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천제

한국무속신앙사전
태백산 천제단[천왕당]에서 매년 10월 3일 오시(午時)에 해당하는 오전 11시와 오후 1시 사이에 세계평화(世界平和), 민족통일(民族統一), 국태민안(國泰民安), 우순풍조(雨順風調)를 기원하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
definition
태백산 천제단[천왕당]에서 매년 10월 3일 오시(午時)에 해당하는 오전 11시와 오후 1시 사이에 세계평화(世界平和), 민족통일(民族統一), 국태민안(國泰民安), 우순풍조(雨順風調)를 기원하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
mp3Cnt
0
wkorname
김도현
정의태백산 천제단[천왕당]에서 매년 10월 3일 오시(午時)에 해당하는 오전 11시와 오후 1시 사이에 세계평화(世界平和), 민족통일(民族統一), 국태민안(國泰民安), 우순풍조(雨順風調)를 기원하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
정의태백산 천제단[천왕당]에서 매년 10월 3일 오시(午時)에 해당하는 오전 11시와 오후 1시 사이에 세계평화(世界平和), 민족통일(民族統一), 국태민안(國泰民安), 우순풍조(雨順風調)를 기원하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
为自古以来供奉的天神举行的祭仪。

天神是人们对天的神化或相信天上存在的超凡神明。供奉的天神亦称Haneullim,Haneunim,Hananim。济州岛神话里的天地王,中国道教的玉皇大帝,佛教的帝释天等也是天神的名字。

在韩国,人们视扶余,高句丽,驾洛,新罗,古朝鲜等上古国家的开朝始祖王为从天而降的神明,由此韩国的天神崇拜开始变得具体化。这些始祖王均被看做是从天而降的天神,同时也是地上王国的国王。据史料载,扶余的迎鼓和高句丽的东盟是供奉上天的祭仪;百济时期每到正月,人们击鼓吹筚篥祭祀天地;新罗时期人们在太白山修筑天祭坛,祭祀上天。由此可知,天神信仰由来已久,形式多样。

天祭的祭坛大多位于山顶或山脚。因为是祭天,所有祭坛都不建顶,而是用石头围一个圈,以此划界,然后在某一边建祭坛。天祭分为两种,一是每年正月举行的岁[时祭](/topic/时祭)仪,一是隔几年举行一次或在特殊时期择日举行的祭仪。

传承至今的天祭中具有代表性的是“太白山天祭”和“东海东湖洞天祭坛祭”。太白山天祭从新罗时代一直流传至今,每年十月三日举行,意在祈祷国泰民安。祭仪场所太白山天祭坛(天王堂)位于太白山顶峰,1991 年被认定为重要民俗资料。东海东湖洞天祭坛祭是村庄祭仪,由东海市东湖洞百姓每年阴历一月一日在天祭坛举行,旨在祈祷村庄和睦百姓平安。

此外,济州市楸子岛每年阴历二月一日为天神,地神,龙王神一起举行祭仪。天神最先供奉,有时也一同举行[祈雨祭](/topic/祈雨祭)。楸子岛的天祭与经济生活密切相关,蕴含祈祷捕鱼丰收的丰渔祭的意义。
Cheonje is a ritual for [[Cheonsin](/topic/NewOfferingsRitual)](/topic/Cheonsin), a celestial god that has been worshipped since ancient times.

Cheonsin worship deifies the sky itself or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a heavenly transcendental divinity. Variations of the name Cheonsin include Haneullim, Haneunim and Hananim, all meaning sky god; Chinjiwang, which is used on Jeju Island; Okwangsangje, or Pure August Jade Emperor, the name of the highest Taoist deity and ruler of the heavens; and Jeseokcheon, which originated from Buddhism.

Celestial god worship in Korean folk religion was established in the foundation myths of ancient kingdoms of Buyeo, Goguryeo, Garak, Silla and Gojoseon, which depict their progenitors as celestial deities that descended to the earthly kingdom and became kings. Rituals for worshipping the heavens included Yeonggo of Buyeo and Dongmaeng of Goguryeo, and there are records of a New Year ritual for the sky and earth in Baekje, featuring drums and pipes, and of a ritual in Silla that took place at an altar for the celestial god on Mt. Taebaek.

Altars for cheonje are generally built on the summit or the foot of a mountain without a roof structure, the grounds bordered with a circle of rocks and the altar to one side. Rituals are held seasonally, in the first lunar month, or once every few years or for special occasions on a selected auspicious day.

Two examples of celestial god worship rituals still being observed today are the Mt. Taebaek Cheonje and the Ritual at Celestial God Worship Altar in Dongho-dong, Donghae. The former is held each year on October 3, National Foundation Day, to pray for peace around the country and for the people, a tradition that has been observed since the Silla dynasty. The altar for celestial god worship cheonjedan is located on the summit of Mt. Taebaek and was designated as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in 1991. The Dongho-dong ritual is a village rite held each year on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t the altar cheonjedan to pray for peace and harmony in the community.

On Chuja Island in Jeju, a ritual for worshipping Cheonsin, Jisin (Earth God) and [[Yongwang](/topic/DragonKing)](/topic/Yongwang) (Dragon King) is held each year on the first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Cheonsin is the first deity worshipped in the ritual, which was sometimes accompanied by a rain rite (giuje). This ritual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lihood of the community, similar to the big catch ritual pungeoje.
Cheonje es un ritual para el dios celestial, [[Cheonsin](/topic/RitualdeNuevasOfrendas)](/topic/Cheonsin), que ha sido adorado desde tiempos antiguos.

