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0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넋춤
    839 2023.02.27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이승에 맺힌 한을 풀고 저승에 잘 건너가기를 기원하며 추는 춤.
  • 벙거지떡
    626 2023.02.27
    서울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topic/진적)굿 때 [천장](/topic/천장)에 당(堂)을 매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 시루
    638 2023.02.27
    증기를 이용하여 [곡물](/topic/곡물)을 찌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 쌀이나 잡곡 등을 가루 내어 떡을 찌는 조리 용구이며, 증기가 곡물에 닿기 쉽도록 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기도 한다. 이는 시루가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였음을 보여준다.
  • 정학봉
    822 2023.02.27
    황해도 무형문화재 제1호 만구대탁굿 보[유자](/topic/유자).
  • 제주도 지역에서 불리는 서사무가로 사람이 이승과 저승을 왕래할 수 없게 된 내력을 밝히는 특수본풀이. 특수본풀이는 제주도 무가가 일반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조상신](/topic/조상신)본풀이로 나뉘는 것과 별도로 일부 심방에 의한 [구연](/topic/구연)과 자료집을 통해 확인되는 제주도 무가의 한 형태이다. 특수본풀이에 속하는 무가는 , , , , , , 등 모두 12개가 있다. 이들 무가는 신격이 불명확하고 제의나 제차와의 상관성이 희박한 관계로 제주도굿에서 거의 구연되지 못하고 있다. 다만 , , , 등은 서사적 내용의 분석 및 현지조사를 통해 본 결과 큰굿의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제차의 연장선상에서 불리거나 심방 개인의 신굿 등에서 구연되던 본풀이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넋칼
    779 2023.02.27
    전북 지역에서 넋을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는 종이 무구.
  • 베포도업춤
    617 2023.02.27
    제주도굿의 초감제에서 천지창조와 모든 자연·인문사상의 발생 배치를 상징하는 춤.
  • 시루떡
    639 2023.02.27
    쌀을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찐 떡으로, [가신](/topic/가신)에게 올리는 제물.
  • 정화
    709 2023.02.27
    부정한 장소나 특정한 생명체를 맑게 하는 행위를 총칭하는 개념. 외국어로 가령 purification나 lustration 등이 쓰이는 것은 이러한 각도에서 이 용어의 소종래를 규명하는 것일 수 있다. 신성한 장소에서 더러운 것을 씻어내는 행위가 정화에 해당한다. 정화는 우리 [마을](/topic/마을)신앙의 전통 속에서 유래했다고 보기 어려운 특징이 있지만 고유하게 존재하는 요소이다. 부정을 가시는 행위에서 비롯되어 부정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 허주굿
    667 2023.02.27
    장차 무당이 될 사람에게 잡힌 신들을 좌정시키어 허튼신을 베껴내는 굿.
  • 노누메기
    794 2023.02.27
    서울굿을 비롯한 해서 지역의 굿에서 구현되는 음식과 굿 비용을 나누는데 작용하는 분배의 원리.
  • 별기은
    698 2023.02.27
    무격이 왕실과 국가의 제재초복(除災招福)을 위하여 산천(山川)이나 신당(神堂)에서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벌이던 국행제(國行祭).
  • 시루말
    619 2023.02.27
    경기도 오산 지역의 도당굿 열두 거리 가운데 부정거리 다음에 행해지는 제차(祭次) 혹은 여기서 [구연](/topic/구연)되는 본풀이를 지칭하는 말.
  • 정화수
    673 2023.02.27
    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 헌관
    620 2023.02.27
    동제(洞祭)에서 [마을](/topic/마을)신령에게 술을 따라 올리는 직분을 맡은 [제관](/topic/제관). 대체로 마을의 주신(主神)인 산신(山神) 등을 유교식 제사로 모실 때 헌관을 둔다. 일반적으로 동제를 총괄하는 대표격인 제주(祭主)가 [헌작](/topic/헌작)(獻爵)도 한다. 그러나 대규모의 동제, 별신제의 상당제 등에서는 헌관을 별도로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