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종이

한국무속신앙사전
귀신종이
동해안과 경상남도 해안지역의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부계직계 혈통 조상 가운데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령을 [봉안](/topic/봉안)하기 위해 [한지](/topic/한지)를 직사각형으로 만든 신체.
definition
동해안과 경상남도 해안지역의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부계직계 혈통 조상 가운데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령을 [봉안](/topic/봉안)하기 위해 [한지](/topic/한지)를 직사각형으로 만든 신체.
mp3Cnt
0
wkorname
황경숙
정의동해안과 경상남도 해안지역의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부계직계 혈통 조상 가운데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령을 [봉안](/topic/봉안)하기 위해 [한지](/topic/한지)를 직사각형으로 만든 신체.
정의동해안과 경상남도 해안지역의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부계직계 혈통 조상 가운데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령을 [봉안](/topic/봉안)하기 위해 [한지](/topic/한지)를 직사각형으로 만든 신체.
내용조령을 상징하는 귀신종이는 지역에 따라 당세기에 넣어 [안방](/topic/안방)의 [시렁](/topic/시렁)이나 선반 위에 모시기도 하고 안방의 북쪽이나 서쪽 벽면 위쪽에 붙여 모시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귀신종이를 조상당세기․귀신당세기․구신토방구리 등, 후자의 경우 조상․[조상종이](/topic/조상종이)․거장 등으로 달리 칭하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일대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주로 통용되는 명칭이다.

각 가정의 귀신종이는 조상의 사후에 만들어 [봉안](/topic/봉안)하며, 봉안기간은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동안으로 제한된다. 귀신종이 신체는 그 집 [대주](/topic/대주)가 직접 만든다. 봉안 시기는 장례나 [삼우제](/topic/삼우제)를 기점으로 사흘 뒤나 이후 길일을 택해 모시기도 하고, 어떤 가정에서는 첫 기제사 때 모시거나 3년 [탈상](/topic/탈상) 후 모시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장손을 중심으로 계승되며, 더 이상 모시지 않게 될 경우 그 집 대주가 직접 거두어 조상의 묘에 가서 태우거나 깨끗한 곳에서 태운다. 현전하는 귀신종이는 봉안기간을 고려할 때 역사가 비교적 길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진이 보편화되면서 근자에는 조상의 [영정](/topic/영정)사진이 귀신종이를 대체하는 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간혹 있다.
내용조령을 상징하는 귀신종이는 지역에 따라 당세기에 넣어 [안방](/topic/안방)의 [시렁](/topic/시렁)이나 선반 위에 모시기도 하고 안방의 북쪽이나 서쪽 벽면 위쪽에 붙여 모시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귀신종이를 조상당세기․귀신당세기․구신토방구리 등, 후자의 경우 조상․[조상종이](/topic/조상종이)․거장 등으로 달리 칭하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일대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주로 통용되는 명칭이다.

각 가정의 귀신종이는 조상의 사후에 만들어 [봉안](/topic/봉안)하며, 봉안기간은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동안으로 제한된다. 귀신종이 신체는 그 집 [대주](/topic/대주)가 직접 만든다. 봉안 시기는 장례나 [삼우제](/topic/삼우제)를 기점으로 사흘 뒤나 이후 길일을 택해 모시기도 하고, 어떤 가정에서는 첫 기제사 때 모시거나 3년 [탈상](/topic/탈상) 후 모시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장손을 중심으로 계승되며, 더 이상 모시지 않게 될 경우 그 집 대주가 직접 거두어 조상의 묘에 가서 태우거나 깨끗한 곳에서 태운다. 현전하는 귀신종이는 봉안기간을 고려할 때 역사가 비교적 길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진이 보편화되면서 근자에는 조상의 [영정](/topic/영정)사진이 귀신종이를 대체하는 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간혹 있다.
