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장승제
장승을 세울 때 또는 세워진 장승을 향해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벽사진경을 기원하는 제의.
definition
장승을 세울 때 또는 세워진 장승을 향해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벽사진경을 기원하는 제의.
mp3Cnt
0
wkorname
류종목
정의장승을 세울 때 또는 세워진 장승을 향해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벽사진경을 기원하는 제의.
정의장승을 세울 때 또는 세워진 장승을 향해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벽사진경을 기원하는 제의.
Jangseungje is a ritual held in the process of erecting jangseung, or village guardian posts, or to worship these guardians and pray for good fortune and to chase away evil spirits.

Rituals associated with village guardian posts are held on three different occasions: when felling the tree for carving the posts; to dedicate and bless the new posts with spiritual powers upon their erection; and for annual worship of the guardian posts held as part of dangsanje, the ritual for village gods. In many regions jangseungje is held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Male villagers without unclean elements associated with this day climb the mountain to fell a tree to be carved into new guardian posts. A tree growing in the sun is selected for the male guardian post and a tree in the shade for the female post, and myriad other taboos must be observed for the selection of the right trees. 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 simple offerings are set up and a ritual is held, after which the trees are axed. Then the lumber is transported to the carving workshop, the lumber for the male post positioned at the head of the procession. The head of jangseung must be carved from the bottom part of the tree, and the male guardian post must be erected prior to the female post, which will ensure harmony between the pair, enhancing the effect of jangseung in chasing away bad fortunes and inviting good fortunes for the village. Annual worship of the guardian posts is held as part of the village gods ritual dangsanje with simple sacrificial offerings, since jangseung is a low-shrine god while the village guardian god dangsan is a highshrine god, but rituals for jangseung are often held independently as well.
村民集体在竖立[长栍](/topic/长栍)时或对已立好的长栍举行的祈福禳灾祭仪。

与长栍有关的祭仪在三种情况下举行:砍长栍用的树;雕刻树,将其作为长栍立起,使其具有灵力;每年与[堂山](/topic/堂山)祭一起举办长栍祭祀。很多地方都在阴历一月十四日进行长栍祭。祭仪当天早上没有[不净](/topic/不净)的男人们上山砍树做长栍。男长栍用阳地树来做,女长栍则用阴地树木。此外在选树的过程中还要遵守许多[禁忌](/topic/禁忌)。选好树后,摆好简单的祭品,进行祭仪后砍树。将砍下的树去枝留干,之后运至长栍竖立的地方。用作男长栍的树摆在队伍的前方。竖立长栍时,用树根做长栍的头;先竖立男长栍,再竖立女长栍。因为人们相信只有这样男女长栍才能琴瑟和鸣,也能更好地为村庄招福除厄。与上堂神堂[山神](/topic/山神)相比,长栍是下堂神,所以每年人们在为守护村庄的主神堂山神进行祭祀,即举办[堂山祭](/topic/堂山祭)后,用简单的祭品举行长栍祭。但也有很多地方仅进行长栍祭。
참조장승
참고문헌조선민족문화의 연구 (손진태, 을유문화사, 1948)
장생 (이두현, 공간, 1970)
한국의 장승 (이상일, 열화당, 1976)
한국의 민속 (김성배, 집문당, 1980)
비보장생의 기원과 관념에 대한 시론 (신종원, 사학연구 31, 한국사학회, 1980)
장승의 기원과 변천시론 (이종철, 이화사학연구 13․14, 이화사학연구소, 1983)
한국민속학논고 (이두현, 학연사, 1984)
장승의 현지유형에 관한 시고 (이종철, 한국문화인류학 17, 한국문화인류학회, 1985)
장승제 (황루시, 평민사, 1986)
장승제의 신앙체계 (이종철, 삼불김원룡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Ⅱ, 일지사, 1987)
장승 (이종철 외, 열화당, 1988)
벅수와 장승 (김두하, 집문당, 1990)
조선 땅의 [마을](/topic/마을) 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장승․솟대의 역사 (천진기, 한국민속사논총, 지식산업사, 1996)
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98)
대[장군](/topic/장군)신앙의 연구 (임동권, 민속원, 1999)
한국민속문화 (류종목·오세길, 세종출판사, 1999)
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김형주, 민속원, 2002)
장생표의 성격과 기능 검토 (박호원, 생활문물연구10,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의 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7)
Jangseungje es un ritual que tienen lugar en el proceso de erigir los postes guardianes del pueblo llamados jangseung o para rezar por la buena fortuna y ahuyentar a los espíritus malignos.

