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속신앙사전
넋
호남 지역 무속의례에서 망자의 영혼을 상징화한 종이 무구. 망자의 신체로 상징되어 의례 시에는 망자와 동일시되는 무구이다. 망자천도굿인 씻김굿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작된다.
definition
호남 지역 무속의례에서 망자의 영혼을 상징화한 종이 무구. 망자의 신체로 상징되어 의례 시에는 망자와 동일시되는 무구이다. 망자천도굿인 씻김굿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작된다.
mp3Cnt
0
wkorname
최진아
정의호남 지역 무속의례에서 망자의 영혼을 상징화한 종이 무구. 망자의 신체로 상징되어 의례 시에는 망자와 동일시되는 무구이다. 망자천도굿인 씻김굿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작된다.
내용호남 지역에서 영혼의 상징물은 육체에 비해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 종류로는 넋, [혼백](/topic/혼백), [속연](/topic/속연), 지방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넋과 혼백 그리고 속연은 동일개념이며, 지방은 영혼 보다 상위의 개념으로 분석된다. 전남 지역에서는 넋과 신위가, 전북 지역에서는 넋, 혼백(혹은 넋전), 속연(혹은 넋발)으로 구체화된다. 전북 지역의 넋(혹은 혼백)은 신위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장엄구인 신위와 달리 의례구로 사용되는 차이점을 지닌다. 혼백(혹은 넋전)은 사람의 모습과 동일하게 오려지며 그 몸에 위명을 필사한다는 점에서, 넋과 지방이 결합된 기능을 지닌다. 속연(혹은 넋발)은 전남 지역의 ‘넋’과 가장 유사한 기능을 한다. 특히 종이의 매수로 남녀를 구분하는 것은 전남의 넋과 같은 맥락으로, 영혼의 성별을 구분한 또 다른 사례라 볼 수 있다. 넋발은 혼백과 결합되어, 추상적인 형태를 보다 구체화하는 기능을 한다.

호남 지역에서 넋은 의례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끄는 매개물로 작용한다. 의례에 지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쌀을 쌓아올린 상 위나, 제물상 위, 혹은 굿청 벽면에 장식되거나, [넋당석](/topic/넋당석) 안에 담아둔다. 의례에서는 혼맞이(객사한 영혼의 혼을 맞아오는 의례를 할 경우), 넋올리기(전북의 연올리기), 희설, 씻김, 길닦음에 주로 사용된다.

혼맞이에서는 유족들의 머리 위에 이것을 올려놓고, 신칼이나 지전에 따라 올라오면 신칼 위에 올려놓은 채로 굿청으로 가져온다. 이것은 망자를 의례 장소로 모셔오는 기능을 한다. 넋올리기 혹은 연올리기에서 넋은 가족과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매개물로 기능한다. 넋 혹은 속연을 유족들의 머리 위에 올려놓고 신칼이나 지전 혹은 [겉연](/topic/겉연)에 따라 올라오면 망자가 의례에 만족하여, 이승을 떠날 준비가 된 것으로 믿는다. 희설에서 당골은 넋이 마치 망자라도 된 듯이 양손에 받쳐 들고 의례를 진행한다. 씻김에서 넋은 넋그릇 안에 담겨지는데, 전북에서는 신위 형태의 넋(혹은 혼백)이외에 속연(혹은 혼백이 붙여진 넋발)도 함께 담겨진다. 넋이 담긴 넋그릇은 [영돈](/topic/영돈) 위에 올리거나 혹은 그 안에 넣는다. 이때 영돈이 망자의 육체를 상징한다면, 넋은 그 영혼을 상징한다. 씻김에서는 쑥물•향물•맑은물을 각각 빗자루나 [무명](/topic/무명)천에 묻혀 영돈에 묻힌 뒤에 수건으로 닦는 과정을 반복한 뒤에 넋그릇을 씻기는데, 이는 육신인 영돈을 씻긴 뒤에 영혼인 넋을 씻기는 것으로 상징된다. 길닦음에서는 질베 위에 놓여진 넋당석이나 용선에 담겨져 망자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넋은 반드시 소각되어야 망자가 저승으로 온전히 갈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넋은 육체와 따로 존재하는 대상으로서 무속에서 다뤄진다. 씻김굿에서 넋은 망자의 혼이 깃들어 있는 대상으로 존재하며 영혼의 상징물인 종이로 만들어진 넋은 천도의례가 진행되는 내내 죽은 망자 혹은 조상으로 상징된다. 무속에서는 망자도 [조상신](/topic/조상신)의 반열에 오르면, 신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넋 또한 신체(神體)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옛무덤의 사회사 (장철수, 웅진출판사, 1995)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넋당석](/topic/넋당석) 연구 (최진아, 한국무속학 8, 한국무속학회,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충청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호남 지역 종이무구의 변화상 및 상징성 고찰 (최진아, 한국무속학 14, 한국무속학회, 2007)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Neok is a shamanic prop made of white paper that symbolizes the soul of the dead, which is the literal meaning of the term.