역사귀신종이의 연원을 알 수 있는 문헌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귀신종이는 유교 [사당](/topic/사당)문화의 민속적 변형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동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는 점과 지역적 전승양상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동옥저의 조령숭배 신앙에서 연원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삼국지』위지 동이전 동옥저조에 “그들의 장사 지내는 것을 보면 큰 나무로 곽(槨)을 만드는데 그 길이가 10여 길이나 된다. -중략- 여기에 나무로 산 사람의 모양을 새겨 꽂아서 이 나무의 수효로 죽은 사람의 수를 알게 한다(其葬作大木槨 長十餘丈-中略-刻木如生形 隨死者位數)”라 하였다. 동옥저에서 죽은 자의 형상을 나무에 새겨 묘에 [봉안](/topic/봉안)했다는 목각인형은 죽은 이를 추념하기 위한 상징물을 넘어 조령이 현실계를 떠나서도 후손들과 연계할 수 있는 개성적 조령의 신체일 가능성이 크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한다면 귀신종이는 동옥저의 목각인형 신체의 후대적 변형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옛 동옥저지역인 함경남도 동해안 지역에 전승되던 귀신동이나 귀신단지는 신체의 형태와 봉안장소가 귀신종이와 상이하지만 신체의 성격은 맥을 함께한다. 귀신동이와 귀신단지의 경우 개성적 조령의 신체로 조령을 상징하는 옷, 천, [곡물](/topic/곡물) 등을 넣어 고방의 [시렁](/topic/시렁) 위에 봉안하고 매해 봄과 가을 두 차례에 무당을 청해 [[안택](/topic/안택)굿](/topic/안택굿)을 한다. 함경남도 동해안지역의 귀신동이는 유교적 제례문화가 유입되기 이전의 우리 고유 조령숭배 신앙의 전통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령숭배 신앙의 전통성은 현재 동해안 일대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강원도 삼척시와 경북 영덕군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해안지역의 귀신당세기 신앙이 그러하다. 귀신당세기에 모신 조령의 신체는 귀신동이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한지](/topic/한지)를 접은 조령의 신체가 더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고방이 아닌 [안방](/topic/안방)에 모신다. 조령의 신체를 당세기에 넣어 모시는 현상은 경상북도 포항시 해안지역을 기점으로 변화되어 한지를 접어 만든 조령의 신체인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모시지 않고 시렁 위에 그냥 얹어 모시는 가정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경북 경주시 해안지역에 이르러 안방의 벽면에 붙이는 형태로 다시 변모하기 시작하여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해안지역과 거제․통영 해안지역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귀신동이, 귀신당세기, 귀신종이 전승경로를 감안할 때 귀신종이는 동옥저의 개성적 조령 신체인 목각인형의 후대적 계승인 귀신동이의 지역적 변형태로 이후 유교식 제례가 유입되어 민간에 널리 퍼져 모시는 과정에서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상의 대수(代數)에 따라 봉안 수가 제한되고 조상의 신위가 기입되는 형태로 변모해 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역사귀신종이의 연원을 알 수 있는 문헌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귀신종이는 유교 [사당](/topic/사당)문화의 민속적 변형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동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는 점과 지역적 전승양상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동옥저의 조령숭배 신앙에서 연원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삼국지』위지 동이전 동옥저조에 “그들의 장사 지내는 것을 보면 큰 나무로 곽(槨)을 만드는데 그 길이가 10여 길이나 된다. -중략- 여기에 나무로 산 사람의 모양을 새겨 꽂아서 이 나무의 수효로 죽은 사람의 수를 알게 한다(其葬作大木槨 長十餘丈-中略-刻木如生形 隨死者位數)”라 하였다. 