El ritual asociado con postes guardianes tiene lugar en tres diferentes ocasiones: cuando cortan un árbol para tallarlo, cuando bendicen las figuras guardianas nuevas con poderes espirituales al erigirlas; cuando llevan a cabo el culto anual a los postes totémicos como parte del ritual a los dioses del pueblo llamado dangsanje. En muchas religiones, el jangseung je tiene lugar el 14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En ese día, los aldeanos masculinos sin elementos impuros suben a la montaña para cortar un árbol para elaborar los jangseungs. Un árbol que ha crecido bajo los rayos del sol puede ser seleccionado para ser el poste masculino, mientras el poste femenino debe ser hecho con un árbol que se encuentre en la sombra. Aparte de ello, hay numerosos tabúes que deben ser observados al elegir los árboles adecuados. Cuando termina la selección de árboles, los cortan y llevan a cabo un ritual simple con la mesa sacrificial. Y luego, los árboles cortados son trasladados a un taller de tallado. En este momento, los árboles que serían figuras masculinas tienen que colocarse por delante de los que se convertirían en figuras femeninas, lo que permitirá garantizar la armonía de pareja y aumentar el efecto de jangseung para alejar la mala suerte y atraer la fortuna a la aldea. El rito anual de la adoración a los jangseung como deidades guardianas se realiza como parte del dangsanje con simples ofrendas sacrificiales, ya que los jangseung son el dios del santuario bajo mientras el dios tutelar del pueblo, [Dangsan](/sp/topic/detail/1926)es el dios del santuario alto. Sin embargo, el jangseung je se celebra a menudo también de menera independiente.
Jangseungje is a ritual held in the process of erecting jangseung, or village guardian posts, or to worship these guardians and pray for good fortune and to chase away evil spirits.

Rituals associated with village guardian posts are held on three different occasions: when felling the tree for carving the posts; to dedicate and bless the new posts with spiritual powers upon their erection; and for annual worship of the guardian posts held as part of dangsanje, the ritual for village gods. In many regions jangseungje is held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Male villagers without unclean elements associated with this day climb the mountain to fell a tree to be carved into new guardian posts. A tree growing in the sun is selected for the male guardian post and a tree in the shade for the female post, and myriad other taboos must be observed for the selection of the right trees. 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 simple offerings are set up and a ritual is held, after which the trees are axed. Then the lumber is transported to the carving workshop, the lumber for the male post positioned at the head of the procession. The head of jangseung must be carved from the bottom part of the tree, and the male guardian post must be erected prior to the female post, which will ensure harmony between the pair, enhancing the effect of jangseung in chasing away bad fortunes and inviting good fortunes for the village. Annual worship of the guardian posts is held as part of the village gods ritual dangsanje with simple sacrificial offerings, since jangseung is a low-shrine god while the village guardian god dangsan is a highshrine god, but rituals for jangseung are often held independently as well.
村民集体在竖立[长栍](/topic/长栍)时或对已立好的长栍举行的祈福禳灾祭仪。

与长栍有关的祭仪在三种情况下举行:砍长栍用的树;雕刻树,将其作为长栍立起,使其具有灵力;每年与[堂山](/topic/堂山)祭一起举办长栍祭祀。很多地方都在阴历一月十四日进行长栍祭。祭仪当天早上没有[不净](/topic/不净)的男人们上山砍树做长栍。男长栍用阳地树来做,女长栍则用阴地树木。此外在选树的过程中还要遵守许多[禁忌](/topic/禁忌)。选好树后,摆好简单的祭品,进行祭仪后砍树。将砍下的树去枝留干,之后运至长栍竖立的地方。用作男长栍的树摆在队伍的前方。竖立长栍时,用树根做长栍的头;先竖立男长栍,再竖立女长栍。因为人们相信只有这样男女长栍才能琴瑟和鸣,也能更好地为村庄招福除厄。与上堂神堂[山神](/topic/山神)相比,长栍是下堂神,所以每年人们在为守护村庄的主神堂山神进行祭祀,即举办[堂山祭](/topic/堂山祭)后,用简单的祭品举行长栍祭。但也有很多地方仅进行长栍祭。
참조장승
참고문헌조선민족문화의 연구 (손진태, 을유문화사, 1948)
장생 (이두현, 공간, 1970)
한국의 장승 (이상일, 열화당, 1976)
한국의 민속 (김성배, 집문당, 1980)
비보장생의 기원과 관념에 대한 시론 (신종원, 사학연구 31, 한국사학회, 1980)
장승의 기원과 변천시론 (이종철, 이화사학연구 13․14, 이화사학연구소, 1983)
한국민속학논고 (이두현, 학연사, 1984)
장승의 현지유형에 관한 시고 (이종철, 한국문화인류학 17, 한국문화인류학회, 1985)
장승제 (황루시, 평민사, 1986)
장승제의 신앙체계 (이종철, 삼불김원룡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Ⅱ, 일지사, 1987)
장승 (이종철 외, 열화당, 1988)
벅수와 장승 (김두하, 집문당, 1990)
조선 땅의 [마을](/topic/마을) 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장승․솟대의 역사 (천진기, 한국민속사논총, 지식산업사, 1996)
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98)
대[장군](/topic/장군)신앙의 연구 (임동권, 민속원, 1999)
한국민속문화 (류종목·오세길, 세종출판사, 1999)
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김형주, 민속원, 2002)
장생표의 성격과 기능 검토 (박호원, 생활문물연구10,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의 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7)
Jangseungje es un ritual que tienen lugar en el proceso de erigir los postes guardianes del pueblo llamados jangseung o para rezar por la buena fortuna y ahuyentar a los espíritus malignos.