Cheonsin se refiere al cielo que se deifica a sí mismo o la divinidad trascendente que reside en el cielo. Sus nombres varían como Haneullim, Haneunim, Hananim, además la influencia regional y religiosa se ha diversificado aún más, incluyendo Chinjiwand que se une en la isla de Jeju-do, Okwangsangje que es el nombre coreano de la deidad taoísta más poderosa, Emperador Augusto de Jade y Jeseokcheon que procede del budismo.

El culto al dios celestial en la religión popular en Corea fue establecido en los mitos de la fundación de los antiguos reinos como Buyeo, Goguryeo, Garak, Silla y Gojoseon, que describen a sus progenitores como deidades celestiales que descendieron al reino terrestre y pasaron a ser reyes. A los rituales de la adoración al cielo se les incluyen el yeonggo del reino Buyeo y el dongmaeng del reino Goguryeo. Por otro lado, hay varios registros relacionados con el ritual para venerar al cielo y la tierra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con el acompañamiento de la música de tambores y flautas en el reino Baekje, mientras que, en el reino Silla, tenía lugar un ritual frente el altar para venerar al dios celestial que se ubicaba en el monte de Taebaeksan.

Los altares para el cheonje son generalmente construidos en la cima de una colina, o se encuentran al pie de una montaña sin techo, es decir, los altares están ubicados a un lado, limitados por un gran círculo de piedras. El ritual se practica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o una vez cada cierto número de años, o en un día auspicioso para celebrar ocasiones especiales.

El cheonje del monte de Taebaeksan y el ritual de adoración al dios celestial que se efectúa en Dongho-dong de la ciudad de Daonghae, son dos ejemplos del cheonje que todavía se puede observar. El cheonje del monte de Taebaeksan tiene lugar cada 3 de octubre, Día de la Fundación Nacional para pedir por la paz en todo el país, una tradición que ha sido observada desde el reino Silla. El altar para laveneración al dios celestial llamado cheonjedan que se encuentra en la cumbre del monte de Taebaeksan y fue designado como Patrimonio Folklórico Nacional en 1991. El ritual de Dongho-dong es un rito comunitario que se lleva a cabo cada primer día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en el cheonjedan para orar por la paz y la harmonía en la comunidad.

En la isla de Chujado de Jeju, el ritual para honrar al dios celestial, Cheonsin, el dios del suelo, Jisin y Rey Dragón, [[Yongwang](/topic/ReyDragón)](/topic/Yongwang) tiene lugar cada primer día de febrero del calendario lunar. Cheonsin es la primera deidad venerada en el ritual que se realiza junto al ritual para pedir por lluvia llamado giuje. Este ritual tiene una relación estrecha con la subsistencia de la comunidad isleña, parecido al pungeoje que se refiere al ritual para pedir por la pesca abundante.
참조태백산 천제단
참고문헌遊太白山記
遊黃池記
秋江集
虛白堂集
立齋遺稿
崔先生文集道源記書 (姜時元, 1880)
南冥先生別集, 昭和 十六年 刑公 第 310號/事件番號 昭和16年刑第936號,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朝鮮總督府, 1942)
태백산 천제단의 역사성과 문화재적 위상 (임동권, 태백문화 7, 태백문화원, 1993)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최광식, 한길사, 1995)
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강원도 (국립민속박물관, 1997)
1995 (국립춘천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2002)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1 신앙·생활자료 (문화재청, 2005)
태백시 문화유적 분포지도 (태백시·예맥문화재연구원, 2007)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 고을 및 마을신앙 (김도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함백산 절골 천제당 운영 양상과 그 성격 (김도현, 강원문화연구 30, 강원대 강원문화연구소, 2009)
태백산 천제의 역사와 의례 (김도현, 역사민속학 31,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사료](/topic/사료)로 읽는 태백산과 천제 (김도현, 강원도민일보ㆍ강원도ㆍ태백시, 2009)
为自古以来供奉的天神举行的祭仪。

天神是人们对天的神化或相信天上存在的超凡神明。供奉的天神亦称Haneullim,Haneunim,Hananim。济州岛神话里的天地王,中国道教的玉皇大帝,佛教的帝释天等也是天神的名字。

在韩国,人们视扶余,高句丽,驾洛,新罗,古朝鲜等上古国家的开朝始祖王为从天而降的神明,由此韩国的天神崇拜开始变得具体化。这些始祖王均被看做是从天而降的天神,同时也是地上王国的国王。据史料载,扶余的迎鼓和高句丽的东盟是供奉上天的祭仪;百济时期每到正月,人们击鼓吹筚篥祭祀天地;新罗时期人们在太白山修筑天祭坛,祭祀上天。由此可知,天神信仰由来已久,形式多样。

天祭的祭坛大多位于山顶或山脚。因为是祭天,所有祭坛都不建顶,而是用石头围一个圈,以此划界,然后在某一边建祭坛。天祭分为两种,一是每年正月举行的岁[时祭](/topic/时祭)仪,一是隔几年举行一次或在特殊时期择日举行的祭仪。

传承至今的天祭中具有代表性的是“太白山天祭”和“东海东湖洞天祭坛祭”。太白山天祭从新罗时代一直流传至今,每年十月三日举行,意在祈祷国泰民安。祭仪场所太白山天祭坛(天王堂)位于太白山顶峰,1991 年被认定为重要民俗资料。东海东湖洞天祭坛祭是村庄祭仪,由东海市东湖洞百姓每年阴历一月一日在天祭坛举行,旨在祈祷村庄和睦百姓平安。

此外,济州市楸子岛每年阴历二月一日为天神,地神,龙王神一起举行祭仪。天神最先供奉,有时也一同举行[祈雨祭](/topic/祈雨祭)。楸子岛的天祭与经济生活密切相关,蕴含祈祷捕鱼丰收的丰渔祭的意义。
Cheonje is a ritual for [[Cheonsin](/topic/NewOfferingsRitual)](/topic/Cheonsin), a celestial god that has been worshipped since ancient times.

