쓰인다. 이 지역의 무속인들에 의하면 ‘삼공잽이’라는 말은 징을 세 번 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삼공잽이 장단이 쓰이는 거리는 경남 동해안 지역의 경우 [별신굿](/topic/별신굿)에서 밧당 조상굿 및 이운맞이와 오구굿에서 골맥이서낭굿, 초망자굿, 시왕탄일굿, 영산맞이, [뱃노래](/topic/뱃노래), 꽃노래, [초롱등](/topic/초롱등)노래 거리이다.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는 오구굿에서 판염불 거리와 별신굿 및 오구굿에서 뱃노래, 꽃노래, 초롱등노래 거리이다.

삼공잽이장단은 박자가 다른 장단이 세 번 바뀌는 3장 구성이다. 예전에는 무당들이 삼공잽이장단으로 반주하는 무가를 모두 3장으로 불렀지만 오늘날에는 흔히 지옥가를 삼공잽이 1장, 2장으로만 부르고 꽃노래ㆍ뱃노래ㆍ등노래는 삼공잽이 3장으로만 부른다. 꽃노래, 뱃노래 등은 삼공잽이 3장 하나로만 부른다고 하여 ‘외마디장단’ 또는 ‘외마디타불’이라는 별칭이 있다.

삼공잽이 1장은 무당이 무가를 몇 장단 부르면 [악사](/topic/악사)가 타악기를 몇 장단 연주하는 식으로 교대가 된다. 타악기들의 합주는 일정한 단위로 연주되지만 무당이 지옥가를 부를 때의 삼공잽이 1장은 무가를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단위가 약간씩 다르다. 삼공잽이 1장은 3+2+3(♩.+♩+♩.) 혼소박 4개가 모인 장단이다. 무가는 부르는 이에 따라 한 장단을 세 번, 네 번, 다섯 번 등으로 반복하지만 타악기들은 일정하게 두 번을 반복한다.

삼공잽이 2장은 템포 ♩.≑60에 3소박 4박(♩.×4)이 한 장단으로 되는 음악이다. 먼저 무가가 두 장단을 연주하면 이어 타악기들이 두 장단을 연주한다. 징은 타악기 연주에서만 제1, 3, 5칸에 세 번 친다.

삼공잽이 3장은 꽃노래, 뱃노래, 등노래에서 외마디타불로 부르는 장단이다. 템포 ♩.≑63 정도에 3소박 4박에 무가를 부르면 마찬[가지](/topic/가지)로 3소박 4박에 [바라지](/topic/바라지)를 한다. 타악기들은 바라지를 부를 때에만 연주하고, 징은 바라지의 첫 박에만 한 번 친다. 외마디타불의 템포를 ♩.≑85정도로 점점 몰아가면 이를 ‘막넘기는 장단’이라 하고, 이때는 바라지 없이 타악기들로만 반주한다.
참고문헌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 (장휘주, 민속원, 2008)
전북대 석사논문한국마을굿에 대한 민족연극학적 연구김월덕1996
대원사한국의 풍어제하효길1998
고려대 석사논문위도 파시의 민속학적 고찰서종원2004
국립문화재연구소위도띠뱃놀이김익두 외 3인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