El ritual asociado con postes guardianes tiene lugar en tres diferentes ocasiones: cuando cortan un árbol para tallarlo, cuando bendicen las figuras guardianas nuevas con poderes espirituales al erigirlas; cuando llevan a cabo el culto anual a los postes totémicos como parte del ritual a los dioses del pueblo llamado dangsanje. En muchas religiones, el jangseung je tiene lugar el 14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En ese día, los aldeanos masculinos sin elementos impuros suben a la montaña para cortar un árbol para elaborar los jangseungs. Un árbol que ha crecido bajo los rayos del sol puede ser seleccionado para ser el poste masculino, mientras el poste femenino debe ser hecho con un árbol que se encuentre en la sombra. Aparte de ello, hay numerosos tabúes que deben ser observados al elegir los árboles adecuados. Cuando termina la selección de árboles, los cortan y llevan a cabo un ritual simple con la mesa sacrificial. Y luego, los árboles cortados son trasladados a un taller de tallado. En este momento, los árboles que serían figuras masculinas tienen que colocarse por delante de los que se convertirían en figuras femeninas, lo que permitirá garantizar la armonía de pareja y aumentar el efecto de jangseung para alejar la mala suerte y atraer la fortuna a la aldea. El rito anual de la adoración a los jangseung como deidades guardianas se realiza como parte del dangsanje con simples ofrendas sacrificiales, ya que los jangseung son el dios del santuario bajo mientras el dios tutelar del pueblo, [Dangsan](/sp/topic/detail/1926)es el dios del santuario alto. Sin embargo, el jangseung je se celebra a menudo también de menera independiente.
내용장승과 관련한 제의로는 장승으로 세울 나무를 벨 때, 그것을 다듬어 장승으로 세워 영력(靈力)을 불어넣을 때, 해마다 당산제와 함께 장승에 제사를 지낼 때 등 세 [가지](/topic/가지)가 있다.

장승제는 대체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지내는 곳이 많다. 이날 아침 [마을](/topic/마을)에서 정인(淨人)으로 선정된 남자들이 장승으로 세울 나무를 베기 위해 산으로 올라간다. 이때 산에 오를 때는 아무데로나 올라가서는 안 된다. 반드시 그해의 역수(曆數)에 따라 삼살방(三煞方), 곧 세살(歲煞)․겁살(劫煞)․재살(災煞)에 해당하는 방위를 피하여 길방(吉方)으로 올라가야 한다. 장승목으로 쓸 나무로는 밤나무, [대추](/topic/대추)나무, 참나무 등 목질이 단단한 나무를 선호하지만 이런 나무가 흔치 않기 때문에 소나무를 많이 쓰는 편이다. 깎기 쉽고 깎은 후 붉은색으로 변하는 물오리나무도 흔히 쓴다. 장승으로 쓸 나무는 개소리나 닭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에서 자란 것으로, 옹이가 없고 곧게 자란 것이라야 한다. 일반적으로 남장승은 양지, 여장승은 음지에서 각각 자란 나무로 쓴다. 남장승은 여장승보다 키와 둘레가 조금 커야 한다.

일단 장승으로 쓸 나무가 선정되면 그 앞에 주(酒)․과(果)․포(脯) 등 간단히 제물을 차리고 [목수](/topic/목수)가 재배(再拜)를 한 뒤 산신축(山神祝)을 하고 나서야 나무를 벤다. 이때 총각은 참여할 수 없다. 성인(成人)이 아니면 신을 대할 수 없다는 관념이 있기 때문이다. 또 부정한 사람, 곧 복을 벗지 못해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이거나 최근에 살생을 한 사람 등은 참여할 수 없다. 나무를 다 베고 나서는 그 그루터기에 흙을 덮어 흔적을 없앤다. 산신의 노여움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다. 벤 나무는 손질하여 통나무로 만든 다음 장승을 세울 장소로 운반한다. 이때 남장승으로 쓸 나무를 행렬의 선두에 내세운다. 장승목으로 쓸 나무를 메고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마을 사람들은 풍물을 치면서 마중을 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누구라도 장승목을 넘으면 안 된다.