동옥저에서 죽은 자의 형상을 나무에 새겨 묘에 [봉안](/topic/봉안)했다는 목각인형은 죽은 이를 추념하기 위한 상징물을 넘어 조령이 현실계를 떠나서도 후손들과 연계할 수 있는 개성적 조령의 신체일 가능성이 크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한다면 귀신종이는 동옥저의 목각인형 신체의 후대적 변형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옛 동옥저지역인 함경남도 동해안 지역에 전승되던 귀신동이나 귀신단지는 신체의 형태와 봉안장소가 귀신종이와 상이하지만 신체의 성격은 맥을 함께한다. 귀신동이와 귀신단지의 경우 개성적 조령의 신체로 조령을 상징하는 옷, 천, [곡물](/topic/곡물) 등을 넣어 고방의 [시렁](/topic/시렁) 위에 봉안하고 매해 봄과 가을 두 차례에 무당을 청해 [[안택](/topic/안택)굿](/topic/안택굿)을 한다. 함경남도 동해안지역의 귀신동이는 유교적 제례문화가 유입되기 이전의 우리 고유 조령숭배 신앙의 전통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령숭배 신앙의 전통성은 현재 동해안 일대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강원도 삼척시와 경북 영덕군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해안지역의 귀신당세기 신앙이 그러하다. 귀신당세기에 모신 조령의 신체는 귀신동이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한지](/topic/한지)를 접은 조령의 신체가 더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고방이 아닌 [안방](/topic/안방)에 모신다. 조령의 신체를 당세기에 넣어 모시는 현상은 경상북도 포항시 해안지역을 기점으로 변화되어 한지를 접어 만든 조령의 신체인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모시지 않고 시렁 위에 그냥 얹어 모시는 가정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경북 경주시 해안지역에 이르러 안방의 벽면에 붙이는 형태로 다시 변모하기 시작하여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해안지역과 거제․통영 해안지역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귀신동이, 귀신당세기, 귀신종이 전승경로를 감안할 때 귀신종이는 동옥저의 개성적 조령 신체인 목각인형의 후대적 계승인 귀신동이의 지역적 변형태로 이후 유교식 제례가 유입되어 민간에 널리 퍼져 모시는 과정에서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상의 대수(代數)에 따라 봉안 수가 제한되고 조상의 신위가 기입되는 형태로 변모해 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형태귀신종이는 큰 [한지](/topic/한지)를 자르지 않고 직사각형으로 겹쳐 접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정에 따라 가로는 좁고 세로는 긴 직사각형으로 자른 한지를 여러 겹(주로 5겹) 겹쳐 놓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선대 조령의 신체로 가정에 따라 [고비](/topic/고비)합사(考妣合祀)하거나 고비(考妣)별로 모신다. 귀신종이를 모실 때에는 마주보아 왼쪽부터 선대 조령 순으로 모시며, 신체 크기는 모두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다. 귀신종이를 [안방](/topic/안방) 벽면에 붙여 놓는 경우 한지로 만든 띠를 귀신종이 상단부분에 붙여서 고정시키고 귀신종이가 여럿일 경우 한 띠로 고정시킨다. 가정에 따라 귀신종이 안에 조상의 신위를 써 두는 곳이 있기도 하며, 귀신종이를 붙인 벽면 위에 따로 신위를 쓴 종이를 붙여 놓는 곳도 있다. 거제․통영지역의 경우는 신체의 크기가 각기 다른 경우가 많고, 귀신종이 왼쪽 윗부분에 작은 띠를 붙이거나 앞면에 조상의 신위를 써 두어 모시는 조령의 신체를 세대별․고비별로 구별하는 등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인다. 이 지역의 경우 귀신종이를 [봉안](/topic/봉안)할 때 종이로 덮개를 만들어 귀신종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장식한다,
