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당리마을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송당리마을제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의 본향당에서 벌어지는 정기적인 당굿. 절기에 따라 제의명이 달라 각기 ‘신과세’, ‘영등’, ‘마불림’, ‘시만국제’ 등으로 불린다. 이 굿은 1986년 4월 10일에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의 본향당에서 벌어지는 정기적인 당굿. 절기에 따라 제의명이 달라 각기 ‘신과세’, ‘영등’, ‘마불림’, ‘시만국제’ 등으로 불린다. 이 굿은 1986년 4월 10일에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강정식
정의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의 본향당에서 벌어지는 정기적인 당굿. 절기에 따라 제의명이 달라 각기 ‘신과세’, ‘영등’, ‘마불림’, ‘시만국제’ 등으로 불린다. 이 굿은 1986년 4월 10일에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송당본향당에서는 1년에 4차례 당굿을 벌인다. 정월 13일에 [신과세제](/topic/신과세제), 2월 13일에 영등손맞이, 7월 13일에 [마불림제](/topic/마불림제), 10월 13일에 시만국대제를 각각 벌인다. 정월에 벌이는 신과세제는 달리 대제(大祭)라고 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가장 중요한 굿으로, 규모 역시 다른 제의에 비해 매우 크다. 반면에 마불림제를 비롯한 나머지 제일에는 비념 정도로 간단하게 제의를 하여 모신다. 정태진 심방이 매인심방을 맡고 모든 굿을 진행한다. 그 목적은 한 해 동안 [마을](/topic/마을) 공동체 전체의 안녕과 [생업](/topic/생업)의 풍등을 기원하는 것이다.

송당본향당은 백줏도를 주신으로 모시는 당이다. 개별 제물로는 메 2그릇, 구운 생선, 과일, 돌레떡, 삶은 계란 등을 채롱에 담아 올린다. 돼지고기는 제물로 쓰지 않을 뿐 아니라 철저하게 금기한다. 돼지고기를 금기하는 것은 백줏도와 소로소천국이 별거하게 된 내력을 통해서 그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치마](/topic/치마), [저고리](/topic/저고리), 가락지, [비녀](/topic/비녀), 옷감 등을 함께 바친다. 모두 백줏도 할망이 치장하는 데 소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모두 궷집에 모셔 둔다. 당굿을 하여 이 당에 기원을 하면 자손들의 액운을 막아 주고 소원을 성취시켜 준다고 믿는다.

마을 아낙네들은 아침 일찍 제물을 구덕에 담아 등에 지고 당으로 간다. 한 집안의 주부가 이 일을 맡으며, 시어머니 된 이는 며느리가 어느 정도 시집살이에 익숙해지면 며느리에게 이 일을 맡긴다. 제물구덕을 놓는 [자리](/topic/자리)는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먼저 도착하는 순서대로 제단에 올린다. 다만 이장네와 상단골이 궷집 가까운 곳에 제물구덕을 놓을 수 있다는 점이 특별할 뿐이다. 궷집 왼쪽에는 벵딧할망(평대 수데깃당신)을 모시는 중산처가 있어 평대리에서 시집 온 일부 아낙네들이 제물구덕을 올린다. 딸을 시집보낸 집에서는 홍세함(함)을 쌌던 홍세포를 가져와 당신에게 혼인 사실을 고하고 당굿이 끝난 뒤에 불사르기도 한다. 옛날에는 홍세포를 신목 [가지](/topic/가지)에다 걸어두었다고도 한다.

