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전춤

한국무속신앙사전
지전춤
동해안 지방 오구굿 및 진도지방의 씻김굿에서 망자를 위한 천도 의례로 추는 춤.
definition
동해안 지방 오구굿 및 진도지방의 씻김굿에서 망자를 위한 천도 의례로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김영란
정의동해안 지방 오구굿 및 진도지방의 씻김굿에서 망자를 위한 천도 의례로 추는 춤.
내용지전춤은 [백지](/topic/백지) 엽전이 여러 개 이어진 모양처럼 길게 찢어 뭉친 지전을 당골이 양손 또는 한손에 들고 신을 부르거나 보내기 위해 추거나 망자의 넋을 불러 부정을 가시게 하고 원한을 풀어 극락으로 천도하기 위해 추는 춤이다.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지전춤을 추는 당골은 흰 [한복](/topic/한복)을 입는다. 제석굿에서는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입고, 종이[고깔](/topic/고깔)을 쓰고, 홍띠를 두른다. 이 춤은 처음에 느리게 추다가 후반부에서 빠른 동작으로 격렬하게 추어 절제되면서도 역동적인 힘을 보여준다. 진도씻김굿에서는 돈이 있으면 귀신도 부릴 수 있다고 믿어 돈을 상징하여 지전춤을 돈전춤이라고도 한다.

동해안 지방의 춤이 활발하고 격렬하다면 진도지방의 춤은 동작이 우아하면서 응축된 힘을 발산한다. 제자리에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굴신으로 무겁고 정숙하지만 깊은 한을 딛고 추는 춤이 매우 의식적이고 상징적이다. 진도씻김굿의 지전춤사위는 바람막이, 외바람막이, 태극무늬, 가위질, 좌우치기, 회오리바람, 꽃봉오리, [다듬이질](/topic/다듬이질), 쳐올리기 등이 있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액을 막아주는 춤의 정신을 보여준다. 또한 길닦음에서도 길게 늘어뜨린 길닦음천을 왔다갔다 하면서 [넋당석](/topic/넋당석)을 든 무녀와 함께 지전춤을 추면서 무가를 부르며 망자를 극락왕생하도록 빌어 고이 떠나보낸다.
참고문헌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2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민족문화사, 1991)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 (황루시, 화산문화, 2001)
진도씻김굿의 상징적 특성에 관한 연구-지전춤을 중심으로 (서희경,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朝鮮巫俗の硏究(赤松智城·秋葉隆, 大阪屋號書店, 東京 昭和13年).
영덕구계리 굿과 음악(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무속·불교·유교를 통해서본 식생활문화 및 그 의식절차에 대한 연구김상보1975
지전춤
64568
지전춤
지전춤
64567
지전춤
지전춤
64566
지전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