장승을 세울 때에는 반드시 자라난 방향과는 반대로 나무의 뿌리 쪽이 장승의 머리 부분이 되도록 한다. 이는 머리 부분이 몸통에 비하여 크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현실적 필요성 외에 일상적인 모양을 뒤집음으로써 종교적 의미를 지닌 나무로 변환시키고자 하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승은 남장승을 먼저, 여장승을 뒤에 세운다. 이때 남녀 장승의 눈이 서로 마주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남녀 장승의 금실이 좋아지고 그만큼 마을의 제액초복(除厄招福) 효과도 커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어떤 마을에서는 장승 [혼례식](/topic/혼례식)은 물론 합궁(合宮) 장면까지 연출하기도 한다.

해마다 당산제(堂山祭)와 함께 지내는 장승제는 일반적으로 마을을 지키는 주신(主神)인 당산신(堂山神)에 대한 제사, 즉 당산제를 마친 뒤에 간소한 제물을 차리고 지낸다. 마을 입구에 세워진 장승은 상당산․중당산 등의 당산신에 비하여 하위의 신격이기 때문에 특별히 제물을 따로 준비하지 않고 당산제를 지내기 위해 장만한 제물의 일부를 조금 나누어서 사용한다. 상당산․중당산․하당산의 순으로 당산제를 진행하는 가운데 상당산과 중당산의 당산제는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풍물소리를 죽이고 제의 절차에 따라 [독축](/topic/독축), 소지(燒紙) 올리기 등의 순서를 밟는다. 하지만 마을 입구에 있는 하당산에 이르면 경건성과 엄숙성이 한결 떨어진다. 역시 마을 입구에 위치한 장승에 대한 제의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정성이나 금기 같은 것이 없다. 술 한 잔, 돼지머리, 명태 한 마리, 나물 몇 접시를 차리고 풍물소리를 울리는 가운데 이장이 재배하는 식으로 간단히 마친다.
내용장승과 관련한 제의로는 장승으로 세울 나무를 벨 때, 그것을 다듬어 장승으로 세워 영력(靈力)을 불어넣을 때, 해마다 당산제와 함께 장승에 제사를 지낼 때 등 세 [가지](/topic/가지)가 있다.

장승제는 대체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지내는 곳이 많다. 이날 아침 [마을](/topic/마을)에서 정인(淨人)으로 선정된 남자들이 장승으로 세울 나무를 베기 위해 산으로 올라간다. 이때 산에 오를 때는 아무데로나 올라가서는 안 된다. 반드시 그해의 역수(曆數)에 따라 삼살방(三煞方), 곧 세살(歲煞)․겁살(劫煞)․재살(災煞)에 해당하는 방위를 피하여 길방(吉方)으로 올라가야 한다. 장승목으로 쓸 나무로는 밤나무, [대추](/topic/대추)나무, 참나무 등 목질이 단단한 나무를 선호하지만 이런 나무가 흔치 않기 때문에 소나무를 많이 쓰는 편이다. 깎기 쉽고 깎은 후 붉은색으로 변하는 물오리나무도 흔히 쓴다. 장승으로 쓸 나무는 개소리나 닭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에서 자란 것으로, 옹이가 없고 곧게 자란 것이라야 한다. 일반적으로 남장승은 양지, 여장승은 음지에서 각각 자란 나무로 쓴다. 남장승은 여장승보다 키와 둘레가 조금 커야 한다.

일단 장승으로 쓸 나무가 선정되면 그 앞에 주(酒)․과(果)․포(脯) 등 간단히 제물을 차리고 [목수](/topic/목수)가 재배(再拜)를 한 뒤 산신축(山神祝)을 하고 나서야 나무를 벤다. 이때 총각은 참여할 수 없다. 성인(成人)이 아니면 신을 대할 수 없다는 관념이 있기 때문이다. 또 부정한 사람, 곧 복을 벗지 못해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이거나 최근에 살생을 한 사람 등은 참여할 수 없다. 나무를 다 베고 나서는 그 그루터기에 흙을 덮어 흔적을 없앤다. 산신의 노여움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다. 벤 나무는 손질하여 통나무로 만든 다음 장승을 세울 장소로 운반한다. 이때 남장승으로 쓸 나무를 행렬의 선두에 내세운다. 장승목으로 쓸 나무를 메고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마을 사람들은 풍물을 치면서 마중을 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누구라도 장승목을 넘으면 안 된다.

