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에서 전승되는‘단(丹)’이라는 병을 물리치기 위한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2000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 |
---|---|
mp3Cnt | 0 |
wkorname | 황인덕 |
정의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에서 전승되는‘단(丹)’이라는 병을 물리치기 위한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2000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 | 정의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에서 전승되는‘단(丹)’이라는 병을 물리치기 위한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2000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단(丹, 또는 丹毒·風丹)은 피부병과 비슷한 증세를 보이지만 증상이 다양하고 환부의 모양도 일률적이지 않아 먼저 단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일이 필요하다. 단인지 아닌지의 판별은 미꾸라지로 한다. 미꾸라지 한 마리를 잡아다가 환부에 놓아 보아 미꾸라지가 미끄러져 떨어지면 예사 피부병이고,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으면 단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진단 방법이 어떤 원리에 의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이것을 행하는 주민들은 단이 고열을 동반하기 때문에 미꾸라지가 환부에 달라붙어 꼼짝을 못하는 것이 아닌가여기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단 단으로 진단되면 단잡기에 필요한 인원을 구성한다. 단잡기를 행하려면 당상관(堂上官)과 전령(傳令) 및 사령(使令) 한 명씩이 필요하다. 당상관이라는 명칭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기보다 권위 있는 관원을 상징하는 용어라고 여겨지며, 전령과 사령은 당상관의 명령을 전하고 수행하는 직임을 뜻한다. 이들 역할은 모두 남성만이 하며, 전령이나 사령은 아무나 할 수 있지만 당상관은 대개 [마을](/topic/마을)에서 단잡기 경험이 많은 사람이 맡는다. 또한 당상관은 무당처럼 전문적인 사제가 아니라 해도 예사 인물에 비하여 주술 능력이 있는 인물이라고 여겨지며, 이에 따라 일시적인 사제역할을 하는 셈이다. 단은 병세가 빠르게 악화되는 악질이기 때문에 당상관이 정해지면 그는 곧 단잡기 준비에 착수한다. 속전에 따르면 단잡기가 시작되기만 해도 환자의 병세가 어느 정도 호전되기도 한다고 한다. 이는 병귀(病鬼)가 겁을 먹고 위축된다는 뜻으로 여겨진다. 당상관이 서둘러 할 일은 ① 산에 가서 동도지(東桃枝) 세 줄기를 꺾어 오게 하며 ② 각성바지 다섯 집을 돌면서 [오곡](/topic/오곡)(五穀)을 걸립해다 밥을 짓게 하고 ③마을 사람들에게 단기(丹旗)를 만들게 하는 것 등이다. 오곡 걸립은 대개 환자의 가족 한 사람이 하게 되며, 바[가지](/topic/가지)나 자루를 가지고 각성 다섯 집 이상을 방문하여 한 집에서 한 가지 곡식만을받는 방식으로 한다. 걸립을 할 때에는 마을의 풍물패가 앞장서서 돕기도 한다. 