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앙밥

한국무속신앙사전
지앙을 모시기 위해 차려놓는 상.
definition
지앙을 모시기 위해 차려놓는 상.
mp3Cnt
0
wkorname
나경수
정의지앙을 모시기 위해 차려놓는 상.
내용전라도 지역에서 지앙은 산신(産神)으로 믿어진다. 지앙은 가정신앙에 속하는 신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속의례를 할 때 지앙을 위해 메와 숭늉을 올리는 예도 있다. 따로 상을 장만하지는 않고 [성주상](/topic/성주상) 주변이나 아래쪽에 [한지](/topic/한지)나 짚을 깔고 올린다.

지앙은 지역에 따라 가정신앙의 일환으로 지앙동이 또는 지앙오가리라고 부르는 그릇을 장만해 [조상신](/topic/조상신)으로 모시는 예가 있다. [안방](/topic/안방) [윗목](/topic/윗목)에 선반을 만들어서 지앙을 모신다. 그릇 안에는 쌀을 넣고 그 위에 여자들이 좋아하는 색실이나 오색 헝겊을 놓은 다음 한지로 덮고 뚜껑을 덮는다. 또 이렇듯 구체적인 신체는 모시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아이를 낳을 때 산모가 있는 방 윗목에 순산과 산모 및 아이의 건강을 위해 차리는 상을 지앙상이라고 부른다. 지앙상 위에는 [정화수](/topic/정화수)와 미역을 놓고 또 옆에는 산모가 아이를 낳으면 먹을 만큼의 쌀을 옹기그릇에 담아두기도 한다. 신생아가 아프거나 산모가 좋지 못하면 무당을 불러서 지앙상 앞에서 지앙굿을 하는 예도 있었다.
참고문헌호남의 몸주천도굿 (나경수 외, 민속원, 2006)
문음사김금화의 무가집김금화1995
국립문화재연구소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2002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