In Jeolla provinces, this prop is also called neokjeon, honbaek, sokyeon, or neokbal. It is made of white mulberry paper, in various shapes including one that resembles the human body; in the form of a puffed-up bundle of paper; or strips of paper containing the name of the dead. The ones in the form of human bodies are gender specific, the male with a traditional man’s coat and horsehair hat, the female with a traditional shirt and skirt and an impression of long hair.

Throughout the ritual, neok represents the soul of the dead, hung on the wall of the ritual venue or on the folding screen, or placed atop a pile of clothing that belonged to the dead or his ancestors. In the soulgreeting process called honmaji, this prop is considered the subject that greets the soul of the deceased: It is placed on the heads of the surviving family and if the shaman succeeds at lifting it with her divine knife (sinkal) or paper money (jijeon), the paper prop is taken straight into the ritual venue, which in effect is the procedure of chaperoning the dead to the site of the ritual.

Neokolligi, or soul-lifting, is in procedure similar to soul-greeting, but in this case, if the prop is lifted by the knife or paper money, it is concluded that the deceased is satisfied with the ritual and is now ready to leave this world. So here, neok symbolizes the parting between the dead and his or her family.

In the cleansing process ssitgim, the prop is placed inside a vessel (neokgeureut) and placed next to yeongdon, a prop that symbolizes the body of the dead. And in the path-cleansing procedure jildakkeum, the prop is placed upon another prop, called jilbe, which symbolizes the path or the bridge between this world and the underworld; or hung on dangseok, a paper prop intended as a carriage for the dead; or placed inside the sacred basket to be carried to the underworld. Neok is burned when the path-cleansing is complete.

To conclude, while the soul may be invisible in Korean shamanism, it is expressed as a concrete entity through props like neok and ritual procedures that feature them.
将巫俗中亡者灵魂象征化,用纸张制成的一种[巫祭](/topic/巫祭)用具。

在全罗道地区,灵魂又被称为“neokjeon”,“魂魄”,“内缘”及“neokbal”等。“灵魂”原本是与人的魂,魂灵,魂魄及灵魂相同的意思,但象征上述词语的巫祭用具也被称为“灵魂”或“neokjeon”。招魂纸人由韩纸制成,有的模仿人形,有的是将纸张聚拢形成的形态,还有的则是将纸剪成一定形状后在上面写上亡者的名字。通常分为男性和女性,男性穿着长袍,带着斗笠;女性则穿着裙子和上衣,头上绘有头发。

招魂纸人在巫术全过程中象征亡者的灵魂。招魂纸人通常挂在巫祭场的墙面或屏风上,也会被置于亡者或[祖先](/topic/祖先)的衣服上。此招魂纸人在“招魂”中被视为招来亡者灵魂的对象。招魂时将招魂纸人置于遗属头上,当用[神刀](/topic/神刀)或纸钱提起时,就在招魂纸人位于神刀上的状态下拿到巫祭场。这便充当了将亡者陪至仪礼场所的功能。“送魂”虽与招魂十分相似,但人们相信若纸人能随神刀或纸钱提起,则表示亡者对仪礼满意,做好了离开阳间的准备。此时的招魂纸人则象征着亡者与遗属的离别。同时,在“洗冤”时,纸人被装在纸人碗中,与灵敦( 象征亡者灵魂的巫祭用具) 共同立起。在修转生路中,纸人被置于转生布( 象征连接阳间与阴间的路或桥) 上或挂于幢石上。装在神筐中的招魂纸人则意味着亡者去往阴间。此纸人会在进行完修转生路后烧掉。

在巫俗中,灵魂虽然是无法用肉眼看见的抽象对象,但在巫俗中可通过招魂纸人和neokjeon 等巫祭用具及招魂等巫祭祭程被表现为具体的对象。
Neok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accesorio hecho de papel blanco que simboliza el alma del muerto.

En la provincia de Jeolla-do, el neok se llama también como neokjeon, honbaek, sokyeon o neokbal. Como se indica el significado literal del término, el neok se refiere al espíritu o alma de los fallecidos, pero este término se utiliza también para indicar al accesorio chamánico que simboliza el alma o espíritu de los muertos. Dicho accesorio es de papel blanco de morera, en varias formas incluyendo la forma de cuerpo humano; la forma de un abultado fajo de papel; o la forma de tira de papel que contiene el nombre del muerto. Los neok en la forma de cuerpo humano son específicos según los géneros, entonces la figura masculina de papel que lleva un abrigo tradicional para los hombres y un sombrero de crin, mientras la femenina lleva una camisa y falda tradicional y un pelo largo.