형태귀신종이는 큰 [한지](/topic/한지)를 자르지 않고 직사각형으로 겹쳐 접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정에 따라 가로는 좁고 세로는 긴 직사각형으로 자른 한지를 여러 겹(주로 5겹) 겹쳐 놓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선대 조령의 신체로 가정에 따라 [고비](/topic/고비)합사(考妣合祀)하거나 고비(考妣)별로 모신다. 귀신종이를 모실 때에는 마주보아 왼쪽부터 선대 조령 순으로 모시며, 신체 크기는 모두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다. 귀신종이를 [안방](/topic/안방) 벽면에 붙여 놓는 경우 한지로 만든 띠를 귀신종이 상단부분에 붙여서 고정시키고 귀신종이가 여럿일 경우 한 띠로 고정시킨다. 가정에 따라 귀신종이 안에 조상의 신위를 써 두는 곳이 있기도 하며, 귀신종이를 붙인 벽면 위에 따로 신위를 쓴 종이를 붙여 놓는 곳도 있다. 거제․통영지역의 경우는 신체의 크기가 각기 다른 경우가 많고, 귀신종이 왼쪽 윗부분에 작은 띠를 붙이거나 앞면에 조상의 신위를 써 두어 모시는 조령의 신체를 세대별․고비별로 구별하는 등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인다. 이 지역의 경우 귀신종이를 [봉안](/topic/봉안)할 때 종이로 덮개를 만들어 귀신종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장식한다,
지역사례강원도 삼척시와 경북 울진군 일대 해안지역에서는 귀신종이를 대나무나 갈대로 만든 당세기에 넣어 [안방](/topic/안방) 벽면에 부착된 [시렁](/topic/시렁)이나 선반 위에 얹어 [봉안](/topic/봉안)한다.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봉안하기에 이들 지역에서는 귀신종이로 대표되는 조령의 신체를 달리 조상고리, 토방고리, 귀신토방구리, 조상당세기, 조상토방구리, 귀신당세기, 구신당세기 등으로 칭한다. 귀신종이를 봉안한 당세기는 그 자체로 신성시된다. 귀신종이를 봉안할 당세기를 장만할 때에는 장에 가는 도중에 부정한 것을 보지 않도록 조심하며, 당세기는 흠집이 없는 것으로 사되 첫눈에 든 것을 택하여 절대 흥정하거나 값을 깎지 않는다고 한다. 또 귀신종이를 봉안한 당세기는 함부로 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직접 손을 댈 수 없어 부득이 당세기에 손을 댈 일이 생기면 한 번에 낫으로 찍어서 옮기거나 뚜껑을 열어야 한다고 한다. 조상당세기를 모시는 가정 가운데에서는 흰 [광목](/topic/광목)으로 조상당세기를 덮어 두기도 한다. 조상당세기를 덮어두는 흰 광목천은 매해 정초에 새것으로 갈아 놓는 것이 관례이다. 이 경우 집안에 초상이 나거나 [마을](/topic/마을)에 초상이 나면 그해는 덮개를 새로 갈지 않고 해를 넘긴다 한다.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봉안하는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조령의 신체인 [한지](/topic/한지) 외에 후손들의 무병장수와 가정의 재복을 기원하기 위해 쌀, [명주](/topic/명주)실, 삼오라기, [곡물](/topic/곡물), 면화뭉치, 문서 등을 함께 봉안하기도 한다. 경북 울진군 기성면 기성리의 경우 장기간 외출하였거나 객지로 나가있던 가족이 집으로 돌아오면 먼저 [조상신](/topic/조상신)께 돈을 올린 뒤 예를 갖추고 부정을 가시도록 한다. 이렇게 놓아둔 돈은 모아두었다가 다가오는 [기제사](/topic/기제사) 때 제수를 장만하는데 보탠다고 한다.

귀신종이는 선대 조령을 한 당세기 안에 함께 모시는 경우와 각기 나누어 모시는 경우가 있다. 선대별로 귀신종이를 각 당세기에 넣어 모실 경우 왼쪽부터 웃어른을 차례로 모신다.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봉안하는 형태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topic/호미)곶면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이르면 당세기는 사라지고 귀신종이만을 시렁에 얹어 봉안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장기면지역의 경우 귀신종이는 시렁에 얹어 봉안하기 용이하도록 당세기에 봉안할 경우와 달리 상대적으로 신체의 크기가 시렁의 옆면 폭과 일치하도록 크고 두께 역시 별다른 안전장치 없이도 흔들림 없도록 두꺼운 형태로 변모되어 나타난다.

