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백지](/topic/백지)나 천을 댓[가지](/topic/가지)에 묶어 용왕의 신체를 나타내는 깃발. 흔히 용왕을 ‘요왕’이라고 하기 때문에 요왕기라고도 한다. |
---|---|
mp3Cnt | 0 |
wkorname | 강정식 |
정의 | [백지](/topic/백지)나 천을 댓[가지](/topic/가지)에 묶어 용왕의 신체를 나타내는 깃발. 흔히 용왕을 ‘요왕’이라고 하기 때문에 요왕기라고도 한다. | 내용 | [용왕상](/topic/용왕상)에 놓여 용왕신의 신체를 나타내며 용왕을 청해 들일 때 심방이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요왕질을 칠 때 용왕이 들어오는 길목에 꽂아 놓기도 한다. 용왕기는 지역에 따라 상이한 모양이다. 선왕기처럼 하나만 만들어 쓰기도 하고 색깔 별로 여러 개 만들어 쓰기도 한다. 여러 개 만들어 쓰는 사례는 워낙 드문 것이어서 예외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깃발 형태라는 점에서는 어디서나 같다. 대체로 하나로 만들어 쓴다. 용왕상에 세워 신체를 대신하는 용도로 쓴다. 신청궤를 할 때는 용왕기를 들고 춤을 추면서 용왕이 들어오는 모양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신체가 특정한 형상으로 통일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다. | 참고문헌 | 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 형태 | [백지](/topic/백지)로 용왕을 나타내는 신체를 오려 첵지와 함께 댓[가지](/topic/가지)에 얽어매어 만들기도 하고, 조금 끊어낸 물색을 댓가지에 얽어매어 만들기도 한다. |
---|
신구문화사 | 시조문학사전 | 정병욱 | 1980. | 열화당 | 통영오귀새남굿 | 정병호 | 1989 | 동문선 | 조선무속고 | 이능화 | 1995 | 문덕사 | 서울새남굿신가집 | 조흥윤 감수ㆍ서울새남굿보존회 | 1996 | 고려대학교출판부 | 함경도민속 | 전경욱 | 1997 | 서울대학교출판부 | 한국의 샤머니즘 | 조흥윤 | 1999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한국의 무속신앙 | 김헌선 | 2001 |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서울무속 죽음의례의 유형과 구조적 상관성 연구 | 김헌선 | 2007 | 창작과 비평사 | 조선무속고 | 이능화, 서영대 역 | 2008 |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남해안 굿 갈래 연구 | 김형근 | 2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