Durante todos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el neok representa el alma del muerto, colgado en la pared del sito donde tiene lugar el ritual; en el biombo; o colgado encima de una pila de ropa que pertenece al difunto o a sus ancestros. En el proceso de atender al espíritu llamado honmaji, el neok se considera como un objeto que saluda al espíritu del fallecido: se pone un accesorio chamánico sobre la cabeza de cada miembro familiar del muerto, y si el chamán logra mantenerlo con su navaja divina llamada sinkal o papel moneda que se llama jijeon, el neok será llevado directamente al lugar donde se efectúa el ritual, lo que de hecho es el procedimiento de acompañar al espíritu del fallecido al sitio del ritual.

El neokollgi es un procedimiento similar al honmaji, pero en este caso, si el neok se mantiene levantado por la navaja o papel moneda, se concluye que el difunto se siente satisfecho con el ritual y está listo ya para dejar este mundo. Entonces, el neok simboliza la partida entre el muerto y su familia. En el procedimiento de limpieza, el accesorio se coloca en el interior de un recipiente llamado neokgeureut y se sitúa al lado de un yeongdon, accesorio chamánico que simboliza el cuerpo del muerto. Asimismo, durante la realización del procedimiento de limpieza del sendero que se denomina jildakkeum, el neok se mantiene puesto sobre el otro accesorio llamado jilbe que simboliza un sendero o puente entre el mundo de los vivos y el submundo; o se cuelga en dangseok, un accesorio de papel diseñado como un carruaje para el muerto; o permanece en el interior de la cesta sagrada para ser transportado al inframundo. El neok se quema tras la finalización del citado procedimiento.

Para concluir, aunque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coreano, las almas pueden ser invisibles, se expresan como una entidad concreta mediante los accesorios chamánicos como neok y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en los que se les dan características específicas.
형태넋은 흰색의 [한지](/topic/한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호남 지역에서 넋은 넋전, [혼백](/topic/혼백), [속연](/topic/속연), 넋발 등의 이칭으로 불린다. 그 형태가 다양하기도 하지만 제작자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 하기도 한다. 넋은 성(性)을 구분하지 않고 중성적인 모습으로 구체화하거나, 혹은 남•여를 구분하기도 한다. 넋은 외형에 따라, 사람의 모양을 본떠 만든 형태, 종이를 풍성하게 뭉쳐 놓은 형태, 일정하게 자른 종이에 망자의 이름만을 필사해 놓은 형태, 이 세[가지](/topic/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형태는 사람모양의 넋으로 망자의 성을 구분해서 다른 모습으로 오리거나, 중성적인 모습으로 오리는 등 그 형태가 다양하다. 이것은 넋•넋전•혼백이라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전남 지역에서는 넋이, 전북 지역에서는 넋전과 혼백이 의례에 사용된다. 전남 지역의 넋은 종이의 한가운데에 사람의 형상을 오리고, 그 주변부는 마치 액자틀을 형상화하듯이 직사각형 틀 주변부에 사선으로 가위질을 넣으며 일부는 종이를 길게 늘어뜨려 장식효과를 낸다. 넋은 머리에 [고깔](/topic/고깔)을 쓰고 [장삼](/topic/장삼)을 입은 모습, 혹은 [도포](/topic/도포)에 갓을 쓴 모습으로 오린다. 남녀를 구분할 때는 여성의 넋은 [치마](/topic/치마)•[저고리](/topic/저고리)에 쪽을 지거나 혹은 [파마머리](/topic/파마머리) 모습으로 오려 남자망자와 구분한다. 전남 지역의 넋은 사람의 형상과 거의 흡사하게 구체화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길이는 30~50㎝ 내외이며, 폭은 10~15㎝ 내외이다. 직사각형 틀 안에 오려지는데, 넋의 길이는 15~20㎝ 내외이며 폭은 5~10㎝ 내외이다.

전북 지역의 넋전과 혼백은 사람 형상과 유사하지만 전남 지역에 비해 섬세한 형태는 아니다. 넋전은 몸통에 “故 ○○○씨 부군 신위”와 같은 망자의 위명을 필사하며, 그 크기는 15㎝~60㎝로 다양하다. 혼백은 속연과 함께 구성되기도 한다.

두 번째 형태는 전북 지역에 주로 나타나며, 속연•속대•넋발이라는 다양한 명칭을 지닌다. 이것은 종이를 일정하게 가위질을 하여 풍성하게 만들어 놓은 모습이며, 영혼을 추상적으로 가시화한 것이다. 남녀를 구분할 때는 남자는 7장, 여자는 9장을 겹쳐서 만들며, 그렇지 않을 때는 6~9장으로 동일하게 만든다. 넋발은 그 자체에 발모양이 오려지는데 그러한 맥락에서 그 자체도 사람의 형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속연에 혼백을 덧붙인다.

세 번째 형태 또한 전북 지역에 주로 나타나며, 제작자에 따라 호칭이 넋 혹은 혼백으로 달리 불린다. 직사각형의 종이에 망자의 위명을 필사한 것으로, 신위와 형태는 거의 유사하지만, 신위는 별개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그 기능상의 차이가 있다. 그 길이는 20㎝ 내외이며, 폭은 10㎝ 내외이다.

6489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