장승을 세울 때에는 반드시 자라난 방향과는 반대로 나무의 뿌리 쪽이 장승의 머리 부분이 되도록 한다. 이는 머리 부분이 몸통에 비하여 크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현실적 필요성 외에 일상적인 모양을 뒤집음으로써 종교적 의미를 지닌 나무로 변환시키고자 하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승은 남장승을 먼저, 여장승을 뒤에 세운다. 이때 남녀 장승의 눈이 서로 마주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남녀 장승의 금실이 좋아지고 그만큼 마을의 제액초복(除厄招福) 효과도 커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어떤 마을에서는 장승 [혼례식](/topic/혼례식)은 물론 합궁(合宮) 장면까지 연출하기도 한다.

해마다 당산제(堂山祭)와 함께 지내는 장승제는 일반적으로 마을을 지키는 주신(主神)인 당산신(堂山神)에 대한 제사, 즉 당산제를 마친 뒤에 간소한 제물을 차리고 지낸다. 마을 입구에 세워진 장승은 상당산․중당산 등의 당산신에 비하여 하위의 신격이기 때문에 특별히 제물을 따로 준비하지 않고 당산제를 지내기 위해 장만한 제물의 일부를 조금 나누어서 사용한다. 상당산․중당산․하당산의 순으로 당산제를 진행하는 가운데 상당산과 중당산의 당산제는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풍물소리를 죽이고 제의 절차에 따라 [독축](/topic/독축), 소지(燒紙) 올리기 등의 순서를 밟는다. 하지만 마을 입구에 있는 하당산에 이르면 경건성과 엄숙성이 한결 떨어진다. 역시 마을 입구에 위치한 장승에 대한 제의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정성이나 금기 같은 것이 없다. 술 한 잔, 돼지머리, 명태 한 마리, 나물 몇 접시를 차리고 풍물소리를 울리는 가운데 이장이 재배하는 식으로 간단히 마친다.
역사장승제의 대상인 장승이 문헌상에 등장하는 것은 신라와 고려의 장생표(長生標), 장생표주(長生標柱), 장생표탑(長生標塔), 국장생(國長生), 황장생(皇長生) 등이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조에 걸쳐서는 생(栍), 장승(長承, 長丞), 장생(長栍), 장생우(長栍偶), 후(堠), 장성(長城/長性), 장선주(長先柱), 장선(長仙), 댱승, 쟝승, 장신 등 매우 다양한 명칭이 보인다. 한편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에 보면 ‘후(堠)’를 ‘댱승 후’로 표기하고 있어 이미 16세기경에 장승이라는 명칭이 보편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승이란 일반적인 명칭 외에도 지역에 따라서는 이를 다르게 표현하는 곳도 있다. 예컨대 전라도와 경상도 해안지역의 장성․벅수․벅시․법수․법시․당산할아버지, 충청도의 장신․수살막이․수살이․수살목, 평안도와 함경도의 댱승․돌미륵, 제주도의 [돌하르방](/topic/돌하르방)․우석목(偶石木)․거오기․거액(去厄) 등이 그것이다. 장승의 어원과 유래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이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이 가운데 ‘벅수’는 장승이 도참․[풍수](/topic/풍수)․불교신앙 등과 결부되어 산천의 비보(裨補), 즉 복수(卜水) 기능이 첨가되면서 이것이 벅수로 [변이](/topic/변이)되었다. 수살막이․수살이․수살목 역시 살방(殺防), 수살방(水殺防), 수살목(水殺木) 등의 뜻을 지닌 풍수지리적 비보(裨補)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장승의 기원에 대한 학설로는 불교기원설, 고유민속기원설, 비교민속기원설 등이 있다. 불교기원설은 사찰의 토지 경계표시, 즉 장생고표지(長生庫標識)에서 왔다는 설이다. 고유민속기원설은 솟대, 선돌, [서낭당](/topic/서낭당)에서 온 것이라는 주장이다. 비교민속기원설은 기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북방기원설, 남방기원설, 환태평양기원설 등이 있다. 한편 노표(路標)인 후(堠)에서 장승이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10리, 30리마다 이수(里數, 거리를 ‘리’ 단위로 나타낸 수)와 지명을 기록한 후를 설치토록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 성현(成俔)의 『[용재총화](/topic/용재총화)(慵齋叢話)』와 김수장(金壽長)의 『해동가요(海東歌謠)』에도 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여기에서는 아예 후와 장생을 혼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늦어도 16세기쯤에는 후를 노표 및 장승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건립 연대가 확실하게 알려진 장승으로는 전북의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의 석장승(1689년 건립), 남원군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實相寺)의 석장승(1725) 등이 있다.