이때 마을 주민들이 구경삼아 뒤따라 다니기도 한다. 그러나 농사일로 바쁘거나 하여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혼자서 다니기도 한다. 걸립한 오곡은 한되 남짓으로 적은 편이며, 밥을 지으면 세 사발 정도가 된다. 단기는 먼저 시누대 열두 개를 베어다가 두어 자 길이로자른 뒤 [한지](/topic/한지)를 오려 열두 종류의 단 이름을 주사(朱砂)글씨(먹글씨로 대신하기도 함)로 써서 대나무에 풀로 붙여 완성한다. 열두 개의 단기가 완성되면 이것을 환자의 집 [굴뚝](/topic/굴뚝)쪽에 일렬로 세워 둔다. 단기를 이곳에 세워 두는 이유가 무엇인지 확실히 알기는 어렵지만 굴뚝 부근이 집안의 제액(除厄)을 위한 적합한 장소라는 의미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오곡밥이 지어지고 단기가 완성되면 당상관은 단귀신을 잡아 가둘 작은 항아리(한 번 쓰고 버려도 좋을 오줌동이로 대신하기도 함)를 [부엌](/topic/부엌) 바닥에 엎어 놓는다. 이때 전령과 사령은 부엌문 밖에서 당상관의 명령에 대기하고 있으며, 구경삼아 몰려온 주민들도 이를 지켜본다. 단잡기를 하기 위하여 당상관·전령·사령들이 환자의 집에 들어오면 환자와 그 가족들은 일절 방 밖으로 나오지 못하며, 단잡기 주술에 동참하지도 않고 주술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날이 어두워지기 전에 모든 준비를 마치면 술시(戌時, 저녁 7~9시)쯤에 본격적으로 단잡기가 시작된다. 이는 귀신이 발호하기 시작하는 때에 맞추기 위한것이라 하며, 실제로단 환자는 이 무렵에 통증을 더 심하게 느낀다고 한다. 당상관은 오곡밥을 지은 밥솥 뚜껑을 비스듬히 열어 젖혀 놓고 주걱을 밥 위에 꽂은 다음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에 걸터앉는다. 그러고는 동도지 회초리로 솥뚜껑을 때리면서 “여봐라, 사령!” 하고 소리를 지른다. 그러면 사령이 “예, 이~” 하고 길게 대답하고, 이때 주위 사람들도 일제히 대답을 복창한다.소리가 인근 세 곳 마을까지 들려야 좋다고 여겨 주위 사람들도 되도록 큰소리로 복창한다. 이어 당상관이 “풍단을 잡아들여라”라고 명령을 내리면 전령이 이 말을 다시 사령에게 복창한다. 그러면 사령과 주위 사람들이 다시 일제히 “예, 이~”를 복창하며, 풍물패의 호위 속에 사령은 굴뚝 옆으로 가서 풍단기를 가져와 당상관에게 바친다. 풍단기를 받은 당상관은 위엄 있는 목소리로 대략 다음과 같은 주문으로 단귀에게 엄하게 명령을 한다. 너 이놈 풍단아! 듣거라. ○씨댁 건명대주(또는 곤명대주) ○○생에게 침범한 단은 이 오곡밥을 거룩하게 먹고, 네가 모조리 거두어 가지고 한시바삐 당나라로 속거천리(速去千里)하라. 만일 그렇지 않으면 [장도](/topic/장도)칼로 목을 베어 한강에 처넣으리라. 어명이다! 이 주문은 꼭 고정된 문구가 아니며, “너는 이 세상에 나와서 활인적덕(活人積德)은 못할망정 만물의 영장인 사람을 괴롭힌단 말이냐!”는 등으로 당상관직을 맡은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 “어명이다”라는 말이 끝나면 주위 모든 사람이 다시 한 번 “어명이다”를 복창한다. 그런 뒤에 당상관은 오곡밥 한 덩이를 주먹밥으로 뭉쳐 단기 기폭에 싼 다음 엎어 놓은 항아리(또는 오줌단지) 밑에 넣고 항아리를 도로 엎어 놓는다. 이때 기(旗)는 곧 신체(神體, 鬼體)가 되는 셈이다. 두 번째로 청단(靑丹)을 이와 똑같은 방법으로 불러와서 위협하여 단지에다 넣는다. 