반면에 경주시를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에 전승되고 있는 귀신종이는 여러 겹으로 접은 직사각형의 한지를 안방 벽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변모한다. 신체의 크기와 두께는 시렁에 얹어 봉안하는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한 현상을 보인다. 제작방식도 다양하다. 가정에 따라 한지를 자르지 않고 여러 겹으로 접어 직사각 형태로 만들기도 하고 미리 직사각형으로 자른 한지를 여러 겹으로 접은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주로 안방 북쪽 벽면에 부착한다. 부착할 때 역시 한지를 단면으로 자르거나 접어 사용한다. 경주지역의 경우 귀신종이 중앙부에 두 줄로 한지 띠를 만들어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울산과 부산지역의 경우 상단부에 한 줄로 띠를 만들어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귀신종이가 여러 개인 때는 한지를 접어 만든 띠로 귀신종이 상단부에 가로로 붙여 한 개의 띠로 함께 고정시킨다.

거제․통영지역에서는 귀신종이를 달리 거장 또는 거상이라 칭한다. 귀신종이의 지역적 명칭이라 할 수 있는 거장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내용이 없다. 이 지역의 경우 귀신종이를 안방 벽면 윗부분에 부착하지만 여느 지역과 달리 신체의 형태가 모시는 조령에 따라 다소 상이하여 신체별 크기가 눈에 띄게 차이를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어떤 신체에는 신위를 써 두기도 하고 어떤 신체에는 상단부에 직사각형의 한지로 부분 띠를 만들어 붙이기도 한다. 대체로 이러한 표식은 선대 조령들의 세대별․성별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종이 덮개를 만들어 상단부에 고정시켜 봉안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귀신종이를 모시는 가정에서는 매해 기일과 명절에 유교식 제의를 정례적으로 베풀고 있다. 이 밖에 집안에 길흉사가 있거나 우환이 생겼을 때 그 집 [대주](/topic/대주)나 주부가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 놓거나 간단한 제물을 진설한 뒤 안과태평과 소원성취를 기원하며 [비손](/topic/비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77)
동남해안지방의 전통적 [조상숭배](/topic/조상숭배)신앙 연구 (황경숙, 한국문학논총 32, 2002)
동해안지역의 귀신동이·귀신당세기·귀신종이 신앙 연구 (황경숙, 한국민족문화 21, 2003)
한국의 가정신앙-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三國志, 한국의 가정신앙-경상남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지역사례강원도 삼척시와 경북 울진군 일대 해안지역에서는 귀신종이를 대나무나 갈대로 만든 당세기에 넣어 [안방](/topic/안방) 벽면에 부착된 [시렁](/topic/시렁)이나 선반 위에 얹어 [봉안](/topic/봉안)한다.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봉안하기에 이들 지역에서는 귀신종이로 대표되는 조령의 신체를 달리 조상고리, 토방고리, 귀신토방구리, 조상당세기, 조상토방구리, 귀신당세기, 구신당세기 등으로 칭한다. 귀신종이를 봉안한 당세기는 그 자체로 신성시된다. 귀신종이를 봉안할 당세기를 장만할 때에는 장에 가는 도중에 부정한 것을 보지 않도록 조심하며, 당세기는 흠집이 없는 것으로 사되 첫눈에 든 것을 택하여 절대 흥정하거나 값을 깎지 않는다고 한다. 또 귀신종이를 봉안한 당세기는 함부로 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직접 손을 댈 수 없어 부득이 당세기에 손을 댈 일이 생기면 한 번에 낫으로 찍어서 옮기거나 뚜껑을 열어야 한다고 한다. 조상당세기를 모시는 가정 가운데에서는 흰 [광목](/topic/광목)으로 조상당세기를 덮어 두기도 한다. 조상당세기를 덮어두는 흰 광목천은 매해 정초에 새것으로 갈아 놓는 것이 관례이다. 이 경우 집안에 초상이 나거나 [마을](/topic/마을)에 초상이 나면 그해는 덮개를 새로 갈지 않고 해를 넘긴다 한다.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봉안하는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조령의 신체인 [한지](/topic/한지) 외에 후손들의 무병장수와 가정의 재복을 기원하기 위해 쌀, [명주](/topic/명주)실, 삼오라기, [곡물](/topic/곡물), 면화뭉치, 문서 등을 함께 봉안하기도 한다. 경북 울진군 기성면 기성리의 경우 장기간 외출하였거나 객지로 나가있던 가족이 집으로 돌아오면 먼저 [조상신](/topic/조상신)께 돈을 올린 뒤 예를 갖추고 부정을 가시도록 한다. 이렇게 놓아둔 돈은 모아두었다가 다가오는 [기제사](/topic/기제사) 때 제수를 장만하는데 보탠다고 한다.