신과세제로 벌이는 정월 열사흘 당굿은 본래 아침 일찍 시작하여 저녁 무렵까지 계속됐다. 그러나 요즘에는 오전 9시경에 시작하여 점심 때쯤 되면 주요 제차가 모두 마[무리](/topic/무리)된다. [무악](/topic/무악)기를 모두 울리면서 진행하기에 [소미](/topic/소미)도 3, 4명이 함께 참여한다. 주요 제차는 초감제, 산받음, 액맥이 등이다. 먼저 열명올림을 하고 초감제로 들어간다. 열명은 [단골](/topic/단골)마다 가족사항을 고해 올리는 것이다. 열명올림은 연유닦음에 들어가기 전에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시간이 워낙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정을 보아 이렇게 미리 하는 것이다. 초감제는 베[포도](/topic/포도)업침, 날과국섬김, 연유닦음, 신메움(본풀이), 새다림(도레둘러뷈), 군문열림, 신청궤(본향듦, 석살림)’로 짜인다. 신메움을 하면서 본향 대목에 가면 당신본풀이를 길게 [구연](/topic/구연)한다. 새다림에서는 새다림을 하고 이어 도레둘러뷈과 젯북제맞이굿을 아울러 한다. 신청궤에서 본향을 청하여 들인다. 백줏도는 치마저고리로 청하고, 소천국은 찌거리로 청한다. 본향을 청해 모신 뒤에는 서우제소리를 부르면서 모두 함께 흥겹게 춤추어 신을 놀린다. 이렇게 해서 초감제가 끝나면 점심식사를 한다. 점심을 마치면 산받음을 시작한다. 소미들이 모두 산받음에 나서고, 단골들은 각 심방의 주위에 모여앉아 차례로 가족들의 한 해 운수를 알아본다. 이어서 필요한 경우에는 액맥이를 한다. 궷문을 닫는 것으로 모든 제의가 끝난다.

초감제의 신메움에서 당신본풀이를 길게 구연한다. 내용은 제주도 신당의 원조라는 전승을 담은 것이다. 신청궤에서 본향듦을 하여 당신을 청하여 모신 뒤에는 서우제소리를 하면서 춤판을 벌이기는 하지만 다른 당에서처럼 나까시리 놀림은 하지 않는다. [산신놀이](/topic/산신놀이)도 하지 않는다. 이는 농경신인 백줏도를 모시는 당이기 때문이다.

본래 상단골인 광산 김씨가 주축이 되어 당굿을 하여 모셔왔지만, 오래 전부터 마을 이장이 주로 관여하고 있다. 이장이 상단골 구실을 대신하는 셈이다. 심방들은 과거 상단골 집에서 아침을 먹던 것처럼 이장네 집으로 가서 아침을 먹는다. 식사를 마친 뒤에는 그곳에서 필요한 [기메](/topic/기메)를 마련한다. 아침식사와 기메 만들기가 끝나면 함께 당으로 이동한다. 당보존회와 부녀회에서는 굿판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점심으로 국수를 삶아 대접한다. 이는 혈연 공동체 중심의 단골체제가 행정조직을 반영한 단골체제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

요즘에는 상단골에 대한 대우로 특별한 것이 없다. 제물구덕을 궷집 가까이 올린다든지 열명을 할 때 우선적으로 해준다든지 하는 것이 전부이다. 대우가 특별한 것이 없는 까닭은 상단골이 별다른 의무를 지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래 상단골은 당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대고 매인심방들의 생계를 돕는 등의 의무를 지며, 그에 상응하는 대우를 받는 것이다. 그런데 송당리에서는 오래 전부터 상단골이 특별한 권리와 의무를 지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 생존해 있는 주민들 가운데 상단골이 특별한 대우를 받거나 의무를 지는 경우를 본 예가 없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미 오래전에 상단골의 의미가 사라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본향당이 대개 그러하듯이 정기적인 제일 이외에는 개인적인 비념을 따로 하지 않는다. 이 당에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출입한다. 제일 3일 전부터 정성을 들이며, 고기를 먹거나 부부간 동침을 하지 않는다.
참고문헌북제주군 송당리 조사보고서 (문화·역사만들기 북제주군 추진협의회, 도서출판 각, 2004)
역사송당리[마을](/topic/마을)제의 역사는 가늠하기 어렵다. 다만 마을 설촌과 함께 당이 설립되고 당굿도 치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관리국무무문화재연구소1987
계명대학교 출판부조선무속의 현지연구최길성1987
열화당서울 진오기굿김수남1993
서울대학교 출판부한국무속과 연희이두현1996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국립문화재연구소경기도도당굿1999
문덕사샤머니즘 연구한국샤머니즘학회2002
한국무속학회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특징박정경2003
제8회 동양음악학국제학술회의경기도당굿의 굿춤이애주2004
송당마을제
64473
송당마을제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