Cheonsin worship deifies the sky itself or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a heavenly transcendental divinity. Variations of the name Cheonsin include Haneullim, Haneunim and Hananim, all meaning sky god; Chinjiwang, which is used on Jeju Island; Okwangsangje, or Pure August Jade Emperor, the name of the highest Taoist deity and ruler of the heavens; and Jeseokcheon, which originated from Buddhism.

Celestial god worship in Korean folk religion was established in the foundation myths of ancient kingdoms of Buyeo, Goguryeo, Garak, Silla and Gojoseon, which depict their progenitors as celestial deities that descended to the earthly kingdom and became kings. Rituals for worshipping the heavens included Yeonggo of Buyeo and Dongmaeng of Goguryeo, and there are records of a New Year ritual for the sky and earth in Baekje, featuring drums and pipes, and of a ritual in Silla that took place at an altar for the celestial god on Mt. Taebaek.

Altars for cheonje are generally built on the summit or the foot of a mountain without a roof structure, the grounds bordered with a circle of rocks and the altar to one side. Rituals are held seasonally, in the first lunar month, or once every few years or for special occasions on a selected auspicious day.

Two examples of celestial god worship rituals still being observed today are the Mt. Taebaek Cheonje and the Ritual at Celestial God Worship Altar in Dongho-dong, Donghae. The former is held each year on October 3, National Foundation Day, to pray for peace around the country and for the people, a tradition that has been observed since the Silla dynasty. The altar for celestial god worship cheonjedan is located on the summit of Mt. Taebaek and was designated as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in 1991. The Dongho-dong ritual is a village rite held each year on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t the altar cheonjedan to pray for peace and harmony in the community.

On Chuja Island in Jeju, a ritual for worshipping Cheonsin, Jisin (Earth God) and [[Yongwang](/topic/DragonKing)](/topic/Yongwang) (Dragon King) is held each year on the first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Cheonsin is the first deity worshipped in the ritual, which was sometimes accompanied by a rain rite (giuje). This ritual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lihood of the community, similar to the big catch ritual pungeoje.
Cheonje es un ritual para el dios celestial, [[Cheonsin](/topic/RitualdeNuevasOfrendas)](/topic/Cheonsin), que ha sido adorado desde tiempos antiguos.

Cheonsin se refiere al cielo que se deifica a sí mismo o la divinidad trascendente que reside en el cielo. Sus nombres varían como Haneullim, Haneunim, Hananim, además la influencia regional y religiosa se ha diversificado aún más, incluyendo Chinjiwand que se une en la isla de Jeju-do, Okwangsangje que es el nombre coreano de la deidad taoísta más poderosa, Emperador Augusto de Jade y Jeseokcheon que procede del budismo.

El culto al dios celestial en la religión popular en Corea fue establecido en los mitos de la fundación de los antiguos reinos como Buyeo, Goguryeo, Garak, Silla y Gojoseon, que describen a sus progenitores como deidades celestiales que descendieron al reino terrestre y pasaron a ser reyes. A los rituales de la adoración al cielo se les incluyen el yeonggo del reino Buyeo y el dongmaeng del reino Goguryeo. Por otro lado, hay varios registros relacionados con el ritual para venerar al cielo y la tierra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con el acompañamiento de la música de tambores y flautas en el reino Baekje, mientras que, en el reino Silla, tenía lugar un ritual frente el altar para venerar al dios celestial que se ubicaba en el monte de Taebaeksan.

Los altares para el cheonje son generalmente construidos en la cima de una colina, o se encuentran al pie de una montaña sin techo, es decir, los altares están ubicados a un lado, limitados por un gran círculo de piedras. El ritual se practica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o una vez cada cierto número de años, o en un día auspicioso para celebrar ocasiones especiales.

El cheonje del monte de Taebaeksan y el ritual de adoración al dios celestial que se efectúa en Dongho-dong de la ciudad de Daonghae, son dos ejemplos del cheonje que todavía se puede observar. El cheonje del monte de Taebaeksan tiene lugar cada 3 de octubre, Día de la Fundación Nacional para pedir por la paz en todo el país, una tradición que ha sido observada desde el reino Silla. El altar para laveneración al dios celestial llamado cheonjedan que se encuentra en la cumbre del monte de Taebaeksan y fue designado como Patrimonio Folklórico Nacional en 1991. El ritual de Dongho-dong es un rito comunitario que se lleva a cabo cada primer día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en el cheonjedan para orar por la paz y la harmonía en la comunidad.

En la isla de Chujado de Jeju, el ritual para honrar al dios celestial, Cheonsin, el dios del suelo, Jisin y Rey Dragón, [[Yongwang](/topic/ReyDragón)](/topic/Yongwang) tiene lugar cada primer día de febrero del calendario lunar. Cheonsin es la primera deidad venerada en el ritual que se realiza junto al ritual para pedir por lluvia llamado giuje. Este ritual tiene una relación estrecha con la subsistencia de la comunidad isleña, parecido al pungeoje que se refiere al ritual para pedir por la pesca abundante.
참조태백산 천제단
참고문헌遊太白山記
遊黃池記
秋江集
虛白堂集
立齋遺稿
崔先生文集道源記書 (姜時元, 1880)
南冥先生別集, 昭和 十六年 刑公 第 310號/事件番號 昭和16年刑第936號,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朝鮮總督府, 1942)
태백산 천제단의 역사성과 문화재적 위상 (임동권, 태백문화 7, 태백문화원, 1993)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최광식, 한길사, 1995)
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강원도 (국립민속박물관, 1997)
1995 (국립춘천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2002)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1 신앙·생활자료 (문화재청, 2005)
태백시 문화유적 분포지도 (태백시·예맥문화재연구원, 2007)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 고을 및 마을신앙 (김도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함백산 절골 천제당 운영 양상과 그 성격 (김도현, 강원문화연구 30, 강원대 강원문화연구소, 2009)
태백산 천제의 역사와 의례 (김도현, 역사민속학 31,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사료](/topic/사료)로 읽는 태백산과 천제 (김도현, 강원도민일보ㆍ강원도ㆍ태백시, 2009)
내용현재 행해지는 태백산 천제는 1987년에 ‘태백산 천제 위원회’가 결성되어 각종 준비와 의례를 주관하여 지내다가 2008년에 명칭을 ‘천제 보존회’로 변경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천제로 발전시키려 하고 있다.