귀신종이는 선대 조령을 한 당세기 안에 함께 모시는 경우와 각기 나누어 모시는 경우가 있다. 선대별로 귀신종이를 각 당세기에 넣어 모실 경우 왼쪽부터 웃어른을 차례로 모신다. 귀신종이를 당세기에 넣어 봉안하는 형태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topic/호미)곶면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이르면 당세기는 사라지고 귀신종이만을 시렁에 얹어 봉안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장기면지역의 경우 귀신종이는 시렁에 얹어 봉안하기 용이하도록 당세기에 봉안할 경우와 달리 상대적으로 신체의 크기가 시렁의 옆면 폭과 일치하도록 크고 두께 역시 별다른 안전장치 없이도 흔들림 없도록 두꺼운 형태로 변모되어 나타난다.

반면에 경주시를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에 전승되고 있는 귀신종이는 여러 겹으로 접은 직사각형의 한지를 안방 벽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변모한다. 신체의 크기와 두께는 시렁에 얹어 봉안하는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한 현상을 보인다. 제작방식도 다양하다. 가정에 따라 한지를 자르지 않고 여러 겹으로 접어 직사각 형태로 만들기도 하고 미리 직사각형으로 자른 한지를 여러 겹으로 접은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귀신종이는 주로 안방 북쪽 벽면에 부착한다. 부착할 때 역시 한지를 단면으로 자르거나 접어 사용한다. 경주지역의 경우 귀신종이 중앙부에 두 줄로 한지 띠를 만들어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울산과 부산지역의 경우 상단부에 한 줄로 띠를 만들어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귀신종이가 여러 개인 때는 한지를 접어 만든 띠로 귀신종이 상단부에 가로로 붙여 한 개의 띠로 함께 고정시킨다.

거제․통영지역에서는 귀신종이를 달리 거장 또는 거상이라 칭한다. 귀신종이의 지역적 명칭이라 할 수 있는 거장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내용이 없다. 이 지역의 경우 귀신종이를 안방 벽면 윗부분에 부착하지만 여느 지역과 달리 신체의 형태가 모시는 조령에 따라 다소 상이하여 신체별 크기가 눈에 띄게 차이를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어떤 신체에는 신위를 써 두기도 하고 어떤 신체에는 상단부에 직사각형의 한지로 부분 띠를 만들어 붙이기도 한다. 대체로 이러한 표식은 선대 조령들의 세대별․성별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종이 덮개를 만들어 상단부에 고정시켜 봉안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귀신종이를 모시는 가정에서는 매해 기일과 명절에 유교식 제의를 정례적으로 베풀고 있다. 이 밖에 집안에 길흉사가 있거나 우환이 생겼을 때 그 집 [대주](/topic/대주)나 주부가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 놓거나 간단한 제물을 진설한 뒤 안과태평과 소원성취를 기원하며 [비손](/topic/비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77)
동남해안지방의 전통적 [조상숭배](/topic/조상숭배)신앙 연구 (황경숙, 한국문학논총 32, 2002)
동해안지역의 귀신동이·귀신당세기·귀신종이 신앙 연구 (황경숙, 한국민족문화 21, 2003)
한국의 가정신앙-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三國志, 한국의 가정신앙-경상남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귀신종이와 시주단지
13258
귀신종이와 시주단지
귀신종이
13257
귀신종이
조상과 세존단지
13256
조상과 세존단지
귀신토방구리와 세존단지
13255
귀신토방구리와 세존단지
거장
13254
거장
귀신종이와 시주단지
13258
귀신종이와 시주단지
귀신종이
13257
귀신종이
조상과 세존단지
13256
조상과 세존단지
귀신토방구리와 세존단지
13255
귀신토방구리와 세존단지
거장
13254
거장
0 Comments