이어 황단(黃丹), 홍단(紅丹), 팥단, 태단(太丹), 띠단, [녹두](/topic/녹두)단, 토단(土丹), [메밀](/topic/메밀)단, 백단(白丹), 두목 광솔단(廣率丹)의 순서로 잡아다 매질하며 위협하고서 주먹밥을 먹여 항아리에 잡아넣는다. 광솔단은 단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상징적인 뜻을 지닌다. 광솔단을 잡아넣은것은 단잡기가 마[무리](/topic/무리)되었음을 의미한다. 항아리에 열두 단을 다 잡아들였으면 재빨리 뚜껑을 닫고 미리 준비한 왼새끼로 항아리를 이리저리 꽁꽁 묶는다. 다 묶은 항아리를 사령들이 장대 중간에 다시 묶어 어깨에 메고서 마을 밖 손 없는 방향의 세 갈래 지점으로 가 흙을 파고 소금을 뿌리면서 땅에 묻는다. 소금을 뿌린 뒤에는 항아리 위에 나무를 쌓아 놓고서 불을 피운다. 소금을 뿌리고 불을 피우는 것은 귀신을 완전히 제압하고 퇴치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여긴다. 이로써 단잡기가 모두 끝나면 당상관 이하 주술에 동참한 사람들은 환자 집으로 모두 가서 비록 적은 양이지만 남은 오곡밥을 조금씩 나누어 먹은 뒤 [마당](/topic/마당)에서 풍물을 치며 한바탕 논다. 당상관은 환자에게 “인심이 후덕하고 선대 은덕이 많아 병마를 무사히 물리치고 잘 완쾌되었구먼”하고 [덕담](/topic/덕담)을 해 주며 안심시킨다. 이로써 단잡기의 모든 절차가끝난다. 병세가 심하지 않으면 한 번만으로도 나을 수 있지만 한두 번만으로 다 나았다고 여겼다가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단잡기를 대개 세 번 반복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단은 거의 나을 수 있다고 주민들은 믿고 있다. 단잡기를 세 번 거듭할 경우 대개 오곡, 단기, 동도지 등 필요한 제구(祭具)를 세 벌씩 준비해 둔다. 이전에 항아리를 구하기가 어렵던 때에는 첫째와 둘째 날은 주먹밥[丹鬼]만을 항아리에서 쏟아 땅에 묻고, 마지막 날에만 항아리째 땅에 묻기도 했다. 또한 동도지를 구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처음 쓴 것을 부엌 한 구석에 세워 두었다가 거듭 이용하기도 했다. | 참고문헌 | 부여의 민간신앙 (부여문화원, 2001) 부여내지리단잡기 (임동권, 부여문화원, 2008) 은산면 내지리 이규찬 면담 (2010년 6월20일) | 내용 | 단(丹, 또는 丹毒·風丹)은 피부병과 비슷한 증세를 보이지만 증상이 다양하고 환부의 모양도 일률적이지 않아 먼저 단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일이 필요하다. 단인지 아닌지의 판별은 미꾸라지로 한다. 미꾸라지 한 마리를 잡아다가 환부에 놓아 보아 미꾸라지가 미끄러져 떨어지면 예사 피부병이고,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으면 단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진단 방법이 어떤 원리에 의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이것을 행하는 주민들은 단이 고열을 동반하기 때문에 미꾸라지가 환부에 달라붙어 꼼짝을 못하는 것이 아닌가여기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단 단으로 진단되면 단잡기에 필요한 인원을 구성한다. 단잡기를 행하려면 당상관(堂上官)과 전령(傳令) 및 사령(使令) 한 명씩이 필요하다. 당상관이라는 명칭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기보다 권위 있는 관원을 상징하는 용어라고 여겨지며, 전령과 사령은 당상관의 명령을 전하고 수행하는 직임을 뜻한다. 