2008년에 천제를 주재한 인사는 제주(태백시장 박종기), [헌관](/topic/헌관)(태백시의회의장 김천수․태백문화원장 권영한), 번시관(정창교), 집례(안석호), 축관(김영복), 집사(이창복)이다.

실무 준비는 태백문화원에서 주관하며, 매년 10월 3일 천제단에서 오시에 천제를 지낸다. 제수는 천주(가양곡왕주), 소머리, [오곡](/topic/오곡)(쌀, [보리](/topic/보리), 콩, 조, [기장](/topic/기장)), 고사리, 미역, 대구포, 밤, [대추](/topic/대추), 곶감, 백설기(1시루), [삼베](/topic/삼베), 물이다. 한라산을 비롯한 전국의 주요 산에서 가져온 흙을 각각의 [주머니](/topic/주머니)에 담아 올린다. 물은 태백산 정상 아래에 있는 용정(龍井)의 물을 이용한다. 메는 준비하지 않으며, 쇠머리와 떡을 제외한 다른 제수는 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올린다.

제의 장소인 태백산 천제단(천왕당)은 태백산 정상에 있으며, 소재지는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산 80 및 혈동 산87-2이다. 1991년 10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228호’로 지정되었으며, 천제단과 함께 지정된 자료는 천제단 뒤쪽 북방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장군](/topic/장군)단과 천제단 남쪽 언덕 아래에 위치한 하단이다.

천제단 내부에는 해, 달, 북두칠성을 그린 기를 세워 놓았다. 동쪽에 세운 해 깃발 안에는 [삼족오](/topic/삼족오)(三足烏), 서쪽에 세운 달 깃발 안에는 토끼 그림을 각각 그렸다. 이와 같이 해와 달을 그린 것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도상(圖像)이다. 그리고 예부터 북두칠성이 각 절기의 기준 별자리여서 이를 그린 깃발을 제단 북쪽에 세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제단 외곽에는 28수기와 각종 염원을 쓴 깃발을 세웠다. 28수기는 『천문유초(天文類抄)』, 『보천가(步天歌)』, 『성경(星鏡)』,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地圖)」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늘을 28개의 주요 별자리를 이용하여 동서남북으로 구분한 뒤 이를 각각 청룡․백호․주작․현무라는 사신에 대비시켜 만든 별자리 깃발이다. 이들 깃발에는 각각 상징하는 별자리를 그렸다. 구체적으로 동쪽에 배치한 깃발은 각성기(角星旗), 항성기(亢星旗), 저성기(氐星旗), 방성기(房星旗), 심성기(心星旗), 미성기(尾星旗), 기성기(箕星旗)이다. 서쪽에 배치한 깃발은 규성기(奎星旗), 누성기(婁星旗), 위성기(胃星旗), 묘성기(昴星旗), 필성기(畢星旗), 자성기(觜星旗), 삼성기(參星旗)이다. 북쪽에 배치한 깃발은 두성기(斗星旗), 우성기(牛星旗), 여성기(女星旗), 허성기(虛星旗), 위성기(危星旗), 실성기(室星旗), 벽성기(壁星旗)를 상징하는 깃발을 그렸으며, 남쪽에는 정성기(井星旗), 귀성기(鬼星旗), 류성기(柳星旗), 성성기(星星旗), 장성기(張星旗), 익성기(翼星旗), 진성기(軫星旗)이다. 이들 깃발 가운데 제단 내에 배치한 깃발은 노란색 테두리, 동쪽에 배치한 깃발은 파란색 테두리, 서쪽에 배치한 깃발은 하얀색 테두리, 남쪽에 배치한 깃발은 빨간색 테두리, 북쪽에 배치한 깃발은 남색 테두리로 마감하였다.

이와 같이 제단 내에 해․달․북두칠성을 그린 깃발을 세우고 제단 외곽에 28수기를 동서남북으로 각각 구분하여 세운 것은 태백산에서 천제, 즉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에 하늘을 상징하는 주요 요소들을 깃발로 만들어 배치하였다고 볼 수 있다.

28수기와 함께 세계평화(世界平和), 민족통일(民族統一), 국태민안(國泰民安), 우순풍조(雨順風調), 민족(民族)의 영산(靈山) 태백산(太白山), 태백산 천제(太白山 天祭)[대한민국 천제(大韓民國 天祭)]’라고 각각 쓴 깃발을 만들어 배치하였다. 이들 깃발은 천제에서 기원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1938년 이전에 태백산에서 천제를 거행할 때 28수기를 비롯한 별자리 깃발을 세웠다는 기록은 확인할 수 없지만 앞에서 소개한 태극교도(천지중앙 명류도)들이 조선의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 정상에 구령탑을 쌓은 후, 1938년 6월 16일(음력 5월 8일)에 윤상명을 비롯한 교도들이 독립기원제를 지내면서 구령탑 주위에 태극기․팔만기․오행기․구령기와 함께 일월성신기와 28수기를 세웠다는 기록, 1949년의 사진과 최익한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태백산 천제를 지낼 때 제단 주위에 별자리 깃발을 세우는 전통은 1987년 태백산 천제위원회가 결성되어 천제를 주관하기 이전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천제단 주변 둘레돌에 [금줄](/topic/금줄)을 세 겹으로 둘러서 참제원들이 각자 소원을 적은 [한지](/topic/한지)를 끼워서 천제가 끝나고 소지를 올릴 때 함께 태워 참제원들의 염원이 모두 이루어지길 기원해 준다.