역사장승제의 대상인 장승이 문헌상에 등장하는 것은 신라와 고려의 장생표(長生標), 장생표주(長生標柱), 장생표탑(長生標塔), 국장생(國長生), 황장생(皇長生) 등이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조에 걸쳐서는 생(栍), 장승(長承, 長丞), 장생(長栍), 장생우(長栍偶), 후(堠), 장성(長城/長性), 장선주(長先柱), 장선(長仙), 댱승, 쟝승, 장신 등 매우 다양한 명칭이 보인다. 한편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에 보면 ‘후(堠)’를 ‘댱승 후’로 표기하고 있어 이미 16세기경에 장승이라는 명칭이 보편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승이란 일반적인 명칭 외에도 지역에 따라서는 이를 다르게 표현하는 곳도 있다. 예컨대 전라도와 경상도 해안지역의 장성․벅수․벅시․법수․법시․당산할아버지, 충청도의 장신․수살막이․수살이․수살목, 평안도와 함경도의 댱승․돌미륵, 제주도의 [돌하르방](/topic/돌하르방)․우석목(偶石木)․거오기․거액(去厄) 등이 그것이다. 장승의 어원과 유래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이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이 가운데 ‘벅수’는 장승이 도참․[풍수](/topic/풍수)․불교신앙 등과 결부되어 산천의 비보(裨補), 즉 복수(卜水) 기능이 첨가되면서 이것이 벅수로 [변이](/topic/변이)되었다. 수살막이․수살이․수살목 역시 살방(殺防), 수살방(水殺防), 수살목(水殺木) 등의 뜻을 지닌 풍수지리적 비보(裨補)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장승의 기원에 대한 학설로는 불교기원설, 고유민속기원설, 비교민속기원설 등이 있다. 불교기원설은 사찰의 토지 경계표시, 즉 장생고표지(長生庫標識)에서 왔다는 설이다. 고유민속기원설은 솟대, 선돌, [서낭당](/topic/서낭당)에서 온 것이라는 주장이다. 비교민속기원설은 기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북방기원설, 남방기원설, 환태평양기원설 등이 있다. 한편 노표(路標)인 후(堠)에서 장승이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10리, 30리마다 이수(里數, 거리를 ‘리’ 단위로 나타낸 수)와 지명을 기록한 후를 설치토록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 성현(成俔)의 『[용재총화](/topic/용재총화)(慵齋叢話)』와 김수장(金壽長)의 『해동가요(海東歌謠)』에도 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여기에서는 아예 후와 장생을 혼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늦어도 16세기쯤에는 후를 노표 및 장승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건립 연대가 확실하게 알려진 장승으로는 전북의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의 석장승(1689년 건립), 남원군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實相寺)의 석장승(1725) 등이 있다.
형태장승의 재료는 나무나 돌이다. 돌장승은 주로 남부지방에 있다. 장승은 사찰이나 지역 간의 이정표와 경계표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지만 주된 기능은 [마을](/topic/마을)을 침입하는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과 나쁜 기운을 막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장승의 겉모습을 무사․[장군](/topic/장군)․역사(力士)․문수(門守) 등으로 묘사하여 무섭게 만들고, 지역에 따라 얼굴에 [황토](/topic/황토) 칠을 하여 축귀(逐鬼) 기능을 강화한 곳이 있다. 또 잡귀와 재액을 쫓고 마을을 보호하는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따위를 묵서(墨書)하고, 경우에 따라 그 아래에 ‘축귀(逐鬼)’란 말을 추가하기도 한다. 사찰이나 지역 간의 이정표와 경계표로 기능하는 장승은 사찰의 입구나 길가 등에 세워지지만 잡귀와 재액을 쫓고 마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장승은 마을 입구에 남녀 한 쌍을 모시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간혹 마을의 중심과 사방 둘레에 각각 세우기도 한다.
형태장승의 재료는 나무나 돌이다. 돌장승은 주로 남부지방에 있다. 장승은 사찰이나 지역 간의 이정표와 경계표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지만 주된 기능은 [마을](/topic/마을)을 침입하는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과 나쁜 기운을 막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장승의 겉모습을 무사․[장군](/topic/장군)․역사(力士)․문수(門守) 등으로 묘사하여 무섭게 만들고, 지역에 따라 얼굴에 [황토](/topic/황토) 칠을 하여 축귀(逐鬼) 기능을 강화한 곳이 있다. 또 잡귀와 재액을 쫓고 마을을 보호하는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따위를 묵서(墨書)하고, 경우에 따라 그 아래에 ‘축귀(逐鬼)’란 말을 추가하기도 한다. 사찰이나 지역 간의 이정표와 경계표로 기능하는 장승은 사찰의 입구나 길가 등에 세워지지만 잡귀와 재액을 쫓고 마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장승은 마을 입구에 남녀 한 쌍을 모시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간혹 마을의 중심과 사방 둘레에 각각 세우기도 한다.