이들 역할은 모두 남성만이 하며, 전령이나 사령은 아무나 할 수 있지만 당상관은 대개 [마을](/topic/마을)에서 단잡기 경험이 많은 사람이 맡는다. 또한 당상관은 무당처럼 전문적인 사제가 아니라 해도 예사 인물에 비하여 주술 능력이 있는 인물이라고 여겨지며, 이에 따라 일시적인 사제역할을 하는 셈이다. 단은 병세가 빠르게 악화되는 악질이기 때문에 당상관이 정해지면 그는 곧 단잡기 준비에 착수한다. 속전에 따르면 단잡기가 시작되기만 해도 환자의 병세가 어느 정도 호전되기도 한다고 한다. 이는 병귀(病鬼)가 겁을 먹고 위축된다는 뜻으로 여겨진다. 당상관이 서둘러 할 일은 ① 산에 가서 동도지(東桃枝) 세 줄기를 꺾어 오게 하며 ② 각성바지 다섯 집을 돌면서 [오곡](/topic/오곡)(五穀)을 걸립해다 밥을 짓게 하고 ③마을 사람들에게 단기(丹旗)를 만들게 하는 것 등이다. 오곡 걸립은 대개 환자의 가족 한 사람이 하게 되며, 바[가지](/topic/가지)나 자루를 가지고 각성 다섯 집 이상을 방문하여 한 집에서 한 가지 곡식만을받는 방식으로 한다. 걸립을 할 때에는 마을의 풍물패가 앞장서서 돕기도 한다. 이때 마을 주민들이 구경삼아 뒤따라 다니기도 한다. 그러나 농사일로 바쁘거나 하여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혼자서 다니기도 한다. 걸립한 오곡은 한되 남짓으로 적은 편이며, 밥을 지으면 세 사발 정도가 된다. 단기는 먼저 시누대 열두 개를 베어다가 두어 자 길이로자른 뒤 [한지](/topic/한지)를 오려 열두 종류의 단 이름을 주사(朱砂)글씨(먹글씨로 대신하기도 함)로 써서 대나무에 풀로 붙여 완성한다. 열두 개의 단기가 완성되면 이것을 환자의 집 [굴뚝](/topic/굴뚝)쪽에 일렬로 세워 둔다. 단기를 이곳에 세워 두는 이유가 무엇인지 확실히 알기는 어렵지만 굴뚝 부근이 집안의 제액(除厄)을 위한 적합한 장소라는 의미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오곡밥이 지어지고 단기가 완성되면 당상관은 단귀신을 잡아 가둘 작은 항아리(한 번 쓰고 버려도 좋을 오줌동이로 대신하기도 함)를 [부엌](/topic/부엌) 바닥에 엎어 놓는다. 이때 전령과 사령은 부엌문 밖에서 당상관의 명령에 대기하고 있으며, 구경삼아 몰려온 주민들도 이를 지켜본다. 단잡기를 하기 위하여 당상관·전령·사령들이 환자의 집에 들어오면 환자와 그 가족들은 일절 방 밖으로 나오지 못하며, 단잡기 주술에 동참하지도 않고 주술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날이 어두워지기 전에 모든 준비를 마치면 술시(戌時, 저녁 7~9시)쯤에 본격적으로 단잡기가 시작된다. 이는 귀신이 발호하기 시작하는 때에 맞추기 위한것이라 하며, 실제로단 환자는 이 무렵에 통증을 더 심하게 느낀다고 한다. 당상관은 오곡밥을 지은 밥솥 뚜껑을 비스듬히 열어 젖혀 놓고 주걱을 밥 위에 꽂은 다음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에 걸터앉는다. 그러고는 동도지 회초리로 솥뚜껑을 때리면서 “여봐라, 사령!” 하고 소리를 지른다. 그러면 사령이 “예, 이~” 하고 길게 대답하고, 이때 주위 사람들도 일제히 대답을 복창한다.소리가 인근 세 곳 마을까지 들려야 좋다고 여겨 주위 사람들도 되도록 큰소리로 복창한다. 이어 당상관이 “풍단을 잡아들여라”라고 명령을 내리면 전령이 이 말을 다시 사령에게 복창한다. 그러면 사령과 주위 사람들이 다시 일제히 “예, 이~”를 복창하며, 풍물패의 호위 속에 사령은 굴뚝 옆으로 가서 풍단기를 가져와 당상관에게 바친다. 