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0
무속제의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전승되어 오는 별신제. 이 별신제는 1966년 2월 15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
1019
용어
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
1018
신체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오미[마을](/topic/마을)에 있는 세 기의 석장승. 2002년 3월 15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2호’로 지정되었다.
-
1017
용어
질병을 치료하는 무당. 무의(巫醫)라고도 한다.
-
1016
무구
건강을 유지하거나 질병을 물리치기 위한 굿에서 사용되는 가면. 건강을 지켜주는 보호 세력을 불러낸다는 가면, 질병의 원흉인 악귀들을 쫓아낼 수 있는 능력을 준다고 믿는 가면, 우리의 [병굿](/topic/병굿)에서 사용되는 가면들이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
1015
무구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의원탈이라고도 부른다. 탈굿 속에서 의원 역할을 맡은 화랭이가 쓴다. 탈굿에서 [영감](/topic/영감)이 쓰러진 후 등장하여 영감을 소생시키려 하지만, 실패하는 의원을 형상화하는 기능을 한다.
-
1014
무속신화
제주도의 큰굿에서 초공맞이 다음 제차인 이공맞이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서사무가. [불도맞이](/topic/불도맞이)에서도 불린다. 같은 계열의 서사무가로 평안도의 와 경남 김해의 가 있다. 또한 『월인석보(月印釋譜)』의 , 고전소설 , 기림사사찰연기설화인 과도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불화(佛畵)로는 의 내용을 서사 전개에 따라 그린 이 있다.
-
1013
무속인명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의 예능보[유자](/topic/유자).
-
1012
무속인명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은산별신제 보[유자](/topic/유자)(무녀).
-
1011
무속인명
평안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성황대제 보[유자](/topic/유자).
-
1010
제의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지석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제사. 마을에서는 일반적으로 정개산산신제, 지석리산신제, 소당산산신제라고 부른다.
-
1009
용어
[마을](/topic/마을) 제사를 모시기 위해 각 가정의 사람 수에 따라 일정액을 걷는 비용.
-
1008
무구
황해도굿에서 인간의 모습으로 형상화한 무속신을 묘사한 개(蓋)의 총칭. 무속신이 하강할 때 해·달·비·바람 등을 가려주는 [가리개](/topic/가리개)를 상징화한 무구로서, 황해도 무속 의례 시에 굿청에 장식된다. 특히, 만구대탁굿 혹은 [만수대탁굿](/topic/만수대탁굿) 등의 큰굿에 장식된다.
-
1007
제의
[인삼](/topic/인삼)을 재배하는 가정에서 인삼농사의 풍작을 위해 [생업](/topic/생업) 현장인 인삼밭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
-
1006
신격
인업은 가족 가운데 복이 있는 사람에게 붙어 다니면서 그 사람에게 복을 준다는 업신. 인업은 모양이 그 사람과 같다고 한다. [동물](/topic/동물)업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재복신(財福神)으로서 집안의 재복과 가택을 수호하는 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