지역사례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수척[마을](/topic/마을)의 장승제는 당산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원래는 산신제인 윗당산제와 하당산의 당산제로 지내 오던 것이었으나 장승이 썩어 넘어지면서 당산제가 끊겼다. 그러던 것이 마을에 교통사고나 비명횡사 등 여러 재앙이 생기면서 1994년 마을회의를 통해 당산제를 복원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윗당산제는 생략되고 당산제의 중심이 장승제로 옮겨[지게](/topic/지게) 되었다. 제일(祭日)은 음력 정초 3일․5일․7일 가운데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일을 가려 지낸다. 제일이 정해지면 마을 뒷산에서 적당한 밤나무를 골라 잘라 와서 천하대[장군](/topic/장군)과 지하여장군 한 쌍을 양각으로 조성한다. 높이는 170㎝, 둘레는 100㎝ 정도이다. 제물은 가제(家祭)와 대동소이하지만 돼지머리를 더 차리고 소지를 준비한다. 제사는 반드시 자시(子時)에 할아버지장승 앞에서 지내며, [분향](/topic/분향)-[헌작](/topic/헌작)-[독축](/topic/독축)-소지축원 등 순으로 치른다.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아터골의 마을회관 옆 공터인 장승배기에는 장승 2기가 서 있으며, 이곳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장승제를 지내 오고 있다. 이곳의 장승제는 6․25전쟁 때 생활이 어려워 중단된 것을 1984년 짚으로 1m 크기의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 장승을 만들어 세워 두고 제를 지내면서 부활되었다. 이후 1990년까지 허수아비 장승으로 제를 지내 오다가 1991년 마을청년회에서 현재 마을회관 옆 장승배기에 장승 두 기를 세웠다. 예전에는 제를 지내기 한 달 전쯤에 깨끗하고 부정 타지 않은 사람 가운데 생기복덕을 가려 [제관](/topic/제관)을 뽑았다. 그러나 지금은 정월에 [초헌](/topic/초헌)관, [아헌](/topic/아헌)관, [종헌](/topic/종헌)관, 축관, 집사 두 명을 선출한다. 이 가운데 초헌관․아헌관․종헌관으로 선출된 사람들은 초상집이나 부정한 곳에 [가지](/topic/가지) 않고, 사흘 정도 근신을 하며, 매일 목욕재계를 한다. 또 예전에는 장승제 당일에 마을의 샘을 깨끗이 푸고 제의가 끝나기 전에는 다른 사람들의 사용을 금했다. 물론 장승제에 소용되는 물은 반드시 이 샘물을 사용했다. 그러나 지금은 모터로 물을 뽑아 쓰고 있어 이 풍습은 사라졌다. 제물로는 삼색실과, 떡시루, 돼지머리, 메, 포, 술, 청수 등이 사용된다. 주로 부여군의 보조금으로 제물을 준비한다. 전에는 풍물패가 마을의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제비(祭費)를 걸립했다. 제사는 보통 저녁 7시쯤에 시작된다. 마을회관에서 풍물패의 인도로 제물을 운반하여 진설하고, 유교식으로 제를 진행한다. 원래는 전해 내려오는 [축문](/topic/축문)이 있었으나 6․25전쟁 때 소실되어 새로 작성한 축문을 읽는다. 소지는 먼저 제관이 대동소지(大同燒紙)를 올리고 이어 호주소지(戶主燒紙)를 올려준다. 그런 다음 가구당 소지 한 장을 나누어 각자 자신의 소지를 올린다. 장승은 두 기밖에 없지만 실제는 오방신을 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줄](/topic/금줄)에 [오색천](/topic/오색천)을 잘라 끼운다. 제가 끝나면 제물을 조금씩 떼어내 장승 앞에 둔다. 돼지머리는 코를 떼어 놓는다. 이는 복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장승제에는 부정하지 않은 사람이면 마을 사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마을 사람들은 제가 끝나면 떡을 먹고 흥을 돋우기 위해 풍물을 치며 놀았다. 장승배기에서 여흥이 끝나면 마을회관으로 옮겨 음식을 먹고 [뒤풀이](/topic/뒤풀이)를 계속하며 시간을 보낸다.
