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전철갈이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지역의 각 가정에서 음력 정월 초순에 집안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한 해의 액운을 막고 복을 비는 의례.
definition
제주도지역의 각 가정에서 음력 정월 초순에 집안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한 해의 액운을 막고 복을 비는 의례.
mp3Cnt
0
wkorname
강권용
정의제주도지역의 각 가정에서 음력 정월 초순에 집안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한 해의 액운을 막고 복을 비는 의례.
정의제주도지역의 각 가정에서 음력 정월 초순에 집안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한 해의 액운을 막고 복을 비는 의례.
내용제주도에서 지역에 따라 ‘벨롱겡이’라고도 하는 문전철[갈이](/topic/갈이)는 ‘문전’과 ‘[철갈이](/topic/철갈이)’가 결합된 단어이다. 문전은 [가신](/topic/가신)(家神)이며, 집이란 공간성을 의미한다. 철갈이는 계절의 바뀌는 시간성을 말한다. 즉 문전철갈이는 집이란 공간에서 집을 지켜 주는 가신에게 계절이 바뀔 때마다 복을 구하는 가정의례이다.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다만 집안 수호신과 관련된 [문전본풀이](/topic/문전본풀이), 재물과 관련된 [칠성본풀이](/topic/칠성본풀이)와 관계가 있다.

음력 정월 초순에 길일을 택한 뒤 심방을 청하여 들인다. 심방은 큰굿 때의 탁상 차림과 같이 차린다. 탁상 밑에 농신(農神)인 세경상, 왼쪽에 문신(門神)의 문전상, 탁상 앞에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의 [공싯상](/topic/공싯상)을 차린다. [부엌](/topic/부엌)에 조왕상, 고팡(庫房)에 [안칠성](/topic/안칠성)상, 뒷문 곁에 [밧칠성](/topic/밧칠성)상을 차린다. 액막이는 맨 나중에 한다. 이때도 [액막이상](/topic/액막이상)을 차린다.

심방은 평복 차림에 멩두와 장구만 쓰고 제를 집행한다. [조왕제](/topic/조왕제)를 할 때에는 솥에 메밥을 지은 뒤 뚜껑을 열어서 ‘무남제’라고 하여 향 [가지](/topic/가지)를 메밥에 꽂은 뒤 그 앞에 앉아 축원을 한다. 이어서 [제상](/topic/제상)의 신들에게 그해의 행운을 빈다. 액막이는 나중에 한다. 액막이를 할 때에는 를 노래하고 그 내용을 근거 삼아 액을 막는다. 이 때 붉은 수탉의 모가지를 비틀어 던져서 사람 목숨을 대신하여 액을 막는다.

철갈이에서는 밧칠성에게 축원 하면서 칠성눌을 새로 덮는 것이 특색이다. 제주 도지역에서는 밧칠성의 칠성눌에 부(富)를 상징하는 [칠성신](/topic/칠성신)이 좌정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 칠성신은 뱀신이기도 하다. 칠성눌은 밑에 기왓장을 깔고 그 위에 [오곡](/topic/오곡) 씨를 놓아 다시 기왓장으로 덮은 다음 그 위에 빗물이 들지 않도록 [주저리](/topic/주저리)를 덮은 것이다. 이 오곡 씨를 새로 갈고 주저리를 새것으로 갈아 덮는 것을 ‘벨롱겡이’라고 한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내용제주도에서 지역에 따라 ‘벨롱겡이’라고도 하는 문전철[갈이](/topic/갈이)는 ‘문전’과 ‘[철갈이](/topic/철갈이)’가 결합된 단어이다. 문전은 [가신](/topic/가신)(家神)이며, 집이란 공간성을 의미한다. 철갈이는 계절의 바뀌는 시간성을 말한다. 즉 문전철갈이는 집이란 공간에서 집을 지켜 주는 가신에게 계절이 바뀔 때마다 복을 구하는 가정의례이다.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다만 집안 수호신과 관련된 [문전본풀이](/topic/문전본풀이), 재물과 관련된 [칠성본풀이](/topic/칠성본풀이)와 관계가 있다.

음력 정월 초순에 길일을 택한 뒤 심방을 청하여 들인다. 심방은 큰굿 때의 탁상 차림과 같이 차린다. 탁상 밑에 농신(農神)인 세경상, 왼쪽에 문신(門神)의 문전상, 탁상 앞에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의 [공싯상](/topic/공싯상)을 차린다. [부엌](/topic/부엌)에 조왕상, 고팡(庫房)에 [안칠성](/topic/안칠성)상, 뒷문 곁에 [밧칠성](/topic/밧칠성)상을 차린다. 액막이는 맨 나중에 한다. 이때도 [액막이상](/topic/액막이상)을 차린다.

심방은 평복 차림에 멩두와 장구만 쓰고 제를 집행한다. [조왕제](/topic/조왕제)를 할 때에는 솥에 메밥을 지은 뒤 뚜껑을 열어서 ‘무남제’라고 하여 향 [가지](/topic/가지)를 메밥에 꽂은 뒤 그 앞에 앉아 축원을 한다. 이어서 [제상](/topic/제상)의 신들에게 그해의 행운을 빈다. 액막이는 나중에 한다. 액막이를 할 때에는 를 노래하고 그 내용을 근거 삼아 액을 막는다. 이 때 붉은 수탉의 모가지를 비틀어 던져서 사람 목숨을 대신하여 액을 막는다.

철갈이에서는 밧칠성에게 축원 하면서 칠성눌을 새로 덮는 것이 특색이다. 제주 도지역에서는 밧칠성의 칠성눌에 부(富)를 상징하는 [칠성신](/topic/칠성신)이 좌정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 칠성신은 뱀신이기도 하다. 칠성눌은 밑에 기왓장을 깔고 그 위에 [오곡](/topic/오곡) 씨를 놓아 다시 기왓장으로 덮은 다음 그 위에 빗물이 들지 않도록 [주저리](/topic/주저리)를 덮은 것이다. 이 오곡 씨를 새로 갈고 주저리를 새것으로 갈아 덮는 것을 ‘벨롱겡이’라고 한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