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석할망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지역에서 풍농의 신인 제석에게 올리던 [고사](/topic/고사).
definition
제주도지역에서 풍농의 신인 제석에게 올리던 [고사](/topic/고사).
mp3Cnt
0
wkorname
강권용
정의제주도지역에서 풍농의 신인 제석에게 올리던 [고사](/topic/고사).
정의제주도지역에서 풍농의 신인 제석에게 올리던 [고사](/topic/고사).
내용불교에서 불법을 지키며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수호신인 제석천(帝釋天)이 민간신앙에선 출산을 주관하는 삼불제석으로 변화되었다. 삼신은 사람의 목숨, 삶의 행복, 농사의 풍요를 관장하고 있다. 제주도지역에선 여성 신격을 상징하는 ‘할망’을 덧붙임으로써 제석할망으로 변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의 각 [마을](/topic/마을)에 제석동산이란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을에서도 모셨으며, 제의 형태도 마을공동체 제의와 개인 제의가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불교에서 파생된 풍농신으로서 제석신의 신격이 제주의 세경신과 혼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제의란 측면에서 보면 제석할망고사는 조나 [메밀](/topic/메밀)을 파종한 직후 또는 [직전](/topic/직전)에 하였다. 모두 파종한 [종자](/topic/종자)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제석’에게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밭에 따라 다르지만 밭머리에 밥과 해어(海魚), 술을 떠서 제석할망을 위해 두었다가 걷어 온다. 이때 인부들을 위해 밥과 해어 한 마리, 술 한 병을 더 준비해 갔다. 또한 마소[牛馬]로 밭을 밟을 때나 [김매기](/topic/김매기)를 할 때 밭에서 밥을 먹게 될 경우 제석할망 몫으로 먼저 밥 한 숟가락씩을 조금 떠서 밭 주위에 던지는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고[수레](/topic/수레)와 같은 것으로, 절은 하지 않는다. 다른 말로 제석할망코시, 밧리는 코(밭 밟는 고사), 밧리는 테우리코(밭 밟는 목동고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제주도의 유식 [부락제](/topic/부락제) (현용준, 석주선교수회갑기념민속학논총, 1971)
한국의 민속 (진성기, 교학사, 1980)
제주의 민속 5 (제주도, 1993)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현용준, 집문당, 2002)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4~2006)
한국의 가정신앙-제주도 (문화재연구소, 2007)
내용불교에서 불법을 지키며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수호신인 제석천(帝釋天)이 민간신앙에선 출산을 주관하는 삼불제석으로 변화되었다. 삼신은 사람의 목숨, 삶의 행복, 농사의 풍요를 관장하고 있다. 제주도지역에선 여성 신격을 상징하는 ‘할망’을 덧붙임으로써 제석할망으로 변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의 각 [마을](/topic/마을)에 제석동산이란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을에서도 모셨으며, 제의 형태도 마을공동체 제의와 개인 제의가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불교에서 파생된 풍농신으로서 제석신의 신격이 제주의 세경신과 혼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제의란 측면에서 보면 제석할망고사는 조나 [메밀](/topic/메밀)을 파종한 직후 또는 [직전](/topic/직전)에 하였다. 모두 파종한 [종자](/topic/종자)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제석’에게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밭에 따라 다르지만 밭머리에 밥과 해어(海魚), 술을 떠서 제석할망을 위해 두었다가 걷어 온다. 이때 인부들을 위해 밥과 해어 한 마리, 술 한 병을 더 준비해 갔다. 또한 마소[牛馬]로 밭을 밟을 때나 [김매기](/topic/김매기)를 할 때 밭에서 밥을 먹게 될 경우 제석할망 몫으로 먼저 밥 한 숟가락씩을 조금 떠서 밭 주위에 던지는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고[수레](/topic/수레)와 같은 것으로, 절은 하지 않는다. 다른 말로 제석할망코시, 밧리는 코(밭 밟는 고사), 밧리는 테우리코(밭 밟는 목동고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제주도의 유식 [부락제](/topic/부락제) (현용준, 석주선교수회갑기념민속학논총, 1971)
한국의 민속 (진성기, 교학사, 1980)
제주의 민속 5 (제주도, 1993)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현용준, 집문당, 2002)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4~2006)
한국의 가정신앙-제주도 (문화재연구소, 2007)
학문사한민족음악론권오성199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