지역사례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수척[마을](/topic/마을)의 장승제는 당산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원래는 산신제인 윗당산제와 하당산의 당산제로 지내 오던 것이었으나 장승이 썩어 넘어지면서 당산제가 끊겼다. 그러던 것이 마을에 교통사고나 비명횡사 등 여러 재앙이 생기면서 1994년 마을회의를 통해 당산제를 복원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윗당산제는 생략되고 당산제의 중심이 장승제로 옮겨[지게](/topic/지게) 되었다. 제일(祭日)은 음력 정초 3일․5일․7일 가운데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일을 가려 지낸다. 제일이 정해지면 마을 뒷산에서 적당한 밤나무를 골라 잘라 와서 천하대[장군](/topic/장군)과 지하여장군 한 쌍을 양각으로 조성한다. 높이는 170㎝, 둘레는 100㎝ 정도이다. 제물은 가제(家祭)와 대동소이하지만 돼지머리를 더 차리고 소지를 준비한다. 제사는 반드시 자시(子時)에 할아버지장승 앞에서 지내며, [분향](/topic/분향)-[헌작](/topic/헌작)-[독축](/topic/독축)-소지축원 등 순으로 치른다.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아터골의 마을회관 옆 공터인 장승배기에는 장승 2기가 서 있으며, 이곳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장승제를 지내 오고 있다. 이곳의 장승제는 6․25전쟁 때 생활이 어려워 중단된 것을 1984년 짚으로 1m 크기의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 장승을 만들어 세워 두고 제를 지내면서 부활되었다. 이후 1990년까지 허수아비 장승으로 제를 지내 오다가 1991년 마을청년회에서 현재 마을회관 옆 장승배기에 장승 두 기를 세웠다. 예전에는 제를 지내기 한 달 전쯤에 깨끗하고 부정 타지 않은 사람 가운데 생기복덕을 가려 [제관](/topic/제관)을 뽑았다. 그러나 지금은 정월에 [초헌](/topic/초헌)관, [아헌](/topic/아헌)관, [종헌](/topic/종헌)관, 축관, 집사 두 명을 선출한다. 이 가운데 초헌관․아헌관․종헌관으로 선출된 사람들은 초상집이나 부정한 곳에 [가지](/topic/가지) 않고, 사흘 정도 근신을 하며, 매일 목욕재계를 한다. 또 예전에는 장승제 당일에 마을의 샘을 깨끗이 푸고 제의가 끝나기 전에는 다른 사람들의 사용을 금했다. 물론 장승제에 소용되는 물은 반드시 이 샘물을 사용했다. 그러나 지금은 모터로 물을 뽑아 쓰고 있어 이 풍습은 사라졌다. 제물로는 삼색실과, 떡시루, 돼지머리, 메, 포, 술, 청수 등이 사용된다. 주로 부여군의 보조금으로 제물을 준비한다. 전에는 풍물패가 마을의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제비(祭費)를 걸립했다. 제사는 보통 저녁 7시쯤에 시작된다. 마을회관에서 풍물패의 인도로 제물을 운반하여 진설하고, 유교식으로 제를 진행한다. 원래는 전해 내려오는 [축문](/topic/축문)이 있었으나 6․25전쟁 때 소실되어 새로 작성한 축문을 읽는다. 소지는 먼저 제관이 대동소지(大同燒紙)를 올리고 이어 호주소지(戶主燒紙)를 올려준다. 그런 다음 가구당 소지 한 장을 나누어 각자 자신의 소지를 올린다. 장승은 두 기밖에 없지만 실제는 오방신을 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줄](/topic/금줄)에 [오색천](/topic/오색천)을 잘라 끼운다. 제가 끝나면 제물을 조금씩 떼어내 장승 앞에 둔다. 돼지머리는 코를 떼어 놓는다. 이는 복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장승제에는 부정하지 않은 사람이면 마을 사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마을 사람들은 제가 끝나면 떡을 먹고 흥을 돋우기 위해 풍물을 치며 놀았다. 장승배기에서 여흥이 끝나면 마을회관으로 옮겨 음식을 먹고 [뒤풀이](/topic/뒤풀이)를 계속하며 시간을 보낸다.
한국문화인류학회한국 무신의 계통김태곤1970
한국 무속신 고찰양종승1996
한국무속학회당진 안섬 풍어굿의 연행 내용과 의미이인화2006
엄미리 장승깎기
19714
엄미리 장승깎기
동편장승제(독축)
18836
동편장승제(독축)
장승제를 준비하는 주민
18152
장승제를 준비하는 주민
장승제 준비
18129
장승제 준비
서편의 장승제
17343
서편의 장승제
장승 세우는 모습
23538
장승 세우는 모습
장승 얼굴 그리기
17409
장승 얼굴 그리기
장승제 준비(진설)
23443
장승제 준비(진설)
송학리 장승제
23396
송학리 장승제
장승 옆에 선 주민
18101
장승 옆에 선 주민
엄미리 장승깎기
19714
엄미리 장승깎기
동편장승제(독축)
18836
동편장승제(독축)
장승제를 준비하는 주민
18152
장승제를 준비하는 주민
장승제 준비
18129
장승제 준비
서편의 장승제
17343
서편의 장승제
장승 세우는 모습
23538
장승 세우는 모습
장승 얼굴 그리기
17409
장승 얼굴 그리기
장승제 준비(진설)
23443
장승제 준비(진설)
송학리 장승제
23396
송학리 장승제
장승 옆에 선 주민
18101
장승 옆에 선 주민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