1987년부터 태백산 천제위원회가 주관하여 [개천절](/topic/개천절)에 지낸 천제는 영신굿-천황굿 [사설](/topic/사설) 구송-개의(開儀)-번시례(燔柴禮)-강신례(降神禮)-[참신](/topic/참신)례(參神禮)-전폐례(奠幣禮)-[진찬](/topic/진찬)례(進饌禮)-고천례(告天禮)-[헌작](/topic/헌작)례(獻酌禮)-송신례(送神禮)-[음복](/topic/음복)례(飮福禮)-망료례(望燎禮)의 순서로 진행된다.
내용현재 행해지는 태백산 천제는 1987년에 ‘태백산 천제 위원회’가 결성되어 각종 준비와 의례를 주관하여 지내다가 2008년에 명칭을 ‘천제 보존회’로 변경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천제로 발전시키려 하고 있다.

2008년에 천제를 주재한 인사는 제주(태백시장 박종기), [헌관](/topic/헌관)(태백시의회의장 김천수․태백문화원장 권영한), 번시관(정창교), 집례(안석호), 축관(김영복), 집사(이창복)이다.

실무 준비는 태백문화원에서 주관하며, 매년 10월 3일 천제단에서 오시에 천제를 지낸다. 제수는 천주(가양곡왕주), 소머리, [오곡](/topic/오곡)(쌀, [보리](/topic/보리), 콩, 조, [기장](/topic/기장)), 고사리, 미역, 대구포, 밤, [대추](/topic/대추), 곶감, 백설기(1시루), [삼베](/topic/삼베), 물이다. 한라산을 비롯한 전국의 주요 산에서 가져온 흙을 각각의 [주머니](/topic/주머니)에 담아 올린다. 물은 태백산 정상 아래에 있는 용정(龍井)의 물을 이용한다. 메는 준비하지 않으며, 쇠머리와 떡을 제외한 다른 제수는 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올린다.

제의 장소인 태백산 천제단(천왕당)은 태백산 정상에 있으며, 소재지는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산 80 및 혈동 산87-2이다. 1991년 10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228호’로 지정되었으며, 천제단과 함께 지정된 자료는 천제단 뒤쪽 북방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장군](/topic/장군)단과 천제단 남쪽 언덕 아래에 위치한 하단이다.

천제단 내부에는 해, 달, 북두칠성을 그린 기를 세워 놓았다. 동쪽에 세운 해 깃발 안에는 [삼족오](/topic/삼족오)(三足烏), 서쪽에 세운 달 깃발 안에는 토끼 그림을 각각 그렸다. 이와 같이 해와 달을 그린 것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도상(圖像)이다. 그리고 예부터 북두칠성이 각 절기의 기준 별자리여서 이를 그린 깃발을 제단 북쪽에 세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제단 외곽에는 28수기와 각종 염원을 쓴 깃발을 세웠다. 28수기는 『천문유초(天文類抄)』, 『보천가(步天歌)』, 『성경(星鏡)』,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地圖)」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늘을 28개의 주요 별자리를 이용하여 동서남북으로 구분한 뒤 이를 각각 청룡․백호․주작․현무라는 사신에 대비시켜 만든 별자리 깃발이다. 이들 깃발에는 각각 상징하는 별자리를 그렸다. 구체적으로 동쪽에 배치한 깃발은 각성기(角星旗), 항성기(亢星旗), 저성기(氐星旗), 방성기(房星旗), 심성기(心星旗), 미성기(尾星旗), 기성기(箕星旗)이다. 서쪽에 배치한 깃발은 규성기(奎星旗), 누성기(婁星旗), 위성기(胃星旗), 묘성기(昴星旗), 필성기(畢星旗), 자성기(觜星旗), 삼성기(參星旗)이다. 북쪽에 배치한 깃발은 두성기(斗星旗), 우성기(牛星旗), 여성기(女星旗), 허성기(虛星旗), 위성기(危星旗), 실성기(室星旗), 벽성기(壁星旗)를 상징하는 깃발을 그렸으며, 남쪽에는 정성기(井星旗), 귀성기(鬼星旗), 류성기(柳星旗), 성성기(星星旗), 장성기(張星旗), 익성기(翼星旗), 진성기(軫星旗)이다. 이들 깃발 가운데 제단 내에 배치한 깃발은 노란색 테두리, 동쪽에 배치한 깃발은 파란색 테두리, 서쪽에 배치한 깃발은 하얀색 테두리, 남쪽에 배치한 깃발은 빨간색 테두리, 북쪽에 배치한 깃발은 남색 테두리로 마감하였다.

이와 같이 제단 내에 해․달․북두칠성을 그린 깃발을 세우고 제단 외곽에 28수기를 동서남북으로 각각 구분하여 세운 것은 태백산에서 천제, 즉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에 하늘을 상징하는 주요 요소들을 깃발로 만들어 배치하였다고 볼 수 있다.