풍단기를 받은 당상관은 위엄 있는 목소리로 대략 다음과 같은 주문으로 단귀에게 엄하게 명령을 한다. 너 이놈 풍단아! 듣거라. ○씨댁 건명대주(또는 곤명대주) ○○생에게 침범한 단은 이 오곡밥을 거룩하게 먹고, 네가 모조리 거두어 가지고 한시바삐 당나라로 속거천리(速去千里)하라. 만일 그렇지 않으면 [장도](/topic/장도)칼로 목을 베어 한강에 처넣으리라. 어명이다! 이 주문은 꼭 고정된 문구가 아니며, “너는 이 세상에 나와서 활인적덕(活人積德)은 못할망정 만물의 영장인 사람을 괴롭힌단 말이냐!”는 등으로 당상관직을 맡은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 “어명이다”라는 말이 끝나면 주위 모든 사람이 다시 한 번 “어명이다”를 복창한다. 그런 뒤에 당상관은 오곡밥 한 덩이를 주먹밥으로 뭉쳐 단기 기폭에 싼 다음 엎어 놓은 항아리(또는 오줌단지) 밑에 넣고 항아리를 도로 엎어 놓는다. 이때 기(旗)는 곧 신체(神體, 鬼體)가 되는 셈이다. 두 번째로 청단(靑丹)을 이와 똑같은 방법으로 불러와서 위협하여 단지에다 넣는다. 이어 황단(黃丹), 홍단(紅丹), 팥단, 태단(太丹), 띠단, [녹두](/topic/녹두)단, 토단(土丹), [메밀](/topic/메밀)단, 백단(白丹), 두목 광솔단(廣率丹)의 순서로 잡아다 매질하며 위협하고서 주먹밥을 먹여 항아리에 잡아넣는다. 광솔단은 단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상징적인 뜻을 지닌다. 광솔단을 잡아넣은것은 단잡기가 마[무리](/topic/무리)되었음을 의미한다. 항아리에 열두 단을 다 잡아들였으면 재빨리 뚜껑을 닫고 미리 준비한 왼새끼로 항아리를 이리저리 꽁꽁 묶는다. 다 묶은 항아리를 사령들이 장대 중간에 다시 묶어 어깨에 메고서 마을 밖 손 없는 방향의 세 갈래 지점으로 가 흙을 파고 소금을 뿌리면서 땅에 묻는다. 소금을 뿌린 뒤에는 항아리 위에 나무를 쌓아 놓고서 불을 피운다. 소금을 뿌리고 불을 피우는 것은 귀신을 완전히 제압하고 퇴치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여긴다. 이로써 단잡기가 모두 끝나면 당상관 이하 주술에 동참한 사람들은 환자 집으로 모두 가서 비록 적은 양이지만 남은 오곡밥을 조금씩 나누어 먹은 뒤 [마당](/topic/마당)에서 풍물을 치며 한바탕 논다. 당상관은 환자에게 “인심이 후덕하고 선대 은덕이 많아 병마를 무사히 물리치고 잘 완쾌되었구먼”하고 [덕담](/topic/덕담)을 해 주며 안심시킨다. 이로써 단잡기의 모든 절차가끝난다. 병세가 심하지 않으면 한 번만으로도 나을 수 있지만 한두 번만으로 다 나았다고 여겼다가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단잡기를 대개 세 번 반복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단은 거의 나을 수 있다고 주민들은 믿고 있다. 단잡기를 세 번 거듭할 경우 대개 오곡, 단기, 동도지 등 필요한 제구(祭具)를 세 벌씩 준비해 둔다. 이전에 항아리를 구하기가 어렵던 때에는 첫째와 둘째 날은 주먹밥[丹鬼]만을 항아리에서 쏟아 땅에 묻고, 마지막 날에만 항아리째 땅에 묻기도 했다. 또한 동도지를 구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처음 쓴 것을 부엌 한 구석에 세워 두었다가 거듭 이용하기도 했다. | 참고문헌 | 부여의 민간신앙 (부여문화원, 2001) 부여내지리단잡기 (임동권, 부여문화원, 2008) 은산면 내지리 이규찬 면담 (2010년 6월20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