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

한국무속신앙사전
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사고방식이 반영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definition
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사고방식이 반영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mp3Cnt
0
wkorname
김종대
정의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사고방식이 반영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정의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사고방식이 반영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내용메밀은 [구황작물](/topic/구황작물)이어서 일반적인 제사와 관련한 의례에 사용되는 [곡물](/topic/곡물)로는 적당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도깨비와 관련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는 메밀을 제물로 올리는특징을 보인다. 이는 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민중적 사고방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특히 전라남도 신안군의 해안 지역에서는 도깨비가 메밀 냄새를 좋아하기 때문에 제물로올린다고 한다.

메밀이 한반도에 전래된 때는 신라 말기로 추정한다. 메밀은 중국 한나라 때 재배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메밀은 구황작물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즉 메밀은 가뭄에 강하고 재배기간도 짧기 때문에 재해로 인한 벼 등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할 때 대체작물로 경작한 것이다.

메밀은 특이하게도 무를 이용해 중화시켜야 할 정도의 독성이 있다. 메밀국수를 먹을 때 무채를 넣어서 함께 먹도록 하는 것이다. 메밀은 상류 계층보다 민중이 주로 먹던 음식이다. 이에 따라 민중은 자신의 현세적인 궁핍에서 벗어나게 해 줄 것으로 여긴 도깨비에게 특별한 음식보다 자신이 먹는 음식을 그대로 제물로 바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메밀은 [구황작물](/topic/구황작물)이어서 일반적인 제사와 관련한 의례에 사용되는 [곡물](/topic/곡물)로는 적당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도깨비와 관련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는 메밀을 제물로 올리는특징을 보인다. 이는 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민중적 사고방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특히 전라남도 신안군의 해안 지역에서는 도깨비가 메밀 냄새를 좋아하기 때문에 제물로올린다고 한다.

메밀이 한반도에 전래된 때는 신라 말기로 추정한다. 메밀은 중국 한나라 때 재배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메밀은 구황작물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즉 메밀은 가뭄에 강하고 재배기간도 짧기 때문에 재해로 인한 벼 등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할 때 대체작물로 경작한 것이다.

메밀은 특이하게도 무를 이용해 중화시켜야 할 정도의 독성이 있다. 메밀국수를 먹을 때 무채를 넣어서 함께 먹도록 하는 것이다. 메밀은 상류 계층보다 민중이 주로 먹던 음식이다. 이에 따라 민중은 자신의 현세적인 궁핍에서 벗어나게 해 줄 것으로 여긴 도깨비에게 특별한 음식보다 자신이 먹는 음식을 그대로 제물로 바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례메밀을 이용한 음식은 대개 [메밀묵](/topic/메밀묵)을 들 수 있다. 서해안 지역, 예컨대 충청남도나 전라도에서는 뱃[고사](/topic/고사) 때에 메밀범벅을 [제물](/topic/제물)로 많이 사용한다. 뱃고사가 끝나고 제물을 뿌리는 산물(散物) 과정에서 “물 위 참봉, 물 아래 참봉, 이것 드시고 고기 많이 잡게 해 줍사”라는 축원을 올린다. 이때의 제물이 도깨비를 위한 것임을 잘 보여 주는 대목이다.참봉은 도깨비를 올려 부르는 명칭이기 때문이다. 전북 임실군 관촌면 구암리에서는 특이하게 메밀을 이용한 [시루떡](/topic/시루떡)을 제물로 올리기도 한다.
지역사례메밀을 이용한 음식은 대개 [메밀묵](/topic/메밀묵)을 들 수 있다. 서해안 지역, 예컨대 충청남도나 전라도에서는 뱃[고사](/topic/고사) 때에 메밀범벅을 [제물](/topic/제물)로 많이 사용한다. 뱃고사가 끝나고 제물을 뿌리는 산물(散物) 과정에서 “물 위 참봉, 물 아래 참봉, 이것 드시고 고기 많이 잡게 해 줍사”라는 축원을 올린다. 이때의 제물이 도깨비를 위한 것임을 잘 보여 주는 대목이다.참봉은 도깨비를 올려 부르는 명칭이기 때문이다. 전북 임실군 관촌면 구암리에서는 특이하게 메밀을 이용한 [시루떡](/topic/시루떡)을 제물로 올리기도 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