28수기와 함께 세계평화(世界平和), 민족통일(民族統一), 국태민안(國泰民安), 우순풍조(雨順風調), 민족(民族)의 영산(靈山) 태백산(太白山), 태백산 천제(太白山 天祭)[대한민국 천제(大韓民國 天祭)]’라고 각각 쓴 깃발을 만들어 배치하였다. 이들 깃발은 천제에서 기원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1938년 이전에 태백산에서 천제를 거행할 때 28수기를 비롯한 별자리 깃발을 세웠다는 기록은 확인할 수 없지만 앞에서 소개한 태극교도(천지중앙 명류도)들이 조선의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 정상에 구령탑을 쌓은 후, 1938년 6월 16일(음력 5월 8일)에 윤상명을 비롯한 교도들이 독립기원제를 지내면서 구령탑 주위에 태극기․팔만기․오행기․구령기와 함께 일월성신기와 28수기를 세웠다는 기록, 1949년의 사진과 최익한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태백산 천제를 지낼 때 제단 주위에 별자리 깃발을 세우는 전통은 1987년 태백산 천제위원회가 결성되어 천제를 주관하기 이전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천제단 주변 둘레돌에 [금줄](/topic/금줄)을 세 겹으로 둘러서 참제원들이 각자 소원을 적은 [한지](/topic/한지)를 끼워서 천제가 끝나고 소지를 올릴 때 함께 태워 참제원들의 염원이 모두 이루어지길 기원해 준다.

1987년부터 태백산 천제위원회가 주관하여 [개천절](/topic/개천절)에 지낸 천제는 영신굿-천황굿 [사설](/topic/사설) 구송-개의(開儀)-번시례(燔柴禮)-강신례(降神禮)-[참신](/topic/참신)례(參神禮)-전폐례(奠幣禮)-[진찬](/topic/진찬)례(進饌禮)-고천례(告天禮)-[헌작](/topic/헌작)례(獻酌禮)-송신례(送神禮)-[음복](/topic/음복)례(飮福禮)-망료례(望燎禮)의 순서로 진행된다.
역사천제를 지내는 태백산이 경상도에서 잘 보이고 경상도에 걸쳐 있지만 경상도지방에서도 강원도 삼척부에 속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그 중심 영역은 당시 삼척부 관할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각종 기록에 따르면 태백산은 태백산 봉우리를 포함하여 주변의 문수봉, 함백산[크고 작은 작약봉], 창옥산, 천의봉, 대봉, 장산, 금대봉, 연화봉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폭넓은 권역이었다. 동쪽으로는 우보산과 경계를 이루며, 서쪽으로는 충북 단양군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금대봉을 경계로 하며, 남쪽으로는 경상도 순흥부에 닿아 있었다. 문화권을 중심으로 설정하여도 태백산 권역은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과 경북 북부지역, 충청도를 아우르는 매우 넓은 지역으로 인식되었다.

태백산에서의 제사는 신라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 차원이든 개인 차원이든 꾸준히 이어져 왔다. 제의(祭儀)를 주관한 주체나 형식은 시대에 따라 달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신라시대에는 국토방위를 위하여 다섯 곳에 중사(中祀)를 설치하였다. 이 가운데 태백산이 중사(中祀)에 속하였음은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비롯한 각종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김방경의 아들 김순을 태백산제(太白山祭)를 지내기 위한 외산제고사(外山祭告使)로 파견하였다는 기록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봉화현 역원조에 도심역 관련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고려의 [사전](/topic/사전)에 태백산제가 공식적으로 등재되지 않았지만 김순에 의한 1회성 태백산제가 아니라 태백산제를 위해 파견된 관리들을 위해 상설 역인 도심역을 설치하였다는 것은 고려시대에 태백산제를 지속적으로 설행하였음을 보여 준다. 이는 고려시대에도 태백산을 국가제사를 위한 제장(祭場)으로 여겼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여기서 고려시대 태백산에서의 국가제사는 신라시대의 중사에 이어 태백산신에게 제사를 지낸 형태였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조 대에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가 태백산을 동진(東鎭)으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태백산에서 비록 국가제사를 지내지 않았지만 민간에서 태백산제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컸고, 이에 따라 지방 관청과 무당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성현의 『허백당집』 등을 보아 조선시대 태백산에서의 제사는 일정 부분을 향리들이 주도하면서 백성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때 태백산에 설치된 제당을 ‘태백천왕당(太伯天王堂), 천왕당(天王堂), 천왕사(天王祠)’라고 하였다는 것은 천왕신(天王神)을 모신 제의가 행해졌음을 보여 준다. 이와 함께 각종 기록을 종합하면 태백산사(太白山祠)는 천왕당이고, 태백사(太白祠)는 천왕사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태백산사나 태백사 등으로 불리는 제당에서도 천왕신을 모셨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과 함께 인근에 있는 삼척의 근산사(近山祠)를 천왕(天王)을 모신 천왕당이라 하였으며, 현재 충북 [속리산](/topic/속리산)에도 천왕사가 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 천왕당에서 모신 천왕(天王)을 천신(天神)으로 볼 것인지 산신(山神)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천왕은 지역이나 제당에 따라 산신이나 천신으로 비정될 수 있으며, 사전에서는 그 의미를 ‘불교에서 욕계나 색계 따위의 온갖 하늘의 임금, 역사적으로 상고(上古)시대에 수호신을 이르던 말, ‘환웅’을 높여 이르던 말, ‘해모수’를 높여 이르던 말, 중국에서 천자(天子)를 이르던 말’로 설명되어 있다. 또한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천왕지신(天王地神)’이란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도교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시대에 왕실에서 외산제고사를 파견하여 태백산제를 지낼 때 모신 신령을 산신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8세기부터 단종이 사후 태백산신으로 좌정하였다는 믿음이 태백산 주변 및 영월 지역 주민과 무당들 사이에 뿌리 내렸으며, 단종대왕을 천왕으로 여기는 사례가 없다는 사실은 태백산신과 천왕을 별개로 여겨야 함을 보여 준다. 이와 함께 1735년부터 1737년 사이에 기록된 이인상의 「유태백산기」에 천왕신이 등장한다는 사실은 당시 태백산 천왕당[태백당]에서 모신 천왕을 천신으로 여겨야 할 가능성을 좀 더 높여 준다.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한 경상좌도 의병장 유종개와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의병운동이나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의 신자들 및 이들을 지도하는 사람들이 태백산에 와서 하늘에 제사를 지낸 예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동학에서 강원도를 기반으로 한 동학교단 재건 활동의 효시로 매우 중요하게 여기게 된 49일 수련법은 이곳 태백산 자락에서 처음 시작되어 동학의 공식적인 수련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1937년에는 태극교도(천지중앙 명류도)들이 조선의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 정상에 구령탑을 쌓고 1938년 6월 15일(음력 5월 7일) 이튿날에 독립기원제를 지냈다고 한다.

