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돈

한국무속신앙사전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definition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mp3Cnt
0
wkorname
이경엽
정의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내용영돈은 망자의 영혼을 씻겨 주는 절차에서 사용된다. 무녀는 영돈 앞에서 신칼로 솥뚜껑을 두드리며 망자의 넋을 청배하고, 향물·쑥물·맑은물을 차례로 빗자루에 적셔 위로부터 아래로 골고루 닦아주며 망자의 천도를 비는 축원을 한다. 이어 [한지](/topic/한지)를 솥뚜껑 위에 놓고 불을 붙여 태운다. 종교적으로 물과 불은 정화력을 가진 것으로 설명되는데, 씻김에서는 물과 불로 망자가 지니고 있는 이승의 잔재와 더러움을 씻어내고자 한다. 특히 물은 중요한 매개물로 사용되며, 향물·쑥물·[정화수](/topic/정화수)는 물의 일반적인 정화력을 강화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씻김은 사람의 죽음을 부정(不淨)하다고 여기는 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정한 영혼이 저승에 곧바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절차를 밟아서 부정을 씻어줘야 저승에 제대로 갈 수 있다고 여긴다. 씻김이란 절차가 씻김굿이라는 전체 굿의 이름으로도 사용되는 것은 그만큼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영돈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생활 용구를 의례적(儀禮的)인 무구로 사용하는 사례이다. 돗[자리](/topic/자리), 밥그릇, 솥뚜껑, 누룩, 옹기 등은 굿을 위해 따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굿 의뢰자가 사용하던 물건들이다. 생활 도구를 영돈이라는 무구로 용도를 바꾸고 거기에 의례 행위와 관념을 더함으로써 씻김이라는 종교적 상징과 신성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씻김굿 (이경엽, 한얼미디어,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무속의 물질문화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형태영돈은 제작하는 재료에 따라 돗[자리](/topic/자리)형과 옹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돗자리형은 바닥에 돗자리를 깔고 그 위에 망자의 옷을 펼쳐 놓고 그것을 둘둘 말아 일곱 매듭으로 묶어 세워 놓는다. 그 위에 ‘넋’을 담은 밥그릇을 놓고 그 위에 누룩과 솥뚜껑을 놓는 방법으로 만든다. 이렇게 만든 것을 영돈말이 또는 영돗말이, 영말이라고 한다. 아래로부터 [양말](/topic/양말), 하의, 상의 순으로 옷을 놓고 그 위에 넋그릇, 솥뚜껑을 놓은 형태를 두고 사람의 신체 형상이라고 설명한다. 그래서 영돈을 ‘망인(亡人)’이라고 호칭하는 경우도 있다. 옹기형은 작은 옹기 안에 망자 옷과 넋그릇을 넣고 그 위에 솥뚜껑을 얹은 형태이다. 분포로 보면 돗자리형이 훨씬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옹기형은 전남 동부와 전북 북부 일대에서 주로 사용된다.
전북대 석사논문한국마을굿에 대한 민족연극학적 연구김월덕1996
대원사한국의 풍어제하효길1998
국립문화재연구소위도띠뱃놀이김익두 외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