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9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은산별신제
    661 2023.02.27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전승되어 오는 별신제. 이 별신제는 1966년 2월 15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 천금새남굿
    661 2023.02.27
    서울의 망자천도굿인 진오기굿 중 화려한 ‘진오기새남굿’을 달리 부르는 명칭.
  • 강원도 동해시 대진동에서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행하는 서낭제의 일종. 이 제의는 일반적으로 ‘서낭제’라고 부르지만 [마을](/topic/마을)에서는 특별히 ‘도신’이라고도 이르며, 신에게기도한다는 뜻이다. 도신은 오늘날에도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도신이 제의를 주관하였기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 안택굿
    660 2023.02.27
    정월 또는 시월에 집안을 돌보아주는 여러 신령에게 가정의 평안을 축원하는 의례. 지역에 따라서는 [안택](/topic/안택), 안택[고사](/topic/고사), [무고](/topic/무고)안택, [독경](/topic/독경), 재수굿, 축원굿, 소원굿, 운[수맥](/topic/수맥)이, 성주 달래기, 성주안택, [성주굿](/topic/성주굿), 도신, 도신굿, 동[방제](/topic/방제), 경사굿, 신사굿, [상달고사](/topic/상달고사) 등으로도 불린다.
  • 관운장을 비롯하여 12[장군](/topic/장군)의 [영정](/topic/영정)을 모시고 있는 신당.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당곡리에 위치하며, 1972년 12월 26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되었다.
  • 망제
    660 2023.02.27
    후손이 없는 자를 위해 [마을](/topic/마을)에서 지내는 제사 의식. 이러한 제사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행해졌으나 최근에는 거의 사라지고 전라남도 진도와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확인할 수있다.
  • 소도
    660 2023.02.27
    삼한시대에 마한의 신성지역.
  • 마중시루
    658 2023.02.27
    산신제를 지내는 날 산신을 마중하기 위하여 각 가정에서 산제당을 향해 올리는 떡시루. 맞시루, 마짐시루, 마주시루, 마중제, 고사시루, 마짐고사, [맞고사](/topic/맞고사) 등으로도 불린다. 마중시루는 산제시루에 대응하는 떡시루를 지칭한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집집마다 시루를 올리면서 기원하는 다양한 종교적의례를 포함한다.
  • 무천
    658 2023.02.27
    동예(東濊)에서 매년 10월 거행한 제천의례.
  •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에서 행해지는 [마을](/topic/마을) 제의. 돌모산당산은 솟대형 석주신간(솟대당산)이며, ‘당산할머니’ 또는 ‘당산 하나씨’ 등으로 불린다. 마을 주민들은 이 신간이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이라 여기고 해마다 이곳에 제의를 올리고 있다. 돌모산당산은 1985년 8월 16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9호’로 지정되었다.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에서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에 모시는 [마을](/topic/마을)제사. 장흥호계리별신제는 고문서와 더불어 2008년 4월 11일에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43호’로 지정되었다.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제사. 이 제사는 1991년 7월 9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원오류[마을](/topic/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룻날에 여성들이 주동이 되어 행하는 동제.
  • 입춘굿
    655 2023.02.27
    제주도에서 입춘에 베풀어지던 [굿놀이](/topic/굿놀이). 입춘굿을 ‘[춘경](/topic/춘경)(春耕)’ 또는 ‘입춘춘경(立春春耕)’이라고 하며, 이 굿을 노는 것을 “춘경(春耕)친다”고 한다.
  • 샘제
    655 2023.02.27
    특별한 자연샘이나 [마을](/topic/마을)공동[우물](/topic/우물) 또는 각 집안의 우물을 신성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 물 속에 깃든 신에게 올리는 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