한편 태백산에서의 천제에 대한 기록이 다양함에도 제사를 지낼 때 [삼베](/topic/삼베)나 소를 바친 기록은 있으나 구체적인 제의 과정을 알려주는 기록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행히 오래된 기록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하여 1938년 기록에 따르면 제단을 설치한 후 28수기[宿旗]를 비롯한 각종 깃발과 제수를 준비하여 천제를 지낸 사례를 확인하였다.

1949년에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시멘트 단과 한배검의 비석은 없었다. 그리고 제단은 구단탑(九段塔)이라 하여 아홉 단(段)으로 쌓아 올렸다. 그 주위에는 33천기(天旗)와 28수기를 꽂고, 단의 중앙에는 태극기와 구성기(九星旗) 또는 칠성기(七星旗)를 세웠다. 제물도 아홉 종류였다.

1949년 최익한(崔翼漢)의수기(手記)에 따르면 당시 태백산제는 10월 3일자시(子時)를 기해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왕당에서 거행하였다. 이 때 중앙에는 태극기, 중간에는 칠성기와 현무기(玄武旗)를 각각 꽂고 주변에 33천기와 28수기를 배치하였다. 제기(祭器)는 경북 봉화군 춘양의 유기점(鍮器店)에서 81개를 맞추어 일 회만 사용했다. 모든 참제자는 저녁에 등정하여 천제를 모시고 이튿날 아침에야 하산했다.

[제관](/topic/제관)은 모두 [백의](/topic/백의)(白衣) [도포](/topic/도포)를 입었다. 참제(參祭)할 사람은 일 년 전부터 일체의 부정을 가리고 심신(心身)을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했다.제물은 모두 날것으로 하였으며 아홉 종류로 아홉 벌을 장만했다. 곧 81개의 제물을 올린 셈이다. 청옥(靑玉), 청송엽(靑松葉), 금(金), 은(銀), 진주(珍珠), 백미(白米) 외에도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은 두 종류가 더 있었다.
역사천제를 지내는 태백산이 경상도에서 잘 보이고 경상도에 걸쳐 있지만 경상도지방에서도 강원도 삼척부에 속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그 중심 영역은 당시 삼척부 관할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각종 기록에 따르면 태백산은 태백산 봉우리를 포함하여 주변의 문수봉, 함백산[크고 작은 작약봉], 창옥산, 천의봉, 대봉, 장산, 금대봉, 연화봉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폭넓은 권역이었다. 동쪽으로는 우보산과 경계를 이루며, 서쪽으로는 충북 단양군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금대봉을 경계로 하며, 남쪽으로는 경상도 순흥부에 닿아 있었다. 문화권을 중심으로 설정하여도 태백산 권역은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과 경북 북부지역, 충청도를 아우르는 매우 넓은 지역으로 인식되었다.

