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다리

한국무속신앙사전
동다리
전복 밑에 입던 조선시대 군복으로 주로 별성거리나 신장거리에 착용.
definition
전복 밑에 입던 조선시대 군복으로 주로 별성거리나 신장거리에 착용.
mp3Cnt
0
wkorname
김혜경
정의전복 밑에 입던 조선시대 군복으로 주로 별성거리나 신장거리에 착용.
내용[동다리](/topic/동다리)는 소[매통](/topic/매통)이 좁은 구군포의 총칭으로, 협수(夾袖)의 한 종류이다. 여러 종류의 협수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은 것이 동달이였으므로 협수가 곧 동달이라고 할 수 있다. 섭수(夾袖)라고도 하는데 ‘섭수’라는 명칭은 다른 옷에 비해 소매가 좁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고, ‘동다리’란 명칭은 소매를 길(흑이나 청색)과 다른 홍색으로 덧댄 것에서 붙여진 형태에서 연유하였다.

형태는 지금의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와 비슷하지만 뒷길의 중심선과 무 양옆이 트인 것과 트이지 않은 것이 있다. 소매 부분이 길(몸판)의 색과 다른 것이 특징이며, 홑 동다리와 겹 동다리가 있다. 깃은 곧고 소매는 좁다. 색깔은 보통 길은 붉은빛이 도는 황색이고, 소매는 적색이다. 검은색 길에 소매의 색깔은 끝동 부분만 적색인 것, 소매 끝에서 팔꿈치까지 적색인 것, 소매 끝에서 진동선까지 소매 전체가 적색인 것의 세 [가지](/topic/가지)가 있다. 동다리는 [바지](/topic/바지)와 [저고리](/topic/저고리)에 [등거리](/topic/등거리)를 입은 다음에 걸치며 전복을 덧입었다.

동다리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는 숙종 때 만든『숭정전진연도(崇政殿進宴圖)』이며, 유물은 조선 후기의 것으로 겹•홑 2가지가 있다. 동다리의 색을 능행도(行圖)에서 살펴보면 주황색, 녹색, 남색, 자주색, 흑색, 분홍색 등이 있다. 끝동 부분만 홍색인 것, 소맷부리에서 팔꿈치까지 홍색인 것, 소맷부리에서 진동선까지 홍색인 것 세 가지 이다. 동달이는 계급에 따라 구분하여 관직이 높은 사람일수록 더욱 고급스런 천으로 하였다. 정조 때부터 길고 넓은 소매를 간소화하면서 [철릭](/topic/철릭)과 함께 통용되었다.

무당들이 착용하는 동다리는 전통복과 비슷하지만 배색을 다르게 하였다. 동다리가 언제부터 [무복](/topic/무복)의 하나로 착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巫黨來歷)』에 나타난 별성거리에서 무당은 머리에 [전립](/topic/전립)(氈笠)을 쓰고 홍색 소매가 달린 동다리를 입고 있으며 그 위에 흑색 전복을 착용하고 가슴에 청색 대를 두르고 있다. 동다리 안에는 백색 속바지 위에 황색 저고리, 녹색 [치마](/topic/치마)를 입고 가슴에 백색 대를 둘러 늘어뜨렸다. 신장거리 무복으로는 전립에 [구군복](/topic/구군복)을 착용하고 오방기를 든다.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赤松智城, 秋葉隆)에는 남색 치마에 구군복을 착용하였다. 현대의 무당들도 전립을 쓰고 남색이나 연두색 동다리와 [쾌자](/topic/쾌자)를 착용한다. 깃은 [직령](/topic/직령)교임으로 되어 있고, 트임이 없으며 무가 달렸다. 무당이 집굿의 손굿에서는 동다리를 입고 흑립(黑笠)이나 맨머리로 굿을 한다. 무당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주로 별상거리나 신장거리에 입는다. 조상거리, 대감거리, 칠성거리에 입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수원지방무의식, 1983)
한국 무속복식의 역할에 관한 논의, 민속과종교 (소황옥, 민속원, 2003)
한국의 [무복](/topic/무복) (김은정, 민속원, 2004)
동다리
64844
동다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