태백산에서의 제사는 신라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 차원이든 개인 차원이든 꾸준히 이어져 왔다. 제의(祭儀)를 주관한 주체나 형식은 시대에 따라 달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신라시대에는 국토방위를 위하여 다섯 곳에 중사(中祀)를 설치하였다. 이 가운데 태백산이 중사(中祀)에 속하였음은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비롯한 각종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김방경의 아들 김순을 태백산제(太白山祭)를 지내기 위한 외산제고사(外山祭告使)로 파견하였다는 기록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봉화현 역원조에 도심역 관련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고려의 [사전](/topic/사전)에 태백산제가 공식적으로 등재되지 않았지만 김순에 의한 1회성 태백산제가 아니라 태백산제를 위해 파견된 관리들을 위해 상설 역인 도심역을 설치하였다는 것은 고려시대에 태백산제를 지속적으로 설행하였음을 보여 준다. 이는 고려시대에도 태백산을 국가제사를 위한 제장(祭場)으로 여겼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여기서 고려시대 태백산에서의 국가제사는 신라시대의 중사에 이어 태백산신에게 제사를 지낸 형태였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조 대에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가 태백산을 동진(東鎭)으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태백산에서 비록 국가제사를 지내지 않았지만 민간에서 태백산제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컸고, 이에 따라 지방 관청과 무당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성현의 『허백당집』 등을 보아 조선시대 태백산에서의 제사는 일정 부분을 향리들이 주도하면서 백성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때 태백산에 설치된 제당을 ‘태백천왕당(太伯天王堂), 천왕당(天王堂), 천왕사(天王祠)’라고 하였다는 것은 천왕신(天王神)을 모신 제의가 행해졌음을 보여 준다. 이와 함께 각종 기록을 종합하면 태백산사(太白山祠)는 천왕당이고, 태백사(太白祠)는 천왕사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태백산사나 태백사 등으로 불리는 제당에서도 천왕신을 모셨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과 함께 인근에 있는 삼척의 근산사(近山祠)를 천왕(天王)을 모신 천왕당이라 하였으며, 현재 충북 [속리산](/topic/속리산)에도 천왕사가 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 천왕당에서 모신 천왕(天王)을 천신(天神)으로 볼 것인지 산신(山神)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천왕은 지역이나 제당에 따라 산신이나 천신으로 비정될 수 있으며, 사전에서는 그 의미를 ‘불교에서 욕계나 색계 따위의 온갖 하늘의 임금, 역사적으로 상고(上古)시대에 수호신을 이르던 말, ‘환웅’을 높여 이르던 말, ‘해모수’를 높여 이르던 말, 중국에서 천자(天子)를 이르던 말’로 설명되어 있다. 또한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천왕지신(天王地神)’이란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도교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시대에 왕실에서 외산제고사를 파견하여 태백산제를 지낼 때 모신 신령을 산신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8세기부터 단종이 사후 태백산신으로 좌정하였다는 믿음이 태백산 주변 및 영월 지역 주민과 무당들 사이에 뿌리 내렸으며, 단종대왕을 천왕으로 여기는 사례가 없다는 사실은 태백산신과 천왕을 별개로 여겨야 함을 보여 준다. 이와 함께 1735년부터 1737년 사이에 기록된 이인상의 「유태백산기」에 천왕신이 등장한다는 사실은 당시 태백산 천왕당[태백당]에서 모신 천왕을 천신으로 여겨야 할 가능성을 좀 더 높여 준다.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한 경상좌도 의병장 유종개와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의병운동이나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의 신자들 및 이들을 지도하는 사람들이 태백산에 와서 하늘에 제사를 지낸 예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동학에서 강원도를 기반으로 한 동학교단 재건 활동의 효시로 매우 중요하게 여기게 된 49일 수련법은 이곳 태백산 자락에서 처음 시작되어 동학의 공식적인 수련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1937년에는 태극교도(천지중앙 명류도)들이 조선의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 정상에 구령탑을 쌓고 1938년 6월 15일(음력 5월 7일) 이튿날에 독립기원제를 지냈다고 한다.

한편 태백산에서의 천제에 대한 기록이 다양함에도 제사를 지낼 때 [삼베](/topic/삼베)나 소를 바친 기록은 있으나 구체적인 제의 과정을 알려주는 기록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행히 오래된 기록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하여 1938년 기록에 따르면 제단을 설치한 후 28수기[宿旗]를 비롯한 각종 깃발과 제수를 준비하여 천제를 지낸 사례를 확인하였다.

1949년에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시멘트 단과 한배검의 비석은 없었다. 그리고 제단은 구단탑(九段塔)이라 하여 아홉 단(段)으로 쌓아 올렸다. 그 주위에는 33천기(天旗)와 28수기를 꽂고, 단의 중앙에는 태극기와 구성기(九星旗) 또는 칠성기(七星旗)를 세웠다. 제물도 아홉 종류였다.

1949년 최익한(崔翼漢)의수기(手記)에 따르면 당시 태백산제는 10월 3일자시(子時)를 기해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왕당에서 거행하였다. 이 때 중앙에는 태극기, 중간에는 칠성기와 현무기(玄武旗)를 각각 꽂고 주변에 33천기와 28수기를 배치하였다. 제기(祭器)는 경북 봉화군 춘양의 유기점(鍮器店)에서 81개를 맞추어 일 회만 사용했다. 모든 참제자는 저녁에 등정하여 천제를 모시고 이튿날 아침에야 하산했다.

[제관](/topic/제관)은 모두 [백의](/topic/백의)(白衣) [도포](/topic/도포)를 입었다. 참제(參祭)할 사람은 일 년 전부터 일체의 부정을 가리고 심신(心身)을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했다.제물은 모두 날것으로 하였으며 아홉 종류로 아홉 벌을 장만했다. 곧 81개의 제물을 올린 셈이다. 청옥(靑玉), 청송엽(靑松葉), 금(金), 은(銀), 진주(珍珠), 백미(白米) 외에도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은 두 종류가 더 있었다.
의의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거나 태백산신을 모신 전통은 태백산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어 거리 등 문제로 이 제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태백산 줄기가 내려온 산봉우리나 능선 아래에 상당으로 여기는 천제단(천제당 또는 천지단)을 [마을](/topic/마을) 단위로 만들어 천제를 지내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즉, 많은 마을에서 태백산과 관련한 당신화가 만들어져 단군을 모시거나 천제를 지내는 예를 발견할 수 있다. 태백산신령을 마을 제당의 주신(主神)으로 모셔서 마을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마을 또한 많다.

이들 마을에서는 [천신](/topic/천신)을 자연신으로 인식하면서 마을신으로 모시는 [서낭신](/topic/서낭신)보다 더 큰 능력을 지닌 신령으로 여기고 기우제를 지낼 때 모시거나 거리고사를 지낼 때 상당신으로 모신다.
의의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거나 태백산신을 모신 전통은 태백산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어 거리 등 문제로 이 제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태백산 줄기가 내려온 산봉우리나 능선 아래에 상당으로 여기는 천제단(천제당 또는 천지단)을 [마을](/topic/마을) 단위로 만들어 천제를 지내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즉, 많은 마을에서 태백산과 관련한 당신화가 만들어져 단군을 모시거나 천제를 지내는 예를 발견할 수 있다. 태백산신령을 마을 제당의 주신(主神)으로 모셔서 마을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마을 또한 많다.

이들 마을에서는 [천신](/topic/천신)을 자연신으로 인식하면서 마을신으로 모시는 [서낭신](/topic/서낭신)보다 더 큰 능력을 지닌 신령으로 여기고 기우제를 지낼 때 모시거나 거리고사를 지낼 때 상당신으로 모신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